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부 시민기자단 Oct 25. 2022

투정

대체로 동네 주민센터에선 주민들의 아주 기본적인 정보는 알고 있지 않을까? 

은평구에 오랫동안 살았지만, 매번 같은 상황에 내 장애에 대하여 다시 생각하는 때도 있다. 내 나름대로 지역 사회에 '장애'를 말하기 위해 내 직장, 복지관, 시민신문에 글도 기고하고 있다. 

아무리 “장애 당사자에게 직접 물어보세요.” 이러한 메시지로 글을 쓰지만, 사람들은 활동지원사님에게 먼저 눈이 갈 수밖에 없다는 걸 알고 있다. 나와 지원사를 처음으로 대면했을 때 전동휠체어에 앉아있으며 고개로만 내 의사를 전달하는 모습을 보면 이해가 간다. 나랑 대화를 시도하기보단 지원사와 대화하려는 모습이 자연스러운 일인지도 모르겠다.     

얼마 전, 불광동 주민센터에서 내 집으로 찾아와 보조기기 관련된 만족도 조사를 한 적이 있다.

나도 솔직히 구청이나 동네 주민센터 ‘공무원’ 대한 편견이 있다. 대부분 복지에 관한 일을 하지 않으면 장애 이해가 없는 게 사실이다. 빨리빨리하는 습관과 바쁜 일 처리에 공무원들하곤 제대로 대화한 적이 없다. 그날도 두 명의 직원이 와서 짧은 인사를 하고, 보조기기(최중증 지체 장애인을 이동하는 이동식 리프트)의 기능을 확인했다. 

한 직원이 만족도 조사 용지를 머뭇거리면서 어쩔 수 없겠다는 모습으로 맴돌고 있었다. 

나는 그런 행동에 익숙해 기다리고 있었는데 또 다른 직원은 바로 내 옆에서 “지원사에게 줘.” 이렇게 말을 했다. 

물론! 내가 적을 수 없겠단 생각에 말했다고 가정해보자. 그래도 만족도 조사는 이용인의 어떤 물건이나 어떤 일에 관하여 만족을 느끼는 정도에 대한 조사다. 그 내용을 명확히 알기 위한 과정이면 이용인의 입장이 매우 중요하다. 

그 보조기기에 대한 피드백을 지원사도 줄 수 있다. 

하지만 만족도 조사는 내 생각을 알기 위한 조사라면 “김삼식 님이 손이 불편하시니까 활동지원사님께 부탁해도 될까요?” 그 직원은 이렇게 말을 했을 거다. 만약 이 직원이 언어장애가 있다는 판단에 내 의견을 묻지 않고, 그런 행동을 한다면 너무 수치스러운 일이었다.      

내 글에는 언어장애 때문에 소외를 당한 사례가 많이 있다. 

내 경험과 함께 어느 누구보다 이와 같은 내용을 잘 전달할 수가 있는 것 같다. 독자들 입장에서 보면 또 투정 같은 글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갓난아이의 울음소리에도 다 이유가 있다. 




김삼식 기자

호기심과 물음이 많은 사람

매거진의 이전글 내추럴 디스오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