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성북 Jun 29. 2017

골목이 있는 마을, 사람이 사는 동네, 성북동

[2호] <성북동 마을 기행> 참가기|글 강서희 

  성북동을 탐방한다는 모임이 소셜다이닝 사이트 집밥에 올라왔다. 성북동하면 예쁜 카페, 공방, 성북동 비둘기, 고급 빌라 등등이 떠올랐다. 모임 설명에 성북동 골목을 탐방한다고 되어 있었다. 성북동 골목! 골목이라는 말만 들어도 특별하게 느껴졌다. 평소 큰 길을 따라 올라다니며 몇 몇 음식점과 커피숍을 방문해 봤었다. 그다지 특별한 경험은 아니었다. 나는 여기저기 숨어있을 예쁜 카페와, 공방이 떠올랐다. 다른 곳에서 발견하지 못한 아기자기한 소품 샵에서 액세서리를 하나씩 사들고 나오는 모습도 머리에 그려졌다. 갈까 말까 한참을 고민했다. 성북동은 평소에도 자주 갈만한 곳인데 나 혼자 돌면 되지 않을까? 탐방 전날 저녁까지도 고민했다. 결국 나 스스로는 어렵게 결정하고 탐방에 참여했다.


  토요일 오후 4시, 한성대입구역 6번 출구에 하나 둘씩 사람들이 모였다. 어색하게 인사를 나눈 사람들은 빨간 꽃을 든 성북동천 김기민 씨를 따라 성북동 탐방을 시작했다. 대안공간 11717 앞을 지나 성북로8나길로 접어들었다. 큰길과 분위기가 달라졌다. 번듯한 간판이 제법 많은 성북동 큰 길과 달리 골목에는 간판이 없었다. 이미 색도 많이 바랜 건물들이 많았다. 낮은 빌라들 사이로 한옥들도 섞여 있었다. 변화하는 것과 변화하지 않는 것들이 뒤섞여 있는 모습이 보기 좋았다. 그냥 그대로 자연스러웠다. 누군가는 새로운 집에서 살고 싶고, 어떤 사람들은 지키고 싶었던 것일 뿐이다. 사람들이 이내 골목은 가팔라졌다. 비탈을 힘겹게 올라가려니 땀이 솟았다. 여기 사는 사람들은 어떻게 매일 오르락내리락 하시는 건지 나는 이내 궁금해졌다. 슬레이트 지붕은 옆집과 닿을 듯 가까웠다. 이러면 이웃이 안 생길래야 안생길수가 없겠다 싶어 웃음이 났다. 외로운 서울 생활에서 가장 필요한 것은 이웃이었다. 좁은 원룸들은 서로의 사생활은 지켜주지만 사람의 정이 그리운 마음을 달래주긴 힘들었다. 수없이 많은 사람들이 내 옆집에 왔다 윗집에 왔다 떠나갔다. 정착하지 못하는 도시가 서울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아직도 옹기종기 모인 동네가 살아있다는 느낌이었다.


  가파른 길을 따라 올라가다가, 내려가며 길을 걷다보니 성북동이 흥미로워지고, 궁금해졌다. 지금 내가 사는 대단지 아파트가 있는 공간은 아무리 걸어도 궁금하지 않았다. 아무리 걷고 여러 골목을 지나쳐도 직각 반듯한 길들은 비슷비슷한 거리였다. 다르기도 힘든, 뻔한 공간이었다. 성북동 골목은 다음에 어떤 길이 펼쳐질지 예상이 되지 않는 곳이었다. 좁은 길을 걷다보면 큰 길이 나오고 다시 좁은 골목에서 갑자기 비탈을 타고 올라가야했다. 다음 길이 궁금해지니 사람들이 어떻게 이 성북동에서 살고 있는지도 궁금해졌다. 내가 신기하게만 보이는 이 거리에서 어떤 사람들이 살까, 눈이 오면 어떻게 이 길을 다닐까 궁금해졌다. 사람들이 사는 모습이 궁금해지는 거리탐방은 처음이었다.


