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더키 Oct 17. 2022

마음에 들지 않는 대화를 해야 할 때

나는 어떻게 바람직한 의사소통을 지속할 수 있을까?

괴산 시골살이가 여러 면에서 나를 살펴보게 만든다. 그냥 벌거숭이로 사람들과 대하는 듯한 느낌이 들 때가 많다. 이제까지의 교육과 훈련받은 언어 등 나를 보호해 줬던 옷가지가 나를 전혀 감싸주지 않는다.


이질적인 문화 속에서 살아 본 경험이 적지 않은 나인데도 여기 문화를 적응하기는 쉽지 않다.  어째 같은 언어를 쓰는 한국 사람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통하는 게 하나도 없는 것처럼 여겨지는지...


그러다 보니 마음에 들지 않는 패턴도 드러나고... 특히 최근에 두드러진  습관과 언행 중의 하나는 다른 사람들의 언어 표현에 과도하게 날 선 나의 반응이다.


사실, 불편한 느낌이 내 속에서만 머물면, 문제가 그리 크지는  않을 거다. 그건 오히려 언어에 대한 나의  높은 감수성이 드러나는, 나의 전문적 능력을 입증하는 걸로 볼 수도 있으니까. 오래전 언어의 영향력에 대해 공부하기 시작했을 때, 우리 트레이니 모두는  다른 사람의 세상 모델을 존중하지 않는 언어 사용에 대한 인식 훈련을 강도 높게 받았었다.


그래서일까? 난 다른 사람의 언행을 함부로 판단하고 평가하고 단정적으로 표현하는 사람들과 마주치면 어떻게 대해야 할지 몰라 참 황스럽다. 무례한 말들을 거리낌 없이 내뱉는 사람들을 만나면 내 속에서 뭔가 뜨거운 게 치밀어 오르는 걸 느끼기도 한다.


사람의 능력이나 진실성을 자기 기준에 맞춰 폄하하는 말을 사람들은 참 아무렇지도 않게 마구  해버린다. 특히 자기 합리화 즉 자기 행동을 정당화하려고 말이다.


그러나 아무리 전문적 지식에  바탕을 두고 일어나는 반응이라 해도 내면의 부정적 흐름을 얼결에라도 밖으로 흘리면 상대방을 다치게도 하고 종국에는 관계를 망쳐버릴 수도 있음을 종종 경험한다. 그렇다. 민감한 내 반응에 기반한 나의 부정적 언행들, 얼굴에 드러나는 싫은 표정 혹은 짜증 섞인 말투와  선생님 톤으로 지적질하기 등 로인 것들 말이다.  


문제는 트레이닝 혹은 강의실이 아닌 현실에서의 삶 속에서는 상대방의 언행이 마땅하지도 적절하지도 않다는 걸 알아차렸을 때도 어떻게든 지속적인 소통을 그것도 바람직하게 해야 하는 거다.


정직한 내 반응을 내 스스로 인지하면서도 상대방의 언행을 굳이 문제 삼지 않을 수 있다면 그래서 싫은 표정이나 지적질하는 언사를 쓰지 않을 수 있다면 정말 바람직한 게 아닐까 싶다.


그런데 문득, 그들의 틀을 내게 씌우려는 거에 반발하는 내가 그들에게  기준을 강요하는 건 아닌가 싶은 의문이 생겼다.


감히 말할 수 있는데, 나의 기준이라는 게 사실 오랜 기간에 걸쳐 이루어진 교육과 훈련을 통해서 습득된 지식과 능력이다. 나도 본래 언어 사용에 그렇게  민감한 사람은 아니었을 거다.  그렇다. 모든 사람이 의사소통에 대해서 혹은 언어의 영향력에 대해서 공부하거나 훈련받는 건 아니다.


내 기준에서 적절치 않다고 생각 드는, 그런 언사를 쓰는 사람과 대화를 해야 할 때, 나의 과도한 반응이 그들에게 드러나지 않으려면, 아니 나의 기준이나 내 감정을 그들에게 들이대지 않으려면 내 틀이 좀 더 유연해져야 될 거라는 생각에 도달했다.


