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울시교육청 Jul 18. 2018

인터넷에 남아있는
제 정보를 지워주세요

정보화 시대 새롭게 생겨난 직업, '디지털 장의사'란?

  

인터넷에 남아있는
제 정보들을 지워주세요



알고 싶은 정보가 있을 때 사람들은 인터넷으로 검색을 하고, 직접 글을 올려 질문을 하기도 하지요. 누구나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으로 소통할 수 있는 시대. 인터넷 속에는 수많은 정보들이 기록되어있는데요.

그런데, 내가 SNS에 직접 올린 과 사진들, 나도 모르는 새 여기저기 돌아다는 나의 개인정보들은 언제까지 온라인 상에 남아있는 것일까요? 내가 세상에서 사라지고 난 후에는 어디로 가는 걸까요?


인터넷에 기록된 정보들은 누군가 지우기 전까지 계속 남아있어 문제가 되는데요우리가 원하지 않는 인터넷상의 기록을 찾아서 지주는 새로운 직업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온라인 세상 속 인생을 정리해주는 디지털 장의사에 대해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디지털 장의사 개인이 원하지 않는 인터넷 기록이나 세상을 떠난 사람들이 생전에 인터넷에 남긴 흔적
디지털 유산 정리주는 온라인 상조회사입니다
.


기록을 깨끗이 씻어낸다고 해 디지털 세탁소라고도 불려요.


 

 

개인 혹은 유족들이 인터넷에 남은 흔적의 제거를 의뢰하면 디지털 장의사는 삭제 대상 정보들의
위치를 파악한 뒤 찾아낸 정보들 중 명예훼손이나 사생활 침해 소지가 있다고 판단되는 정보를 추려내
고객으로부터 위임장을 받아 고객 대신 삭제 요청에 나서요.


정보를 대신 삭제할 뿐만 아니라 인터넷 저장 공간에 올려놓은 업무자료 등 고객이 남긴 디지털 유산을
가족에게 물려주는 업무도 함께 진행한다고 해요.
 

 


인터넷에서 나를 잊어주세요

디지털 장의사와 ‘잊힐 권리


기억은 시간이 지나면 사라지게 되지만 인터넷 속 정보들은 계속해서 남아 검색을 통해 누군가 다시 찾아볼 수도 있게 되죠.

‘잊힐 권리는 인터넷에 검색되는 자신의 정보를 삭제할 것을 요구하는 권한인 ‘개인정보 삭제 청구권이에요온라인에서 개인은 누구나 자유롭게 의견을 표현하며 정보를 생성지만, 이를 삭제할 수 있는 권한은 포털 사이트 등과 같은 기업에게 있어 스스로 삭제가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가 생겨났어요.


디지털 장의사는 고객의 ‘잊힐 권리를 최우선으로 생각하여 원치 않는 인터넷 개인 정보들의 삭제를 돕는다고 해요.




 

‘잊힐 권리와 디지털 장의사에 대한 관심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지만표현의 자유알 권리 등 정보화 시대에 직면한 다양한 윤리적 문제들로 아직 법적으로 제도화되기에는 조심스러운 부분이 많아요.

  
올바른 사이버 윤리의식과 함께 구체적이고 명확한 기준이 마련된다면 더욱 좋겠죠.

 

 


내 정보를 지켜요!


정보화 시대, 새롭게 생겨난 직업 디지털 장의사 흥미롭게 보셨나요
나의 소중한 개인 정보를 스스로 지킬 수 있도록 개인정보 보호 수칙도 함께 되새겨보세요.

 


[개인정보 보호 수칙 알아보기]
https://blog.naver.com/seouledu2012/221048242851





[참고자료] 네이버 트렌드지식백과 '디지털 장의사'

https://goo.gl/dpHqYz


[출처] 서울시교육청 블로그 '서울교육나침반'

https://blog.naver.com/seouledu2012


매거진의 이전글 여름방학 여행 전 알아두면 좋은 호텔용어 사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