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임작가 Jan 21. 2022

우리 문화재 중 사찰의 탑은 왜 만들었는지 궁금합니다.

초급 16번. 한국사 기출문제, 고려와 조선의 문화유산.

*다양한 주제의 한국사 속, 숨은 이야기들을 쓰고 있습니다. 지식과 정보, 두 마리 토끼를 잡으셔요. *

< 이런 분께 추천합니다.>

1. 역사에 대해 관심 있으신 분
2. 한국사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
3. 누군가를 기다릴 때, 출. 퇴근 시간
지하철에서  잠깐, 부담 없이 읽을 글이
필요하신 분.

<이글에 나오는 내용 요약 >


*말 그대로 해석해본다. 관촉사는 논산에 있는 절이다. 석조는 돌을 깎았다는 의미다. 불교 용어는 어렵지만 나름 쉽게 풀어보자.

*역사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배우 김영철이 했던 말이 한 때 유행했다. " 누구인가? 지금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어?"  "짐이 미륵이니라."

*스님들이 자주 하시는 말씀 중에 ' 나무 아미 타불 관세음보살 ' 이란 말이 있다. 마치 어떤 주술 같은 걸 의미하는 것 같다. 이 말은 어떤 뜻을 가지고 있을까..

*영어 단어 중에 top이 있고 pagoda 가 있다.
발음이 탑으로 되고 꼭대기란 의미가 있어서 헷갈릴 수도 있다. 우리가 절에서 보는 탑은 영어로 pagoda를 말한다.

국보 2호 원각사지 10층 석탑이 있는 종로의 파고다 공원은 석탑이 있다고 해서 지어진 이름이다. 1992년 탑골공원으로 개칭되었다.

*무량수전으로 들어가기 전 바로 앞에 안양루가 있다. 2층 누각에서 바라본 경치는 그야말로 천국의 느낌이다. 소백산맥의 산봉우리들이 정말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이다. 필자는 10여 년 전 회사 산악회에서 부석사를 방문한 적이 있다. 실제 눈앞에서 보지 않는 한 제대로 그 장관을 표현할 길이 없다.

방랑시인 김삿갓이 안양루에 올라지었다는 시가 걸려있다.

<글을 시작하기에 앞서서 >

학창 시절 국사 시험을 볼 때 까다로운 문제 중에 하나가 시대별 문화유산이었습니다.

그때는 용어도 어렵고 뭐가 뭔지 잘 몰랐지만 어른이 된 지금에서야 우리 문화유산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알아갑니다.

다음에 오는 문제는 처음엔 이렇게 풀었습니다.

' 음... 고려시대를 묻는 문제구나. 경복궁, 남한산성, 서원은  조선시대 잖어. 2번 부석사 무량수전은 고려인가, 조선인가 잘모르겠다.

 나머지 3개가 조선 시대 이니  정답은 2번이겠지.. '

' 앗싸~ 아! 정답이군.

어찌 보면 쉬운 문제지만 뭔가 좀 부족하군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의 문화유산을 하나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지요.

고려의 문화유산

불상 >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회화 > 수월 관음도
석탑 > 월정사 팔각 구층 석탑
건축 (                  )

1. 경복궁 근정전
2. 부석사 무량수전
3. 도산서원 전교당
4. 남한산성 수어장대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로 나누어 보자.

            -  고려시대 -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말 그대로 해석해본다. 관촉사는 논산에 있는 절이다. 석조는 돌을 깎았다는 의미다. 불교 용어는 어렵지만 나름 쉽게 풀어보자.

미륵보살은 석가모니의 열반 (해탈의 최고 경지에 이름) 이후 56억 7천만 년이 지나 나타난다는 또 다른 부처를 말한다.

세상이 혼란스러울 때 자칭 미륵이라 하며 중생을 구원한다는 사람들이 있었는데 대표적인 예로 ' 궁예 '를 들 수 있다.

역사 드라마 태조 왕건에서 배우 김영철이 했던 말이 한 때 유행했다.

"누구인가? 지금 누가 기침 소리를 내었어?"
"짐이 미륵이니라."

입상은 서있는 모습을 뜻한다. 이 돌 조각상에서 목서가 발견되었는데 고려시대에 조각되었다는 걸 알 수 있었다. 18m인 이 불상은 키가 정말 크다.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 입상 >> 논산 관촉사에 있는 돌로 만든 미래에 올 부처가 서있다. 이렇게 생각하면 쉽겠다.

< 수월 관음도 >

水月觀音圖 한자를 보자. 물, 달, 보다, 소리, 그림으로 풀이된다. 관음이란 관세음보살을 말한다.

표준국어사전에서는 관세음보살을 '세상의 소리를 들어 알 수 있는 보살이므로
중생이 고통 가운데 열심히 이 이름을 외면 도움을 받게 된다. 라 정의하고 있다.

즉, 필자의 해석으로 보살은 구도자, 지혜를 가진 사람을 뜻하는데 관음 (觀音), 세상의 소리를 보다. 관세음보살은 세상의 소리를 듣고 깨달음을 주는 인물이라 생각된다.