그리고 그 틀의 유연함은 사고와 행동이 일치되었 그 진정성을 획득할 수 있을 거라는 데에 생각이 미친다. 사고방식과 언어 패턴에 대해 좀 더 세심한 관찰이 필요하다는 생각과 함께.

 

반복되는 부정적 패턴을 살피니 내게 부정적 반응을 일으키는 말과 문장이 좀 더 선명해졌다. 내가 싫어하거나 나를 불편케 하는 말들, 나 스스로 금기시했던 강력한 단어 혹은 개념들과 직면해 보기로 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나의 터부 단어는 죽음이다. 죽음은 무조건 불길한 거고 가까이할 필요가 없다고 믿어왔다. 하여, 그 단어를 입에 담지도 귀에 넣지도 말아야 한다고 나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에게도 주의를 잔뜩 주곤 했었다. 그런데 그 믿음이 요즘 흔들린다.


최근 근거리에서 지켜보게 된 한 이웃이 죽음과 아주 친하게 살고 있는 걸 알게 됐다. 그녀의  삶의 방식에서 엄청 견고한 위안과 건강함을 느꼈다. 얼마나 진실일지에 대한 의혹은 그다음 문제고 죽음이 두렵지 않다는  그녀는 언제나 당당하고 거침없는 태도로 자기 생각을 갈파하는 거 같았다.


그래서일까? 어차피 피할 수도 없고 피할 필요도 없는 거라면 가까이 친근하게 대하는 게 좋겠다는 생각을 나도 하게 됐다. 그러다 보니 어느새 내가 마주할 나의 죽음에 대해 좀 더 편안한 마음으로 바라보고 있는 나를 발견한다.


개념이든, 실제의 현상이든, 내게 가장 커다란 거부 반응을 일으키던 죽음이란 단어와 친해지면서 그 보다 덜한 부정적 단어나 표현에 훨씬 덜 과민하게 반응하는 걸 알아차렸다.


툭툭 내뱉는 문장에서 부정적 전제가 감지되어 내 레이다에 걸려들던 언어 패턴도 내게 더 이상 귀의 가시가 되어 아프게 찌르지는 않는 것 같고 어떤 성향의 사람과도 비교적 마음 편하게 대화할 수 있는 정도가 되었다. 


더 좋은 건 내 민감한 감수성에 대한 변명이나 설명을 할 필요가 현저히 줄어든 거였다. 아니 나아가 좀 불편할 수 있는 성질의 대화도 부드럽게 곰삭은 가을 고추처럼 잘 익은 맛과 향이 나는 대화로 이어가는 경우도 이따금 생겼다.  


의사소통의 묘수? 많이들 얘기하는 것 같다. 그러나 근본적 문제 해결을 제시하는  아직은 듣지 못한 것 같다. 아마도 이건 기술로 되는 일이 아니기 때문일 거다. 비둘기 같이 순결하면서 뱀같이 지혜로울 만큼 내 진실성도 잃지 않고 상대방도 존중할 수 있는 방식을 모색하려면 결국 내가 성장하는 수밖에 없다고 결론 내린다.


그렇다. 나답게 사는 게 무언지 선명해지면 그래서 나에 대한 나 스스로의 믿음이 확실하면 상대방의 언행에 그리 쉽게 휘둘리지는 않겠지. 또 그 감정에 영향을 받아 내 생각이 그렇게 간단히 휘저어지지도 않고 말이다. 당연히 내 표정과 언어의 톤도 상대방에게 그리 불편하게 나아가지 않게 될 거고.


특히, 내게 소중한 사람들과 마음에 들지 않는 대화를 계속하려면 결론은, 내가 성장하여, 상대방이 어떤 세상 모델을 보여줄지라도 그대로 존중할 수 있는 힘을 갖는 거다. 그렇다. 결국 의사소통의 묘수는 기승전 나의 성장과 타인에 대한 존중이다.






작가의 이전글 상태랑 춤춰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