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Logos Brunch Jun 08. 2016

사라지는거 인정하면, 엄한데 힘주고 살지 않아!

살다 보면 가슴이 답답하고 마음이 무거워질 때가 있다.

세상천지에 누구도 나의 마음을 알아줄 사람이 없다고 생각될 때가 있다.

이렇게는 단 하루도 살 수 없다고 생각되어 오산리 기도원을 찾아간 적이 있다.

소나무 뿌리라도 잡고 간절히 기도하려고 간 것은 아니다.

누구하고도 마음 털어놓을 사람이 없기에 간 것뿐이다.

기도 굴에 들어가 머리를 숙여 보았지만, 기도가 나오지 않았다.

나는 하릴없이 산책하며 기도원 이곳저곳을 기웃거렸다.

뜨겁게 기도하는 사람, 열렬히 찬양하는 사람 모두 너무나 부러워 보였다.

치열하다.

뜨거웠다.

나는 그들 곁에 가까이 가는 게 두려웠다.


한적한 곳을 찾아 헤매다 기도원 외딴곳에 마련된 묘지로 발걸음을 옮겼다.

그리고 이름 모를 묘지 옆에 가만히 앉았다.

고요하였다.

살랑이는 봄바람에 꽃잎만 흩날렸다.

문득 두보의 시 한 구절이 떠올랐다.

“꽃 한 조각 떨어져도 봄빛이 줄거늘

수많은 꽃잎이 흩날리니 슬픔을 어이 견디리.”

슬픔 많은 사연을 가득 담고 세월은 또 이렇게 흘러가겠지.


유대인들은 가족이나 친척이 죽으면 애도의 기간을 가진다.

기본적으로 일주일 애도 기간을 가지는데 부모님이 돌아가시면 한 달 동안 애도 기간을 가진다.

처음 3일은 애곡하는 날이다.

눈물이 나오지 않더라도 억지로라도 곡을 하며 울어야 한다.

가식 같아 보이지만, 그렇게 억지로 울다 보면 떠나보내야 할 사람과 얽히고설킨 모든 관계가 풀어지게 된다.

그리고 일주일간은 씻지도 않고 얼굴에 기름도 바르지 않고, 신도 신지 않고 그 어떤 일도 하지 않고 애도만 하였다.

떠나 보내라는 것이다.

마음에 품고 있으면, 마침내 마음의 병이 될 것이기에 떠나 보내라는 것이다.


우리도 언젠가 떠나게 되겠지

그리고 곧 잊혀지겠지.

‘또오해영’이란 드라마에서 박도경의 아버지는 이런 말을 한다.

사라지는 거 인정하면 엄한데 힘주고 살지 않아!

요즘 우리는 정말 엄한데 힘주고 살 때가 너무 많다.

그렇게 죽기 살기로 덤벼들지 않아도 될 터인데,

목에 핏줄 세우다 혈압으로 쓰러질 텐데

그러면 그 모든 것이 다 아무것도 아니었음을 깨달을 텐데.


‘상실수업’을 쓴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는 이런 충고를 하였다.

“죽음을 앞둔 사람들의 말에 귀 기울이세요.

그들은 당신이 죽음을 맞이할 때 알아야 할 모든 것을 말해줄 거에요

그것은 쉽게 놓쳐버리기 쉬운 것들이지요.”

떠나가면서 ‘나는 끝까지 치열하게 살았다.’라고 말하는 것도 의미있겠지만,

떠나가면서 남겨진 사람들에게 아름다운 추억을 남겨주는 것이 훨씬 중요하지 않을까?

호스피스 병동에서 죽음을 앞에 둔 사람들의 한결같은 고백은 자신이 얼마나 큰일을 했느냐 하는 것은 아무것도 아니라고 한다.

그들은 좀 더 사랑하고, 좀 더 마음을 나누지 못했음을 아쉬워한다.


현대인들은 모두 자폐증세에 시달리고 있는 것 같다.

자기만의 세계에 갇혀서 남의 마음이나 상황을 이해하지 않고 오직 자기만 바라봐달라고 떼를 쓰는 어린아이 같다.

상대방의 이야기는 듣기 싫고 나의 이야기만 들어달라고 한다.

그러니 다른 사람과 상호관계가 잘 형성되지 않고 정서적인 유대감도 일어나지 않는다.

자폐증을 앓는 현대인들은 결국 외로움과 고독에 시달리지 않을 수 없다.


나이 드신 어머니가 옆에 앉는다.

무슨 하실 말씀이 있는가 보다.

그런데 왜 나의 온몸이 이리도 굳어질까?

무슨 핑계로 빠져나갈까?

아니 오늘은 잠시라도 마음 문 열과 사랑의 대화를 나누어야지.

이제 얼마 사실지 모를 어머니! 가슴으로 꼭 안아주어야지.

매거진의 이전글 소통의 능력을 키우자.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