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박사 Jun 16. 2023

기업가와 투자자는 어떻게 다른가

On Entrepreneurship and Business | 기업가정신

“나는 워렌 버핏도 아니고 투자자도 아닙니다. 엔지니어, 제조업 종사자이며 기술자입니다. 제 일은 실제로 제품을 설계하고 개발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투자 포트폴리오를 운영할 생각은 없습니다.”


"I'm not Warren Buffett and I'm not an investor, I'm an engineer and a manufacturing person and a technologist. So I actually work and design and develop products. We're not going to have a portfolio of investments."


워렌 버핏Warren Buffett은 세계에서 가장 성공적이고 잘 알려진 최고의 투자자 중 한 명이라는 데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그의 기업에 대한 사고방식은 혁신 기업과의 그것과는 확실히 다른 것 같다. 2023년 5월, 투자회사 버크셔 해서웨이의 연례 주주 총회에서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인 BYD에서 전격적으로 투자자본을 회수할 것을 밝혔다. 버핏과 그의 오른팔이자 회사의 2인자인 찰리 멍거Charlie Munger 부회장은 지난 1년 동안 BYD로부터 지속적으로 투자금을 회수했다고 밝혔다.  


버크셔 해서웨이의 살아있는 주식투자의 전설이자 리더인 두 사람은 주주총회에서 BYD의 주식 매각과 관련한 대화 중에,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를 칭찬하는 듯한 발언을 하면서 떠오르는 자동차 산업의 수퍼스타에 대한 경의를 표했다. 주주들의 질문에 답변하는 과정에서 그들은 머스크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느냐는 질문을 받았는데, 버핏과 멍거는 그들이 머스크나 테슬라 비즈니스의 열렬한 팬은 아니었으며, 그의 회사에 대해 투자를 결정하지 않았기에 큰 부를 축적할 기회를 놓쳤다고 발언했다. 버핏과 멍거는 머스크가 경쟁이 치열한 자동차 업계에서 테슬라를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로 성공적으로 확장한 공로를 인정했고, 화성 식민지 개척을 꿈꾸며 SpaceX에서 재사용 가능한 로켓 기술을 개척했으며, 그 과정에서 세간의 이목을 집중시킨 실패와 장엄한 폭발을 경험하기도 했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버핏과 멍거는 테슬라 CEO인 “일론 머스크와 경쟁하고 싶지 않다”라고 말했다. 멍거는 그의 발언에 덧붙여 "우리는 그렇게 많은 실패를 원하지 않는다"라고 언급했다. 그들의 평가에 따르면 일론 머스크는 두 투자 거인보다 더 큰 꿈을 꾸고 훨씬 더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기 때문에 때때로 위대한 일을 성취하지만 종종 실패한다. 불가능한 일에 도전해 성취하는 것을 좋아한다. 멍거는 일론이 “무리하게 극단적인 목표를 시도하지 않았다면 인생에서 그가 지금 가진 것을 성취하지 못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멍거는 이렇게 말했다. "우리는 다릅니다. 워렌과 저는 쉬운 일을 찾고 있습니다. 우리는 그렇게 많은 실패를 원하지 않습니다." 버핏은 그들에게 도전과 성취는 일종의 고문이라고 했다. 


또한 버핏은 전기 자동차로의 전환이 진행되는 자동차 산업을 좋아하지 않는다고 덧붙였는데, 전동화라는 시대의 흐름 속에 자동차가 변화한다는 것은 알 수 있지만, 이에 따라 누가 시장을 지배할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 듀오의 발언에 다르면, “오랫동안 자동차 산업은 너무 힘들고 어려운 산업”이었으며, “전 세계적으로 수많은 경쟁자가 있고, 경쟁자는 사라지지 않을 것이며, 언제든 승자가 나올 것처럼 보이지만 누구도 영구적인 자리를 차지할 수는 없는 사업”이다. 그렇기에 그들은 중국의 전기차 시장의 리더인 BYD에 대한 투자를 일회성으로 끝낸 것으로 보이고, 버크셔 해서웨이는 향후 자동차 산업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하는 일은 없을 것이라는 신호를 보냈다. 향후 버크셔 해서웨이가 테슬라에 대한 입장을 바꿀지 여부는 아직 불분명한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테슬라의 높은 주가 변동성은 적어도 당분간은 버핏과 멍거 같은 보수적인 투자자 그룹으로부터 외면당할 가능성이 높다. 


