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심심해의 취미생활 May 02. 2019

이데올로기와 인간의 오만함

이데올로기에 대한 분석 : 「추악한 동맹」, 존 그레이

# 이데올로기과 인간에 대한 믿음


민주주의, 자유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 등.

이런 ‘~주의’는 바람직한 사회모델을, 즉 유토피아를 제시한다.

‘모든 인간  ’, ‘빈부격차  ‘ 등.

우리는 ‘~주의’ 이데올로기라 부른다.


이데올로기 크게 세  로 구분된다.

첫째, 사회문제의 발견과 규정.

ex) 빈부격차가 문제다.

둘째, 바람직한 사회모델의 제시.

ex) 빈부격차가  .

셋째, 바람직한 사회를 위한 처방.

ex) 사유재산을 없애야 한다.


이데올로기   인간 이성에 대한 믿음을 깔고 있다. 

'        ,        '는 믿음.


근대라  18세기 20세기 , 이데올로기가 넘쳐.

프랑스 혁명부터 68혁명까지.


인간은 저마다의 이데올로기를 주장하며, 때때로   유토피아를 만들고자 했다.


# 기독교 종말론적 관념와 이데올로기와의 결합


생각해보면 이데올로기는 수많은 아이디어 중 하나에 불과하다.

그런데 그 아이디어를  서, 수많은 사람이 죽다.

를 만 사람  역설.


저자는 서양 문명    태도가 이데올로기와 결합한 것이 이런 파괴적인 결과 원인이라고 말한다.

 특정한 태도는 바로 기독교 종말론적 이다.

기독교 종말론적 관은 역사에 정답이 있다는      .

기독교인이 세상을 보는 시각은 대충 이렇다.

우리 기독교인은 세상  박해받는다.

그러나 이 고난 끝에는 신이 예비한  있다.

   .


기독교 문화   다.

  사람들 기독교 종말론적 관     .

  ,  .


       ,   .

인류 역사의  사회주의.

   여러  , 끝내  .


     믿    ,   .

     .

    .


공산주의자들의 나라에서는 자유주의자가, 자유주의자들의 나라에서는 공산주의자가, ''    됐다.


    ,      .

'  '     .


# 최후의 이데올로기, 자유민주주의


이 책은 미국-이라크 전쟁 즈음에 발간됐다.

당시 미국은 ' ' 후세인 정권을 밀어내고, 이라크에  했다.


지금도 그렇지만, 그 당시에 자유민주주의는 바람직한 사회모델.

그리고 모든 국가가 따라야할 최종적인 정치체제  .


 점령국인 미국은 모든 국가가 따라야할 ' 정치체제'를 이라크에  .

 실패했다.

그 과정에서 많은 사람이 죽었다. 돈도 많이 썼다.


이 지점에서 저자는 말한다.


  모든 사회  보편적인 법칙이 될 수는 없다고.

본인들이 원해서 히잡을 쓰고 알라의 가르침을 따른  '' .

   ''    믿    .

인간 능력에 대한   .


# 그럼에도..


나는 이데올로기에 문제를 제기하는 의 주장에 일견 동감한다.


인간 능력에는 한계가 있다.

 유토피아를 제시하고, 만드는 것은 불가능.

본인이   있다고 말하는 사람을 가장 조심해야 한다.


그렇지만, 유토피아   인류는 발전해왔다.

자유, 평등에 대한 상상력을 자극하는 이데올로기의 깨우침 덕택에, 인간은 행동해왔다.


인간은 때때로 역겨울만큼 이기적이고 편협하며 오만하다.

본인이 그런 인간 확인하는   더 없이   .

그러나 역겨워하며 반성할 수 있고, 변화할 수 있는 것이 인간이다.


인간 혐오와 냉소에 빠지면, 세상을 살아갈 에너지를 잃게 된다.

허무주의에 빠지면, 죽음만 의미가 있다. 죽고싶지는 않은데.


인간의 오만함에 대한 경각심을 잘 일깨워주는 책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똑똑한 사람들은 어디에 몰리는가 - 책 리뷰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