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씩씩한 종윤아빠 Jul 11. 2017

장애는 무조건 지지받아야 하는가?

장애를 바라보는 시선들...

저번주 서울 강서지역에서 발달장애 학교 건립을 둘러싼 지역주민과의 갈등이 언론을 통해 보도 되었습니다.

인터넷상에서도 이를 두고 다양한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대부분 집값 떨어진다며 반대하는 지역주민을 성토하는 글이 많았습니다.

http://www.ytn.co.kr/_ln/0103_201707070931234641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707072111025&code=990101

제가 직접 본 것도 아니고

장애학교를 건립하려는 교육감이나 국립한방병원을 건립하려는 국회의원의 의견

혹은 이 두 의견에 대한 찬반을 이야기 하고 싶은 생각도 없습니다.


하지만 이를 보면서 느꼈던 두가지.....

왜 항상 구도가 찬성하는 당사자부모와 반대하는 주민인가?

이 사건을 보면서 더 열심히 제도와 정책을 이야기하는 논조의 글을 보면서 과연 제도와 정책이 세상을 바꿀수 있을까? 라는 생각.....


장애특수학교를 건립한다면

찬성을 하는 주민과 반대를 하는 주민의 토론이 되어야 하며

당연히 찬성을 하는 주민안에는 장애부모와 비장애 부모 주민이 함께 있어야 함에도

어느 글에서도 찬성을 하는 주민 이야기는 없고

찬성을 하는 장애부모와 반대를 하는 주민 이야기만 있습니다.

혹시라도 토론회에서 찬성측에 비장애 부모 주민이 토론자로 포함되어 있지 않다면 이는 깊이 고민해볼 문제입니다.

이 토론회를 준비하고 기획하는 과정에서 장애부모와 교육청만 있었다면 저는 개인적으로 학교 건립에 조심스러운 입장입니다. 비록 다수가 되지 못하더라도 지역활동을 통해 지역 연계를 통해 찬성하고 지지하는 비장애 부모님이나 주민을 확보하고 확장해 나가지 못했다면 이러한 일방적인 행정을 우리는 다른 영역에서 용인해주었을까?


우리 아이를 이해해달라고 요구하고

우리 아이를 따뜻하게 바라봐달라고 강요하고 있지는 않은지?


동네에서 아이들을 위해 무슨무슨 일들을 해보자고 장애부모님에게 이야기하면

많은 부모님들은 당장 우리 아이가 할 만한 일이 아니면 동참을 하지 않으려 합니다.

상대적으로 비장애 부모님들보다 훨씬 더 자신의 아이외에는 바라보려 하지 않습니다.

그러면서 지역 사회에서는 국가에서는 우리 아이를 더 바라봐주길 원하는 것이 과연 타당하다 할수 있을까요?


저도 장애 아이 부모이지만 우연히 길에서 만나는 처음 본 장애아이는 익숙하지 않고 때로는 불편합니다. 

우리는 단지 장애 부모일뿐 장애에 대해 거창한 가치를 가진 활동가나 사회사업가가 아니기에 처음 본 장애아이, 장애청년을 내 아이처럼 바라볼수 없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타인에게 그 이상을 요구하고 있지 않은가요?


그 날 토론회에서 강서구 사람 아니면 토론회에 참여할수 없다는 어떤 참여자의 말이 틀린 말일까요?반대하는 지역주민이 100명이라면 찬성하는 지역주민을 100명이상 모을수는 없을까?



3년전 우리마을의 주택협동조합에서 4층건물을 지었습니다.

1층은 발달장애치료협동조합

2층3층은 발달장애 주간보호

4층은 발달장애자립지원센터

완공을 앞두고 마을 곳곳에 붙은 플랜카드들...


몇달동안 힙들었지만 그래도 결코 멈출수 없었던 것은 반대하는 지역 주민 못지 않게 찬성하는 지역주민들 덕분이었습니다. 1000여명 이상의 찬성 서명을 동네분들에게 받아 지자체에 제출하고 지역내 비장애부모님들의 연대 지지를 받을수 있었던 것은 사실 그 이전 10여년동안 이 동네에서 발달장애를 가지고 지속적인 사업과 행사를 진행해온 결과였습니다. 그래서 어찌보면 찬성하는 장애부모와 반대하는 주민이 아닌, 찬성하는 주민과 반대하는 주민의 구도가 가능할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말이 길어졌는데....

강서구의 일을 보며 단순히 좋은 일이니까 무조건 이해해라하는 방식은 일방적인 행정적 사고일수 있습니다.

더 우리 아이가 익숙해지도록 하고

더 우리 아이를 바라봐줄수 있게 하고

더 우리 아이를 구성원으로 인정할수 있게 하는 사회 통합적 노력이 꾸준히 전제되지 않는다면 이런 일은 앞으로도 전국 곳곳에서 나타날수 밖에 없을것입니다.


                      현재 운영중인 공터 건물.....













작가의 이전글 장애, 마을에서 산다는 것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