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 사실 멋지게 성취한 얘기를 쓰고 싶었었다. 바닥을 여러 번 쳤음에도 어떻게 다시 일어나 독수리처럼 기운차게 하늘로 솟구쳐 올라 내 포부의 정점을 향해 창공을 날다가 어떻게 저 높은 곳에 도달하게 됐는지를 소상하게 알려주고 싶었었다. 아님 적어도 어떻게 터널을 빠져나와 눈부신 햇살 아래서 신명 나게 춤출 수 있게 됐는지를 뿌듯한 마음으로 들려주고 싶었었다.
그런데 난 아직 유영하는 독수리는커녕 이름 모를 작은 새의 날갯짓도 어려워하고 우아한 몸짓의 춤은커녕 무리 없이 걸음을 옮기는 것조차도 쉽지 않은 지경에 처해있다. 그렇다. 이건 정말 당황스러운 직면이다.
난 이렇게 여전히 바닥에서 기고 있는데 내 속에서는 글을 쓰라는 지상명령을 내린다. 뭘까? 잘 모르겠다. 하나지만 또렷한 내면의 소리를 더 이상은 무시할 수 없어 그냥 따르기로 했다. 자꾸 민망한 변명과 쑥스러운 미소를 머금고 키보드를 두드리는 내가 안쓰럽긴 하다.
아. 가만있어 봐. 내가 안쓰러울 이유가 뭐야? 너무 애쓰는 거 같아서. 아니 그럼 애쓰지 않고 되는 일이 세상에 어딨다고? 아직도 철딱서니 없는 삶의 태도에 기대어 꿈꾸는 거니? 나의 어리석음을 아니 오만을 툭툭 털어낸다.
익숙지 않은 날갯짓을 계속하는 건 대견한 일이고. 서툰 목발 걸음을 투덜거리지 않고 찬찬히 옮기는 건 기특한 거다. 아무도 알아주지 않는 요즘 내 일상을 나만은 세세히 목격하고 있잖은가? 진하게 살아온 날들의 경험을 제대로 정리해 보고 싶었다. 뭔가를 얻기 위해 새로운 방식을 끊임없이 시도하며 뭉근하게 기다려야 할 거다. 내가 늘 숭상하던 삶의 멋진 자세다. 나 스스로를 기운 나게 해 주려 한다. 그렇다. 최고의 토닥거림은 존중이다.
나에 대한 예의에는 측은지심이 깔려있다. 인내심을 장착한시간선을 기다랗게 그리며 하루하루를 버틴다. 최소한의 인간적 존엄성을 지켜나가려고 안간힘을 쓰면서 말이다. 그 힘겨운 싸움의 나날이라도 기록하는 건 나에 대한 최소한의 예우다.
절실함과 의연함을 꼬아서 만든 줄을 타고 아슬아슬하게 곡예하는 나날들이다. 결국 어젯밤에는 기어코 눈물 몇 방울을 떨구고 말았다.그리고는 멍 때렸다. 한참을 그냥 그렇게 호흡만 했다.
그놈의 희망의 끈, 그냥 놓으면 간단할 걸 무슨 영화를 보겠다고 붙잡고 있는 건지?힘이 없어 꼭 붙잡지도 못하면서 말이다. 그냥 붙들고만이라도 있겠다는건가? 그 점은높이 살만 한 거다.
내가 일하는 영역(심리치료 혹은 자기 계발)에서는 모두들 성장과 성숙과 성취를 얘기한다. 나도 보통은 그런다. 그리고 성공한 무수히 많은 사람들이 변화와 변혁을 갈파한다. 나도 대체적으로 그런 일을 해오고 있다.
그런데 지금 난 나아가지도 물러서지도 못하고 있다.
지금 내게 필요한 건 그런 어쩡한 상태에 머물 수 있는 힘이다. slow thinking을 하고 천천히 살기를 지향하며 잠깐 멈추기를 실행할 수 있는 동력 말이다.
나아가지는못하지만잘머물기만 해도 그리 나쁜 건 아니라고 나를 달랜다. 내가 좋아하는말, 스텝핑 스톤, 잘 머문다는 건 그 징검다리 건너는 순간들을 마음속에서 기꺼이 길게 늘어 뜨리는거다.
