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새란 Feb 09. 2021

청림동 반지하 방엔 누가 살았나.

03 청림동 반지하 다세대주택 이야기



나는 그 방에 누워서 듣는 빗소리를 참 좋아했다. ‘타닥타닥’ 거리는 소리였다. 방 창문과 연결된 창고의 알루미늄 상판을 두드리는 소리였는데, 꽤나 경망스러웠지만 왜인지 내 마음에 위로를 주었던 것 같다.



문. 202호이지만 반지하였던.


그 집은 고개의 꼭대기에 있는 반지하방이었다. 가파른 경사에 자리 잡은 오래된 건물, 정면으로 들어가면 2층이었고, 뒤편으로 들어가면 반지층인 그런 구조였다. 동네의 이름은 ‘청림동’이었고, 고개의 이름은 ‘봉천고개’였다. 서울에서 살게 된 세 번째 집은, 서울 한복판에 있지만 정말이지 사람 사는 냄새가 폴폴 나는, 언제고 아이들의 웃음소리가 들릴 것 같은 정겨운 곳이었다.  


고시원에서 1년 하고도 절반을 보내며, 나의 심신은 지칠 대로 지쳐있었다. 그즈음, 두 살 터울의 오빠가 군 복무를 마치고 복학을 위해 서울로 왔다. 각자의 학교가 멀지 않은 거리에 있었기 때문에 우리는 경제적인 부담을 덜기 위해 같이 살기로 했고, 투룸을 구하러 다녔다. 내 기억이 맞다면 우리는 그리 많은 방을 보지 않았다. 한정적인 예산으로, 어느 한 명이라도 도보로 통학할 수 있는 동네에 살아야 했기 때문에 후보지가 많지 않았던 탓이다. 오빠는 그때나 지금이나 사리판단이 빠르고 똑 부러지는 사람인지라 나는 그저 부동산에 당차게 들어가는 오빠를 따라다닐 뿐이었다.

우리가 살 집은 그렇게 정해졌다. 그래, 이때까지 내가 살았던 곳이 ‘방’이었다면, 그곳은 ‘집’이었다. 방도 있었고, 가족도 있었다. 그 집은 보증금 천만 원에 월세 40만 원, 적당한 크기의 거실과, 널찍한 화장실, 그리고 방 두 개가 나란히 붙어있는, 그러나 빛은 잘 들지 않는 오래된 주택이었다.








대학을 졸업한 이후 우리 남매는 참 사이가 좋(아보인)다는 말을 많이 듣는데, 그 집에 살던 시절 우리는 진짜 많이 싸웠다. 부끄럽게도 돌이켜보면 가장 많이 싸운 이유는 ‘치킨’이었다. 나는 치킨 먹고 싶은데 쟤가 먹기 싫으면 괜히 심술이 나고, 내가 다이어트를 다짐하는 날이면 쟤는 꼭 치킨을 시켜먹자고 한다. 일주일 중 6일 정도를 싸우고 나면 하루 정도는 둘 다 행복하게 치킨을 먹는 날이 온다. 그래서 나는 반지하에 살며 무럭무럭 (옆으로) 자라났다.


동네 탐험을 좋아하게 된 이유도 엄마 아들 때문이다. 오빠는 이 골목 저 골목 다니는 게 좋다며 자주 나가 걸었는데, 그 덕에 한 번씩 같이 산책을 나가면 무서워서 못 가본 구석구석을 다닐 수 있어 좋았다. 봉천고개, 그러니까 이쪽의 오르막과 저쪽의 오르막이 만나는 그 끝에는 대단지 아파트와 오래된 집들이 경계를 이루며 놓여있었는데, 빵집과 문구점 같은 것들이 가득했던 아파트 단지 상가와 아파트 장터(매주 무슨 요일마다 돌아오는 그런 것도 여기서 처음 접했다!)를 경험할 수 있었고, 고개 아래로 쭉 내려가면 큰 규모의 시장에서 언제고 ‘자~ 칼치가 키로에 얼마’하는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다.




(이 글에는 벌레 이야기가 나오므로, 비위가 약하신 분은 다음 구분선으로 가주세요.)

그 집에서 내가 싸운 대상은 오빠만이 아니었다. 오래된 반지하 건물답게 우리가 힘을 합쳐 싸워야 할 대상이 있었는데, 그건 바로 곰팡이와 벌레 친구들이었다. 비가 내린다고 무작정 곰팡이가 꽃을 피우는 그런 집은 아니었지만, 초반에는 꽤 고생을 했던 기억이 있다. 방에 있던 가구 뒤에서 주로 곰팡이가 피어났는데, 닦아도 생기고 없애도 고개를 드는 그 끈질긴 생명력을 생각하면 지금도 몸이 근질거린다. 마트에서 파는 곰팡이 제거제를 열심히 뿌리고 닦아주며 곰팡이와의 싸움에서 승리했다.


그런데 이기지 못할 존재들이 바로 벌레였다. 바퀴벌레 정도라면 귀여웠을 텐데, 다리가 막 물결을 치며 기어가는 돈벌레(윽. 맞는지 확인하려고 검색했다가 괜히 어디 벽에 붙어 있을까 봐 주위를 두리번거리게 된다. 부디 검색은 삼가시길)가 가장 자주 나왔다. 그런데 그러나, 내가 그 집을 떠올리면 잊지 못하는 장면 넘버 원은 바로 ‘꼽등이’님과의 만남이었다. 나에겐 유니콘마냥 상상 속의 존재이었던 꼽등이가 화장실에 등장했을 때 나는 세상이 멈춰버린 줄 알았다. 그는 생각보다 더 굳건해 보였으며, 더 무지막지했다. 한 시간 정도의 대치상황이 있었던 것 같다. 도망가거나 사라져 버리는 더 끔찍한 상황은 싫어서 눈을 마주한 채로 벌레퇴치약을 살금살금 찾아왔다.


하지만 나는 알지 못했다. 꼽등이에게 약을 뿌리면 그는 정말이지 럭비 공보다도 더 어디로 튈지 모르는 상태가 된다는 것을. 약을 뿌림과 동시에 나를 향해 돌진하는 그의 모습이 내 기억 속 필름의 마지막 장면이다. 어떻게든 그 시절의 나는 그가 아무리 꼽등이라도 곱게 보내진 않았을 거다.






그 집에서는 꽤 오래 살았다. 3년을 조금 넘기는 시간이었다. 그러는 동안 오빠는 취업을 하고, 어느 시기에는 밀양에 사는 사촌동생이 상경하여 살기도 했다. 그러면서 내 방은 작은방에서 큰방으로 바뀌었다. 한층 위에 살았던 주인 가족은 늘 우리를 따뜻하게 대해주셨고, 정월대보름에는 찰오곡밥을 지어다 주시기도 했다. 사소한 정, 같이 살아가는 즐거움을 느끼는 시간이었다. 그리고는 다시 집에서 방으로 독립하게 되지만.



반지하방으로 향하던 골목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