버핏과 멍거는 확실히 테슬라 반대쪽에 베팅하면서 BYD 투자를 이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물론 겸손하게 테슬라 CEO의 라이벌이 되고 싶지 않다고 말하기는 했지만, 그들은 과거 십여 년 동안 가장 성공적인 투자로 꼽히는 BYD의 주요 투자자였다. 그들이 철수를 결정한 이유는 그동안의 성공이 부족해서가 아니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2억 달러에 불과한 초기 투자 이후, 보유 기간 동안 주식 성장, 주식 분할 및 배당금 지급으로 수십억 달러의 순이익을 올렸다.


과거보다 상당히 후해진 버핏과 멍거의 평가에 대해 머스크는 두 전설적인 주식 투자자의 발언에 대해 감사하다는 말을 트위터에 올렸다. 버크셔의 최고 경영자들은 머스크의 “모든 것을 올인하는 라이프스타일”이 그들에게 매력적이지 않다고 밝혔지만, 일론 머스크 역시 최근 몇 년 동안 자신을 그들과 같은 ‘투자자’가 아닌 ‘비즈니스와 제품을 만드는 사람’이라고 설명하면서 버핏과 거리를 두었다. 그는 투자라는 간접적인 기업 활동만으로 1천억 달러(약 130조 원)의 제국을 건설한 버핏의 전문성을 인정하면서도 기업을 연구하고 자본을 배분하는 버크셔 최고 경영자의 업무는 "매우 지루하다Super boring"고 밝혔다. 머스크는 일주일에 한 시간도 안 되는 시간으로 재무제표나 보면서 리스크를 피하고 안정된 수익을 올릴 수 있는 기업에 투자하는 일에 능하기 때문에 버핏은 이상적인 미국 재무장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BYD에 2억 달러를 투자할 여력이 있었다면 2023년 6월 기준 8천억 달러가 넘는 가치를 가진 테슬라에 투자할 기회를 놓쳤다고 비꼬기도 했다. 


이러한 사례에서 보듯 투자자와 혁신가의 관점이 크게 상반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원래 1839년 섬유제조회사로 설립된 회사인데, 1962년 이후 점진적으로 워렌 버핏이 주식을 사들여 최종적으로 인수한 것이다. 초기에 버크셔 해서웨이는 주로 섬유 제조에 중점을 두었지만 저비용 외국 제조업체와의 경쟁이 심화되는 등 심각한 문제에 직면하자 버핏은 회사 지분을 다각화하고 섬유 사업에서 벗어나기로 결정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에 Berkshire Hathaway는 다양한 산업 분야의 다른 회사, 특히 보험 회사의 주식을 인수하기 시작했다. 첫 번째 주요 인수는 1967년 보험 회사인 National Indemnity Company였는데, 이것은 버크셔 해서웨이가 향후 기업 인수를 통해 대기업으로 변모하는 시작을 알렸다.


버핏의 리더십 아래에서 버크셔는 독특한 투자 철학을 채택했는데, 단기적인 이익에 집중하는 대신 장기적인 가치 투자를 강조한 것이 그것이다. 강력한 펀더멘털, 지속 가능한 경쟁 우위와 유능한 경영진을 갖춘 회사를 찾는 것이 가장 중요한 투자의 결정 요인이 되었다. 오랜 기간에 걸쳐 버크셔는 수많은 인수 및 투자를 통해 지분을 확장했는데, 가이코Geico 보험 회사, 미국 2위의 주요 철도 업체인 BNSF Railway, 코카콜라Coca-Cola, 아메리칸 익스프레스American Express 등 잘 알려진 대기업의 지분 매입까지 확장한 결과, 오늘날 버크셔는 보험, 에너지, 제조, 서비스 및 소매와 같은 산업 분야에서 다양한 지분을 보유한 거대한 대기업이 되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버핏의 투자 능력과 동의어가 되었고, 세상에서 가장 비싼 주식 가격을 자랑하게 되었다. 회사의 A주식은 2023년 6월 기준으로 한 주당 50만 달러가 넘는 가치를 지니고 있는데(1969년 버핏의 가족과 지인들은 버크셔 해서웨이 주식을 당시 43달러에 인수했다), 평범한 일반 개미 투자자는 범접할 수 없는 수준이다. 실제로 알려진 개인 주주도 몇 천명에 지나지 않는다. 


