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승훈 Hoon Lee Dec 18. 2022

시장, 경쟁? 제품, 유저, 그리고 팀.

스타트업의 성장을 만들어 내는 본질

제품, 성장, 그리고 팀.

스타트업하며 시간/고민이 집중되는 영역이다.


제품이 유저 및 이해관계자의 문제를 지속적으로 해결하고 있는가?

제품의 개선이 회사의 건전한 & 지속 가능한 성장을 만들어 내고 있는가?

제품 개선을 바탕으로 회사의 건전한 성장을 만들어 내는 팀으로 진화하고 있는가?


사람들이 때로는, 

"시장에서 더 큰 성장의 기회를 지속 발굴해야 하는 것 아닌가?"

"경쟁사 대비 차별화 요소를 더 강화해야 하는 것 아닌가?"

물어볼 때가 있는데, 


그럴 때 예의를 갖춰 아래와 같이 다시 질문하곤 한다.


"그런데, 시장은... 누구인가요? 시장에서 발견할 수 있는 더 큰 기회란 무엇일까요?"

"그런데, 경쟁사 대비 꼭 달라야 할까요? 다름을 만들어 내는 기준이 '경쟁사' 여야 할까요?"


생각해보면, 과거 컨설팅 업계에 종사할 때에는 나 역시 '시장과 경쟁'의 관점에서 client 사를 많이 봤었다.


그런데, MBA를 거치며 & 링글을 창업하고 운영하며, 

회사를 대하는 고민의 초점이 '경영학적 분석' 보다는 '창업의 이유'에 더 맞춰지고 있는 듯 하다.


내가 생각하는 창업의 본질은, 

"더 좋은 제품을 만들어서, 유저 분들의 더 많은 사용성 기반 성장을 만들어 내는 것!" 


스타트업에게 있어 성장은, 더 좋은 서비스를 더 정교하고 더 직관적으로 만들어, 더 많은 유저 분들이 더 생산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지속적으로 만들어 드리는 과정에서 결과적으로 얻어지는 보상이라 생각한다. (쉽게 이야기 하면, 스타트업이 더 좋은 제품을 만들면 유저 분들이 더 사용해 주시고, 사용하지 않던 유저 분들까지 사용해 주기 시작하시며 성장이 시작된다) 


더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서는, 경쟁사를 들여다 보는 것이 아닌, 유저의 목소리에 집중해야 한다. 대부분의 유저 분들은 타사 서비스에서도 큰 만족을 느끼지는 못하시기에 때문에, 서비스가 진화해야 하는 방향은 '유저의 unmet needs'로 부터 구하는 것이 맞다 생각한다. 


다른 이야기지만, Professional firm, 그리고 큰 회사에서 스타트업에 조인하려 하시는 분들 중, 

"저도 이제는 제품을 만들어 보고 싶습니다!"

"저도 좋은 제품을 기반으로 회사를 성장 시켜 보고 싶습니다"

말씀하시는 분들이 보통 회사에 오래 남아주시고 결국 impact 를 만들어 내시는데, 

결국, 스타트업은 제품-성장-팀의 선순환을 통해 그 가치를 세상에 전파한다 생각한다.


결론적으로, 기업의 본질은 더 좋은 제품을 만드는 데 있다.

더 좋은 제품을 만들기 위해 더 강한 팀을 만드는 것,

그 과정에서 회사의 건전한 성장을 만들어 내는 것이 리더십의 본질이라 생각한다. 

작가의 이전글 마이크로를 챙기는 것과, 마이크로 매니지의 차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