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Jaysh May 29. 2017

2002년의 우리들

영화 <노무현입니다>를 보고 느낀 것들에 대해

2002년은 내가 대학을 입학하던 해였고,

축빠로서 월드컵을 술한잔 하면서 볼 수 있었다는 점을 인생 최고의 행운 중의 하나로 여기며 추억하는 해이기도 하다.


21세기를 맞이하며 모두들 기대감에 들떠 있었고

마치 1988년 서울올림픽이 그러했듯,

2002년 월드컵은 새 시대로의 도약을 상징하는 것만 같았다.


적어도 2002년을 살던 우리는 그랬고, 스스로 세련되어졌다고 여겼던 것 같다. 그랬던 것 같다.




지난 주말 영화 <노무현입니다>를 보며 느낀 점이 있다.


02~03년을 대학교 1, 2학년생으로 '노풍'을 내 눈으로 지켜보았고, 2009년 노무현의 죽음을 목도할 때까지..


당시 세상이 정말 세련된 세상이었나.. 싶다.

년도를 가리키는 앞자리 숫자가 1에서 2로 바뀌었다 뿐이지 뭐가 그리 바뀌었나..



아니, 적어도 저 2002년 월드컵 로고만큼이나 촌스러웠던 것 같다. (저 로고가 공식로고는 아니다.)


우리는 그냥 세련된 척, 뭔가 바뀌어 가는 척 했었던 것 같다.


새 시대를 바라는 기대감과 함께 노무현은 등장했지만, 그에 반해 세련되지 못했던 언론, 보수층, 사회, 시민..


우리는 딱 노무현의 등장까지만 책임지고, 그 이후는 나몰라라 했더랬다.


시대의 기대감에 떠밀려 대통령 자리에 선 노무현에게.. 무기력감은 가히 절망적이었을 것이다.



어찌 저리 살았을까. 도대체 왜 저렇게까지 하면서 살았을까.


조금만 돌아갈 것을.

두 번째 파도를 기약하며 살아줄 것을.


인간 노무현이라는 사람을 조금 더 이해하는 사람이 더 많았으면 좋았을 것을.


시대의 기대감은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만들었지만

인간 노무현을 이해하고 대할 수 있을 정도로 세련되지 못했던 것 같다.




문득, 노무현이 뿌린 유산이 정말 많다는 생각을 한다. 비로소 새 시대를 맞을 준비가 되어가는 것 아닌가 싶다.


과정없는 결과 없다고 했다.

이제 충실히 씨앗을 뿌려 수확할 때다.



그를 기억하며


우리의 2002년은

이제

다시

시작이다.


작가의 이전글 많은 감성과 공감능력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