버핏이 소유한 버크셔 해서웨이 제국의 연간 매출은 2,400억 달러가 넘는다. 전체 자회사의 종업원 수만 2022년 기준 38만 명이 넘는다. 버핏은 여전히 회사의 20%에 달하는 지분을 소유하고 있다. 회사는 그의 리더십 아래에서 연평균 20%씩 성장했다. 그는 자신이 세운 투자 회사를 통한 인수 합병에만 신경을 써 왔고, 자회사의 경영에는 일절 간섭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때문에 버크셔 해서웨이는 네브래스카에 위치한 아주 작은 본부 사무실과 25명의 최소한의 관리 인력만으로 운영할 수 있다. 


버크셔 해서웨이는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투자 회사이며 그 성공의 레시피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워렌 버핏의 비즈니스에 대한 통찰력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일론 머스크가 말하듯, 최고의 투자자라 할지라도 혁신의 비전을 제시하고, 자원의 제약을 벗어나, 이상을 현실로 만들 능력을 가진 것은 아니다. 


혁신가이자 연쇄창업가인 일론 머스크는 기존 산업의 영역을 허물면서 야심찬 목표를 추구하고 기술과 혁신의 경계를 넓히기 위해 위험을 감수하는 선구자로서의 리더십을 보여준다. 그는 회사의 일상적인 운영에 깊이 관여하는 실무형 리더로 정평이 나 있다. 또한 강력한 의지로 문제 해결을 위한 추진력을 강조하며, 인류가 이미 마주하고 있지만 아무도 해결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던 문제들을 해결할 혁신 기술의 잠재력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다. 그는 종종 실현 불가능해 보이는 공격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구성원들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하도록 독려한다. 그의 화법은 직설적이며, 전통적인 기업 규범에 도전하는 파격적인 언행을 마다하지 않는다. 트위터와 같은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활발한 활동을 펼치며, 자신의 아이디어를 전달하고 대중의 흥미를 유발하며, 때때로 유명인들이 꺼려하는 공개적인 논쟁을 직접 촉발하거나 참여하기도 한다.


반면 전설적인 투자자이자 저위험을 수반하는 안정적 경영을 선호하는 워렌 버핏은 기업에 가치 투자와 장기적인 관점으로 접근한다. 그는 다양한 기업 포트폴리오를 소유한 버크셔 해서웨이를 통해 부를 쌓았고, 예측 가능한 현금 흐름과 탄탄한 펀더멘털을 갖춘 안정적이고 탄탄한 비즈니스에 투자하는 데 중점을 둔다. 경기에 휘둘리지 않는 강한 인내심에 기반해 시간이 주는 복리 수익의 효과를 강조하며 장기 투자를 선호한다. 그는 투자 결정을 내리기 전에 위험을 신중하게 평가하는 절제된 면모를 강조한다. 시장 변동성 속에서도 차분하고 안정적인 리더십 스타일을 중요시한다. 연례 주주 서한과 인터뷰를 통해 자신의 통찰력을 공유하며 재정적 통찰력으로 존경받아 왔다.


요약하자면 머스크는 혁신, 파괴, 한계에 대한 도전을 중요시하는 비전 제시형 리더이자 직접 운영에 관여해 상세까지 챙기는 실무형 리더로 볼 수 있다. 반면 버핏은 가치와 저위험 전략에 중점을 두고 신뢰할 수 있는 관리자에게 책임을 위임하는 접근 방식을 취한다. 목표 달성을 위해서 모든 방법을 동원해 위험을 감수하는 혁신가의 파격적이고 공격적인 경영, 보수적이고 안정적인 재무적 성장을 기대하는 장기 투자자의 기업 육성, ‘틀림’보다는 ‘다름’의 문제일 수 있다. 그러나 혁신은 재무적인 투자만으로 얻어지지 않는다. 우리 삶 속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집요하게 노력한 혁신가들이 있었기 때문에 인류의 역사가 진보를 경험할 수 있었다는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전 01화 Tesla Master Plan Part 1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