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소걸음 Dec 04. 2020

공감이 신앙이고 공생이 구원이다

잠깐독서0023: 사회는 왜 아픈가 

학자의 진정성을 드러내고 실천적 함의도 구체화시키는 출발은 공감적 자세이다. 


공감 없는 연구는 없어야 할, 없는 것이 나을, 말 그대로 ‘사족(蛇足)’이다. 

종교에서 ‘죄’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만, 학문에도 죄가 있다. 

공감 없는 연구, 무감각한 정보의 나열, 무감(無感)이 죄이다. 


그에 반해 고통에 대한 공감적 연구는 학문이라는 종교의 신앙이라 할 만하다. 


이반 일리히(I. Illich)가 함께 사는 ‘공생(conviviality)’을 강조했는데, 


‘더불어 삶’에 일조할 때, 학문도 구원의 길에 동참한다. 


무감(無感)이 죄라면 공감(共感)이 신앙이고 공생(共生)이 구원이다. 

무감에서 공감으로, 그리고 감성적 차원의 공감을 넘어,

공감적 공생으로 나아가는 것이 학문의 길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코로나 시대의 언어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