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네 아름다움 -
菊花야 너는 어니 三月東風 다 보내고
落木寒天에 네 홀노 픠엿난다
아마도 傲霜高節은 너뿐인가 하노라
국화야, 너는 어찌 봄바람은 마다하고
나뭇잎 지고 하늘은 찬 계절에 네 홀로 피었느냐
아마도, 찬 서리에 굴하지 않는 절개는 너뿐인가 하노라
마치 불변하는 충신의 절개와 같이, 모든 초목이 시드는 바람 찬 시절에 저 혼자 발하는 국화의 아름다움을 우리네 글맛으로 읊은 시조이다. 조선시대 문인인 이정보(李鼎輔, 1693~1766)는 시조를 여러 편 남긴 것으로 알려졌는데, 그중에서 이 시조는 여타의 꽃들이 진 늦가을에 홀로 꽃을 피워내는 국화를 오상고절(傲霜孤節/傲霜高節; 서리를 이기고 외로이 피어내는 드높은 절개)에 비유한 것이다. 사군자 梅·蘭·菊·竹, 겨울의 추위를 이겨내고 은연히 피어나는 매화, 메마른 땅에서 오롯이 향을 발하는 난, 서리치는 가을에 홀로 강직히 피어나는 국화 그리고 사시사철 꼿꼿이 그 푸르름을 잃지 않는 대나무 중 앞서 살핀 蘭에 이어 국화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국화는 여러 꽃들이 피어나는 봄여름을 다 보내고 서리가 내리는 가을에 피기에, 옛 어른들은 다른 이들 뒤에 자리하면서도 더욱 향을 발하는 그 모습을 군자에 비유했다. 일찍이 대륙의 이름난 시인 도연명은 국화를 가장 친애하여 여러 시로써 읊고 지었는데, 그 유명한 귀거래사(歸去來辭), 관직을 뒤로하고 고향으로 돌아오며 지은 <귀거래사>에서 여느 길이 황폐해져도 소나무와 국화만은 여전하다며 술회하기도 했다. 그렇기에 국화는 은일과 절조를 상징하여 뭇 문인들에게 예찬 받은 것이다. 뿐 아니라 국화는 또한 장수와 복락을 상징함에 고려청자의 무늬로써 적지 않게 사용되었는데, 국화문은 상감청자 무늬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기도 한다. 국화가 사군자로써 매, 난, 그리고 대나무와 함께 그려지기 시작한 것은 중국 명나라 시대 이후인데, 우리나라에선 조선후기로 접어들며 중국의 남종문인화풍을 받아들인 심사정과 강세황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그려지기 시작했다.
여느 작품에 앞서 필자가 가장 아끼는 이 국화도를 먼저 살피고자 한다. 정조대왕은 조선의 학문과 문화를 한껏 드높인 문예군주로서 단원 김홍도, 표암 강세황 등의 화가들과 시대를 함께하며 예술적 번영 또한 이끌어 내었다. 그는 시와 붓글을 여러 유묵으로써 남겼는데 함께 전해지는 유묵 중 그림이 또한 못지않게 훌륭하다. 파초, 사군자 등의 문인화 몇 작품이 오늘에 전해지는데, 그 중 가장 뛰어난 작품성을 지닌 것이 이 <국화도>이다. 초대 국립박물관장을 지낸 兮谷 최순우 선생은 정조대왕의 이 <국화도>를 평하며, 화면에서 풍기는 높고 맑은 기품과 원숙한 용묵(用墨;먹을 쓰는 기술), 눈으로 느낄 수 없는 기운으로써 이 작품의 작자가 필히 왕자王者임을 짐작할 수 있다고 논했다. 또한 화면상 구도의 배치, 바위와 국화 그리고 풀에 달리 준 농담의 대조로 생동감과 안정감을 더불어 느낄 수 있다. 거기에 국화 위 살포시 앉은 풀벌레, 여치 한 마리로 대왕의 품격을 넘어 그의 익살과 정치적 유연함마저 내보인다. 이에 필자는 이를 우리나라 국화그림 중 또 정조대왕의 회화작품 중의 제일로 꼽는다.
玄齋 심사정과 豹菴 강세황은 당대를 대표하는 화가이자 서로 영향을 주고받은 벗이며, 동시대의 문예사조를 이끌어 조선후기의 화단을 더욱 융성하게 한 이들이다. 심사정(1707~1769)은 일생 동안 그림 그리는 데에 정진하여 일가를 이루었음에, 강세황이 그를 평하며 ‘못 그리는 그림이 없으나, 화훼와 조충이 제일이고 다음으론 영모 그 다음으론 산수이다.’라 논하기도 했다. 현재는 중국의 여러 화법을 두루 섭렵하고 남·북종화풍을 모두 받아들여 대륙적 화풍을 지니는 경지에 올라 당시 중국에서도 인정을 받았다. 현재와 표암 두 사람은 함께 합작하여 《표현양선생화첩(豹玄兩先生畵帖)》이라는 화첩을 남기는데, 오늘날 간송미술관에 전해진다. 아래의 작품, <오상고절>이 그에 속해있는 것이다.
