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문전성시 Oct 21. 2023

팀장님, 기획을 할 때 참고할만한 모델이 있나요?

팀장의 기획 - 제 6 화


(박대리)


(Q1)
팀장님, 기획과 관련된 책들을 보면 방법론에 대한 설명이 엄청 많던데요.
 이게 다 유용한 건가요?

(문팀장)


맞습니다. 


기획을 위한 분석 모델은 목적별, 케이스별로 종류가 꽤 많아요. 


① 상황 분석

② 사업 환경

③ 마케팅

④ 기업 분석

⑤ 거시 분석

⑥ 외부 환경 분석 등 다양합니다.


그중 일부는 유명한 컨설팅 회사(예:보스턴 컨설팅 그룹)에서 만든 방법론도 있고요. 






(박대리)

(Q2)
음.. 궁금하긴 한데 지루한 내용일까 봐 걱정이 되긴 하는데요.
몇 가지만 설명해 주시겠어요?


(문팀장)


일단 기획을 하기 전에 상황 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론으로 5W 3H가 있어요


상황 파악을 위해 


① Why, ② What, ③ When, ④ Where, ⑤ Who를 지칭하는 5W를 통해 객관적으로 정리를 해 보는 것이지요.


그러고 나서 어떻게 할지(How)를 3가지 방향으로 정리를 해 보는 거예요. 


이런 방식에 따라 상황을 정리해 나가다 보면 어렴풋이 머릿속에 있던 생각들이 좀 정리가 될 겁니다.







(박대리)

(Q3)
그러면 새로운 사업 아이템을 검토할 때 쓰는 방법도 있나요?

(문팀장)


가장 일반적으로 알려진 방법론은 3C가 있어요.


새롭게 검토해야 할 사업 아이템에 대해 이해관계자가 될 수 있는


첫 번째, 고객(Customer)

두 번째, 자기 회사(Company)

세 번째, 경쟁사(Competitor) 입장에서 정리를 해 보는 거지요.


이러한 방식으로 대상에 따라 명확하게 정리를 해보면,

기획안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조금씩 찾을 수 있게 됩니다.


(※ 출처 : Awesome note - 기획서작성 - 3C 분석방법)





(박대리)

(Q4)
만약 새로운 제품이 대해 다른 부서에서 검토가 되었고,
저는 마케팅 담당이라면 이러한 모델은 못 쓰는 거 아닌가요?

(문팀장)


맞아요. 마케팅에 대한 기획을 검토할 때 사용하는 방법론은 따로 있어요


3C와 유사하게 4P라는 방법론이고요.


새로운 제품에 대해 


① 가격(Price),


② 제품(Price), 


③ 유통경로(Place),


④ 판매촉진(Promotion)으로 생각해 보는 것이지요.


(※ 출처 : 모든 경영의 답 블로그 - 4P 전략 )




(박대리)

(Q5)
뭔가 좋은 방법론 같기도 하고 약간 억지 같기도 하고 그러네요. ^^;;
그 외에 또 다른 참고할 만한 기획 방법론이 있나요?


(문팀장)


박대리님도 SWOT 분석은 들어보셨을 거예요.


요즘에는 중고생들 학교 숙제에도 쓰일 정도로 유명한 방법론이기도 하고요.


그 외 환경분석을 위해 사용되는 PEST(정치 / 경제 / 사회 / 기술) 방법론도 있고요.


보스턴 컨설팅 그룹에서 사용해서 유명해진 기업의 경영전략을 분석할 때 사용하는 BCG Matrix도 있어요.


하버드대학교의 마이클포터 교수를 통해 알려진 5 Force 모델도 유명하답니다.


이런 방법론들은 교과서 같은 내용으로 사용해 보면 머릿속을 정리하는데 분명 도움은 될 거예요.


다만 이런 방법론을 해봤다고 해서 기획안이 덜컥 나오는 건 아니니까 그걸 염두에 두시면 좋을 것 같네요 ㅎ



(다음화에 계속됩니다)

이전 05화 팀장님, 기획에서 가장 중요한 건 뭘까요?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