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류다 Jun 24. 2024

앨리스 매티슨의 '연과 실'을 읽고


   단편소설의 매력에 흠뻑 빠져 있을 때 만난 앨리스 매티슨의 ‘연과 실’은 그 자체로 흥미로운 책이었다.   작가는 세 명의 아이를 키우면서 글 쓰는 시간을 확보하기 위해서 다소 이기적으로 행동하라고 말한다. 글을 쓰기 위한 제반 환경이 잘 갖춰지기를 기다리다 보면 우리의 심신은 지치고 글의 씨앗은 말라버릴 수도 있다.


 처음 단편소설을 쓸 때는 책이 필요 없고 그냥 쓰라고 매티슨은 조언한다. 아는 것이 많으면 거기에 얽매여 자유로운 창작이 어려워질 수 있다. 규칙을 따르고 시키는 대로 한다고 글을 잘 쓰게 되지는 않는다. 일단 한두 편이라도 쓰고 나면 소설을 쓴다는 것이 생각보다 어려운 작업임을 알게 된다. 머릿속에서 뛰어놀던 인물과 대충의 이야기 흐름이 그려지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하여 책상에 앉지만, 몇 줄도 쓰지 못한 채 막혀 버리는 경우가 허다했다.


 매티슨은 강렬한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자신이 쓴 글을 비판적인 시선으로 바라봐야만 좋은 글을 쓸 수 있다고 한다. 자유롭게 생각을 떠올리다가 논리적으로 다듬는 것이 그의 소설 쓰는 방식이다.

 처음에는 내면의 비평가를 쫓아내고 느긋하게 풀어져서 아이디어가 자유롭게 떠오르도록 한다. 너무 빨리 판단을 내리면 자기 검열 때문에 아무것도 쓰지 못하거나 생기 없는 글만 쓰게 된다. 반대로 생각 없이 너무 자유롭게 글을 쓰면 짜임새가 없거나 방향이 없는 글이 될 수도 있다. 상식 없이 강렬한 감정만으로 글을 쓰면 자기 느낌을 흡족하게 표현하는 아마추어 작가에 머물 뿐이다. 한 편의 글이 감정이라는 거센 바람에 실려 하늘로 날아가는 연이라면 그 연을 붙잡을 실도 필요하다. 자유와 통제, 두 가지를 조율하는 것이 소설 쓰기의 과정이다.

 장편소설을 쓸 때는 개요를 메모하지 않고 시작할 수도 있다. 개요는 지나치게 논리적이다. 자유 연상처럼 생각이 쉽게 흘러가도록 하면 훨씬 흥미로운 소설을 쓸 수 있다. 


 소설을 구상할 때 자신이나 가까운 사람의 이야기를 그대로 써도 될지 망설여지기도 한다. 본인의 삶을 바탕으로 소설을 써도 무방하지만, 실제 인물과 사건의 틀에 지나치게 얽매일 위험이 있다. 실제 삶을 바탕으로 소설을 쓴다면 이름만 바꾸지 말고 몇 가지 사소한 부분을 덧붙여서 허구의 인물을 만드는 것이 좋다. 자전적 이야기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말고 새로운 소재를 만들어 내는 습관을 키우도록 한다.


 초보 작가들이 하는 흔한 실수는 중요한 사건 없이 등장인물의 생각과 감정의 묘사만으로 소설을 쓰려고 하는 것이다. 인물의 감정과 내면에서 벌어지는 일만 설명하지 말고 사건을 일으켜야 한다. 독자에게 긴장감을 주고 다음에 어떤 일이 벌어질지 궁금하게 만드는 요소가 필요하다. 내면 묘사만으로 이야기 전체를 끌고 가기에는 무리다. 


 소설을 쓰는 도중에 세부 아이디어가 떠오르지 않으면 어떻게 할까? 등장인물이 처한 상황에서 어떤 일이 일어날 수 있는지 쭉 적어 보다가 좋은 아이디어가 나올 수 있다. 게임을 하듯이 ‘m’으로 시작하는 물건이 등장한다고 가정하는 등 무작위적인 것으로 정신을 자극할 수도 있다. 신문 기사, 사전에서 우연히 본 단어, 엿들은 구절도 좋다. 익명성을 느낄 수 있는 장소, 지나가는 사람을 관찰할 수 있는 곳으로 가는 것도 도움이 된다. 그림이나 조각을 보거나 하루키처럼 음악을 들어도 생각이 자유로워질 수 있다. 


 마음에 연을 띄우고 상상의 나래를 펼쳐보자. 그리고 실을 당겨 자신의 글을 점검하고 다시 연을 띄우자. 이러한 과정의 부단한 반복을 통해 좀 더 나은 글을 쓸 수 있게 될 것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