  꼬불꼬불 골목을 지나 홍익사대부고 뒷문으로 가자, 한눈에 성북동이 내려다 보였다. 산과 색색깔 지붕이 어우러진 경치는 최고였다. 지붕과 지붕이 촘촘이 맞닿은 모습이 아이들이 옹기종기 모여 있는 모습 같았다. 그로부터 계속해서 올라가니, 여러 대사관저와 고급 빌라들이 보였다. 일년에 렌트가 얼마더라-하고 도시괴담처럼 들리던 그러한 고급 관저도 성북동에 자연스럽게 어우러졌다. 이질감도 없이 그곳도 성북동, 좁다란 골목길을 사이에 둔 옹기종기 모여든 집들도 성북동이었다. 여기에 사는 누구는가는 어떤 모습으로 사는지, 높은 장벽 위에 날카로운 철조망까지 쳐 논 그들은 어떻게 사는지- 궁금해졌다.


  이 날의 성북동 탐방의 끝은 김철우, 이현숙 선생님의 자택이었다. 성북동 스카이라운지라는 별칭에 걸맞게 테라스에서 성북동이 한눈에 내려다 보였다. 후덥지근한 날, 한참을 걸어 다닌 뒤라 목이 탔다. 시원한 막걸리와 함께 정성껏 준비하신 저녁을 먹었다. 대부분 자취하는 분들이 대부분인 탐방대는 나오는 음식에 끊임없이 탄성을 질렀다. 자취를 하게 되면 가장 그리운 밥상이 반찬이 두 개 이상 놓인 밥상, 누군가와 함께 하는 밥상일 것이다. 이 모든 것이 충족된 밥상은 행복했다. 끊임없이 나오는 맛난 음식도 좋았다. 어둠이 내려 시원해진 테라스도 좋았다. 그보다 더욱 행복했던 것은 밥상 위에서 이야기가 도란도란 지나가는 순간이었다. 좁은 방 안에서 벗어나 사람과 함께할 수 있다는 것이 행복했다. 성북동에는 예전 내 이웃이 살아 있었다.


  소비하면 소진된다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서울에서 거리를 즐기는 방법은 대부분이 소비하는 데 치중되어 있다. 참신한 분위기, 한적한 분위기를 찾아 몰려온 사람들은 그 분위기를 소비하고, 그 모든 에너지가 소진되면 다른 거리로 옮겨갔다. 나 역시 수많은 거리를 소비해온 사람이다. 항상 그렇게 소비하고, 소진되어 달라져버린 거리들을 보면 쓸쓸해지기만 했다. 변하게 만든 ‘외지인’을 끊임없이 비판하며, 거대 자본이 모든 것을 바꾸어 놓았다며 성토했다. 하지만 나 역시도 소비하지 않고 어떤 장소를, 그 곳에 사는 사람들을 생각할 여유가 없던 것은 사실이다. 성북동천 성북동 탐방을 하면서 조금이나마 소비하지 않고 어떤 동네를 좋아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소비를 하기 위한 공간이 아니라 주민이 알고 있는 좋은 길들을 찾아다닐 수 있던 것이 행운이었다. 마을에 터를 잡고 살아가는 주민들의 이야기를 들어볼 수 있는 기회가 찾아온 것 또한 행운이었다. 앞으로도 성북동 탐방이 계속 이어져 많은 사람들이 성북동을 이해하고 마을을 꾸미고 지켜나가는데 보탤 수 있었으면 한다.


강서희는 머나먼 남쪽 끝에서 태어나 5년 전 서울로 올라와서 성북동 근처를 맴돌며 일하고 있다. 화려하고 번화한 서울 한가운데, 고향마을을 닮은 성북동을 편안하게 생각하고 좋아한다. 역사와 시간이 묻어나는 길이 그를 다시금 성북동으로 발걸음을 돌리게 하는 원동력이다. 이 글은 ‘성북동천’이 주관하는 ‘성북동 마을 탐방’에 참가하고 난 후기이다.



※ <성북동 사람들의 마을 이야기> 2호는 서울마을미디어지원센터 2014 마을미디어 활성화사업에 선정되어 사업비를 지원받아 간행되었습니다. 소개된 글은 2014년도에 쓰여져 잡지에 실렸으며, 2017 동 사업을 통해 웹진으로 발행되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 마을의 자랑거리, 간송미술관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