스님들이 자주 하시는 말씀 중에 ' 나무 아미 타불 관세음보살 ' 이란 말이 있다. 마치 어떤 주술 같은 걸 의미하는 것 같다. 이 말은 어떤 뜻을 가지고 있을까..

아미타불은 깨달음을 얻은 부처, 관세음보살은 소리로써 중생을 구제한다는 보살.
불교에서는 두 분을 믿으면 극락 (천국)에 갈 수 있다 해서 자주 입으로 주문을 외우면 현실 세계의 고통이 사라진다고 믿는다.

수월관음도에는 스토리가 있다. 선재동자(善財童子)라는 구도자가 있었는데 53명의 선지식(善知識)인을 만나 결국 진리를 터득하고 왕생 (往生) 했다는 그가 28번째 만난 사람이 관세음보살이었다. 선재동자가 관세음보살을 만나는 장면을 그린 것이 ' 수월관음도 ' 다.

남아 있는 고려의 불화 중 40점이 수월관음도라 한다.

<월정사 팔각 구층 석탑>

월정사는 강원도 평창에 있는 절이다. 팔각으로 다듬은 돌을 아홉 개로 쌓아 올린 탑이다. 고려 전기를 대표하는 석탑이다.

탑 (塔)의 어원은 인도어 스투파(Stupa)가 한자로 발음하면서 탑파(塔婆)라 바뀌어 오늘날 탑 (塔)으로 정해졌다. 스투파, 즉  탑은 원래 석가모니의 사리를 모시기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 한다.

영어 단어 중에 top이 있고 pagoda 가 있다.
발음이 탑으로 되고 꼭대기란 의미가 있어서 헷갈릴 수도 있다. 우리가 절에서 보는 탑은 영어로 pagoda를 말한다.

국보 2호 원각사지 10층 석탑이 있는 종로의 파고다 공원은 석탑이 있어서 지어진 이름이다. 1992년 탑골공원으로 개칭되었다.

월정사와 팔 각구층 석탑에 대한 일화가 있다.
6.25 때 미 8군 사령관과 김백일 육군 군단장이 군사적인 이유로 오대산 주변의 사찰들을 불태우라고 했다. 다행히 월정사는 예외가 되었다. 김백일 군단장은 얼마 후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이를 두고 유족은 사찰을 불태운 업보라 여겨 그의 위패를 월정사에 두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부석사 무량수전>

부석사는 경상북도 영주에 있다. 무량수전은 불교의 건축물 중 법당의 한 종류다. 극락전이라 불리기도 한다.

극락이란 기독교에서 말하는 ' 천국 '이다. 극락을 불교에서 다른 표현으로 하면 안양 (安養)이라 한다.

경기도 안양의 지명도 극락이란 뜻이다. 고려 태조가 만든 안양사 (安養寺)에서 유래됐다.

무량수전으로 들어가기 전 바로 앞에 안양루가 있다. 2층 누각에서 바라본 경치는 그야말로 천국의 느낌이다. 소백산맥의 산봉우리들이 정말 한 폭의 그림 같은 풍경이다. 필자는 10여 년 전 회사 산악회에서 부석사를 방문한 적이 있다. 실제 눈앞에서 보지 않는 한 그 장관을 제대로 표현할 길이 없다.

방랑시인 김삿갓이 안양루에 올라지었다는 시가 걸려있다.

평생에 여가 없어 이름 난 곳 못 왔더니
백발이 다 된 오늘에야 안양루에 올랐구나

그림 같은 강산은 동남으로 벌어 있고
천지는 부평 같이 밤낮으로 떠 있구나

지나간 모든 일이 말 타고 달려오듯
우주 간에 내 한 몸이 오리처럼 헤엄치네

인간 백세에 몇 번이나 이런 경관 보겠는가
세월이 무정하네 나는 벌써 늙어 있네

<마무리 글>

각 시대별 문화재를 일일이 다 기억한다는 건 쉽지 않다. 그러나 불상, 회화, 석탑, 건축물 등 우리 문화재에는 일화와 사연들이 깃들여져 있다.

재미도 없고 지루한 문화재의 역사를 story로 만들어 공부해 보는 건 어떨까..

글이 너무 길어져 경복궁 근정전,  도산서원 전교당, 남한산성 수어장대, 조선시대의 문화재는 다음 글로 이어진다.

- 참고 자료 -

*국사편찬위원회 기출문제
http://tok.historyexam.go.kr/mo/exam.html?grade=5&req=39&type=case


*표준국어대사전
https://ko.dict.naver.com/#/entry/koko/24bfe522049d414792b3163f48423c7c

*문화재청 궁능 유적 본부
http://www.royalpalace.go.kr/content/preview/preview03.asp

*한국민족문화 대백과사전
http://encykorea.aks.ac.kr/

*두피 디아 백과사전
https://www.doopedia.co.kr/mo/index.do;jsessionid=A408994F9F582DB496C77F7DA21DD5D4-n2

매거진의 이전글 5만 군사들이여, 오늘 우리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간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