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황상열 Jun 11. 2020

당신의 버킷 리스트


5년전 6월 뇌수막염으로 병원에 열흘 정도 입원한 적이 있다. 3일간 계속되는 고열과 두통으로 누워만 있었다. 일상생활을 아예 할 수 없을 정도로 몸을 움직일 수 없었다. 이러다가 죽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여기서 회복되면 하고 싶은 것은 무조건 해야겠다고 결심했다. 병원 치료를 받으면서 조금씩 호전되자 하고 싶은 목록을 빈 종이에 하나씩 쓰기 시작했다.     


흔히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을 적어 보는 리스트를 “버킷 리스트”라고 한다. 2007년 모건프리먼과 잭 니콜슨이 주연을 맡아 암으로 시한부 인생을 살게 된 노인이 남은 인생에서 하고 싶은 리스트를 실행하고 죽음을 맡는 내용의 영화 제목에서 유래되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 시절 1번으로 썼던 버킷리스트가 ‘책을 내는 작가되기’다. 병원에서 퇴원하면 다른 일은 다 뒤로 제쳐놓고 글만 쓰고 싶었다. 이미 내 머릿속엔 서점에 내 책이 진열된 모습이 그려졌다. 생각만 해도 짜릿했다. 빈 종이에 뭐라도 끄적이며 퇴원만 기다렸다. 열흘 정도 퇴원하고 다시 직장으로 복귀했다. 출근 전과 퇴근 후에 집안일과 육아를 도와주는 것 빼곤 글쓰기에만 매달렸다. 그렇게 두 달을 매달려 완성한 초고가 <모멘텀>이다.

    

작가되기 말고도 많은 버킷리스트를 썼다. 막연한 꿈이 아니라 실제로 내가 이룰 수 있는 목표를 위주로 기록했다. “12년간 미루었던 도시계획기사 자격증 따기, 100만원으로 투자하기, 지금 다니는 회사보다 더 큰 회사로 이직하기, 좀 더 많은 책을 읽고 남이 하지 못한 경험 쌓기 등등”이 그 당시에 하고 싶었던 목록으로 기억한다. 기록한 버킷리스트 종이는 지갑에 늘 가지고 다녔다.     


그럼 그 버킷리스트의 결과는 어떻게 되었을까? 그때 다녔던 회사가 직원이 4명인 소기업이었다. 규모가 작다보니 매출에 따라 회사 사정이 달라졌다. 입원한 당시에는 사정이 너무 어려워 월급이 밀린 상태였다. 가장의 책임을 다하지 못한다는 스트레스가 또 심했다. 같이 일했던 거래처 형님에게 고민을 이야기했다. 몇 달 뒤 그의 소개로 훨씬 좋은 지금의 회사로 이직하게 되었다. 이직 후 제일 좋았던 점은 6시 정시퇴근으로 워라벨 생활이 가능했다.    


졸업 후 12년간 미루었던 도시계획기사에 도전해서 한 번에 합격했다. 대학 4학년이면 누구나 따는 자격증을 늦은 39살에 획득한 것이다. 그리고 첫 책 <모멘텀> 출간 이후 몇 차례 받은 인세와 모아놓은 돈 100만원을 합쳐 사모펀드에 투자했다. 일단 세 개의 버킷리스트를 실제로 이룬 것이다. 그런데 100만원 투자는 알고보니 사기꾼에 당해 고스란히 날렸다.

    

확실히 버킷리스트를 작성하고 하나하나 달성하다 보니 내 삶에 활력이 생겼다. 그 전까지 되는대로 바라는 것 없이 살다보니 하루하루가 무기력한 삶이었다. 지금 삶이 혹시 재미없고 따분하다면 종이에 버킷리스트를 한번 작성해보자. 아마도 내가 어떤 것을 좋아하고 원하는지 한 눈에 알 수 있다. 그동안 머리로만 생각했던 것들을 하나씩 꺼내어 실행하다 보면 가슴이 뛰는 삶을 살 수 있다.     


다시 한번 종이를 꺼내어 새로운 버킷리스트를 작성할 예정이다. 향후 10년 동안 하고 싶고 갖고 싶고 되고 싶은 일을 적을 생각이다. 앞으로 삶이 다하는 날까지 이 버킷리스트를 실제로 이룰 수 있도록 즐겁게 최선을 다할 생각이다. 내 인생에 후회를 남기지 않기 위해. 


버나드 쇼의 유명한 한 마디로 글을 마무리한다.      

“우물쭈물 하다가 내 이럴 줄 알았어. 그냥 하고 싶은 것 있음 바로 합시다.”      


#버킷리스트 #죽기전에꼭하고싶은것들 #하고싶은것 #소원 #인생에서꼭하고싶은것 #인생 #글쓰기 #글 #라이팅 #자기계발 #에세이 #단상 #황상열      

   

매거진의 이전글 작은 성공의 중요성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