슬로우 모션으로 아주 천천히 움직임을 만드는 거다. 그러면 시간과의 타협도 조금은 더 수월해질 거다. 흑인지 백인지 결정하기 전에 회색지대에 가능한 한 오래 머무는 거다. 다른 방식으로 살아보기를 시도하는 거다.
물론 안다. 흑백 논리가 내포한 선명함을. 대한민국도, 나도 이 만큼 되기까지에는 분명하고 확실한 목표와 뜨겁거나 차갑거나 둘 중의 하나로 노선을 명백하게 정리해서 무섭게 경쟁하면서 일해왔기 때문이라는 걸. 아마도 오히려 그래서 난 이렇게 말할 수 있는 건지도 모른다. 이제는 우리도 잠시 멈춰서 숨 고르기를 할 만큼 되지 않았느냐고. 그리고 앞으로는 어디로 어떻게 가야 하는지 차분히 생각해 볼 수도 있지 않냐고. 함께 달리는 주변인들을 품으면서, 다양한 결과를 즐기면서 살아 볼 만큼의 여유를 우리가 가질 때도 되지 않았느냐고 말이다. 꼭 창공을 날거나 현란한 춤사위로 퍼포먼스를 하지 않아도 될 만큼 질박한 행복감에 취할 수도 있지 않겠느냐고.
안다. 사실 많이 달라지긴 했다는 걸.
합창 퍼포먼스를 즐기고 청년들의 댄스 배틀에 환호하면서 세계적 클래식 연주가들을 배출해 내고 국제 골프대회에서 10위 안에 네 명의 대한민국 남자 선수들을 올려놓는 대한민국이지 않은가. 영화도 드라마도 대중음악도 클래식도 운동도 심지어 음식과 화장품, 패션까지 모두 K를 앞에 달고 전 세계를 휘젓고 있음을. 그건 일류만 쫒기보단 실험과 도전과 경계선을 넘나드는 용기 있는 대한민국 사람들의 층이 두터워지고 그를 키우는 토양도 비옥해졌다는 방증일 테니까.
가만히 견주어 보니, 나도 참 많이 달라지긴 했다. 세상 겁 없이 충동적이고 성급했던 내가 언제 끝날지 모르는 집수리 현장을 목발로 찬찬히 조심스럽게 느긋하게 왔다 갔다 하고 있으니 말이다. 시니컬한 글감들에서 공감과 유머를 발견하고 마냥 부러워하면서 깔깔대고 있으니 말이다. 부러우면 지는 게 아니라 언젠가는 그게 내 거가 될 수 있다는 거니까. 나도 때로는 따뜻하기도 때로는 냉소적일 수도. 후후 좋다. 변덕을 부리면서 이리 편한 마음이 되다니.
문득 안도감이 든다. 이것도 저것도 아닌, 그냥 머무르면서 숨 고르기를 하는 이 회색지대에서는 나를 다그치치 않아도 된다는 사실에. 결정 내리기 전에, 선택하기 전에, 천천히 또박또박 배워야 할 거 투성이인 세상을 천천히 둘러봐도 되겠다는 사실에 마음이 놓인다. 배움에 관한 한 나는 Slow Learner (천천히 배우는 사람)이지만, Learning Junkie (배우는데 미친 사람)다. 그런 의미에서 난 세상에 잘 태어난 거 같다. 성급하긴 해도, 명확하게 한쪽을 빨리 택하지 못해도, 버틸 수 있는 성품을 잘 키우고 있으니까.
아직은 언저리에서 서성이고 있지만, 목조 게이트를 설치하고 주황색 지붕에 걸맞은 색들을 배합하며 페인트 칠하는 내 모습은 상상만 해도 기분 좋다. 회색지대가 몹시 멋스럽게 여겨진다.
세련된 멋을 은은히 풍기는 회색은 흑과 백을 모두 품은 넉넉함이다. 나도 은근히 그렇게 되길 기대하며 오늘도 그레이 존에서 버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