강세황(1713~1791)은 심사정과 더불어 조선후기 화단에 남종문인화풍의 수용과 정착에 힘썼으며, 산수·인물·화조뿐 아니라 사군자 등의 문인화에도 조예가 깊어 당대의 화풍을 주도했다. 무엇보다 시·서·화에 모두 능통하여 삼절(三絶)로서 일컬어졌고 넓은 안목으로 화평(畵評)을 여럿 남겼다. 표암은 대나무와 국화 그리고 바위를 ‘유익한 세 벗’이라 칭하며 아꼈는데 위의 작품이 바로 그를 그린 것이다. 또한 그는 매난국죽을 한 벌에 함께 그리기를 즐김으로 사군자의 정착에 앞장선 인물이기도 하다.
늦가을이면 산과 들에 피어나는 국화는 사군자중 가장 다채로운 색을 지니고 있다. 그 중 금빛의 황국을 제일로 치기도 했는데, 이는 오방색 중 황색이 중앙을 표상하는 색이기에 곧 中正(중정)한 성격으로 치우침 없이 올곧은 성질을 지녔다고 보았다. 하여 그를 正色(정색)으로 여긴 것이다. 때문에 여러 문인들은 황색국화를 찬탄하며 시를 지었는데, 조선시대 문신 김안로가 지은 시 중 일부가 다음과 같다.
金氣肅萬物 가을철 기운이 만물을 가지런히 하니
洗然天地淨 정제돼 씻김으로 천지가 맑아졌도다
寒香備五色 차가운 향기는 오색을 갖추었으나
中黃最獨正 그 중 황색 국화가 가장 바르도다
그러나 한편으론 황색의 국화뿐 아니라 백색의 국화를 비롯하여 여러 색의 국화 또한 사랑을 받았으니, 다음의 시(詠黃白二菊; 황색과 백색의 두 국화를 노래하다)가 그를 입증한다. 이 고경명의 시 외로도 황색, 홍색, 백색, 자색과 흑색 등 여러 색 여러 품종의 국화가 길러지고 감상된 기록 또한 여럿 전해진다.
正色黃爲貴 국화는 본디 황색을 귀히 여기나
天姿白亦奇 백색으로 타고난 자태 또한 기이하다
世人看自別 세상사람 보는 바 저마다 다르나
均是傲霜枝 이 모두 서리에 굴하지 않는 가지로세
19세기에 접어들어 조선시대의 회화는 새로운 변모를 보이고 개성이 뚜렷한 화가들을 낳는다. 그를 대표하는 이가 吾園 장승업(1843~1897)이다. 그는 문기(文氣) 서린 작품보다는 뛰어난 기량으로 분야를 가리지 않고 소재를 폭넓게 다루어 경지에 오른 화가인데, 그래서인지 오원이 그린 사군자는 많지 않다. 위의 작품 <국석도>는 그 중의 하나로, 바위 사이에 핀 한 송이 큰 국화를 빠른 필치로 그려 낸 것이며 왼편에 쓰여진 정대유의 제시가 함께 그 필묵의 맛을 더한다.
石然 양기훈(1843~1919?)은 조선 말기에 활동한 화원으로 화조·산수·사군자 등에 능하였고 노안도(蘆雁圖)의 대가로, 기러기 떼 그림을 다수 그려 오늘에 전한다. 그가 그린 <병국도>는 당시 유행했던 시풍을 잘 보여주는데, 골동 항아리나 분에 난이나 국화를 심고 기르며 완상하는 것을 그린 것이다. 고리 달린 항아리는 단순한 먹선으로 명암 처리하여 반절만 그렸고, 국화꽃 세 송이가 서로 과시하듯 화면을 차지하며 향기를 뿜고 있는 모습이다.
세종대의 문신 강희맹은 <우국재부(友菊齋賦)>란 시로써 국화와 같은 이를 벗 삼아 군자로 나아갈, 서리가 내리는 추위 속에 충절의 마음을 피워낼 것을 노래했다. 새벽의 찬 서리, 저녁의 찬 이슬 다 받아내고도 푸르르게 피어내는 국화처럼, 차가우나 그윽한 향기로 저 밝은 달에 닿을 것을 읊었다.
奄四時兮倐忽 사계절이 문득 뒤바뀌니
念群芳兮衰歇 뭇 꽃방울들 시들어가네
殿百花兮始發 여느 꽃에 이어 피어나니
香淸冷兮逼骨 맑은 향 뼈에 스며드누나
塵萬丈兮眯目 만장홍진이 눈을 흐리고서
颯乾霜兮入髮 된서리 발부에 날아들어도
保芳馨兮無闕 꽃다운 향 여여히 보전하여
寄幽情於明月 밝은 달에 그윽함 발하구나
退溪 이황 선생은 들녘의 국화를 보고선 푸르른 물가로 거처를 옮기고파 하셨고, 秋史 김정희는 비바람 속에서도 자태를 뽐내는 국화가 꽃 중의 으뜸이라 읊기도 했다. 또한 조선의 대문호 燕巖 박지원은 평시 파초와 더불어 국화를 아껴 예찬하셨는데, 전해지는 그 유묵 중 유일무이한 그림으로 단국대학에 전하는 <국화도>가 있다. 이 국화그림을 끝으로 가을의 정취를 전하고 은일과 충절의 감흥이 일기를 바라며 글을 맺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