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크리스 Apr 30. 2023

보르헤스적, 마술적 사실주의

fleeting notes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


문학 기사를 읽다 '보르헤스적'이라는 표현이 눈에 띄어 의미를 찾아봤다.


호르헤 루이스 보르헤스(1899-1986)는 아르헨티나의 작가이자 라틴아메리카 문학의 대표적 거장으로 꼽힌다. 보르헤스적이란 표현은 그가 즐겨쓰던 작품 스타일이 비슷하게 구현되었을 때 쓰인다. 같은 의미로 '마술적 사실주의'라는 말이 있다.


라틴아메리카 문학은 '보르헤스 전과 후'로 나뉜다고 말할 정도로 영향력이 크다고 한다. 보르헤스는 라틴아메리카를 넘어 현대 문학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고 중요한 작가들 가운데 한 사람으로 평가된다.


보르헤스 문학론을 간단히 요약하면 이렇다.


"하늘 아래 새로운 문학은 없다. 모든 책은 서로 연결되어 있는 '상호 텍스트'다. 작가와 독자는 텍스트를 매개로 해서 하나가 될 수 있다. 셰익스피어를 읊는 사람은 누구나 셰익스피어다. 인간은 허구의 창조자이기도 하지만 그 자신이 허구이기도 하다. 우리가 알고 있고 생각하는 모든 것이 허구다. 우리는 어둠을 견디기 위해 꿈을 꾼다. 우리는 꿈을 꾸지만 누군가의 꿈속의 인물이기도 하다. 위대한 작가는 후배 작가들의 글 속에서 희미하게 되살아나 영생을 누린다. 작가는 누구나 앞선 작가들의 영향을 받았기에 독창적인 그 누구도 아니지만, 오히려 아무도 아니기에 죽지 않는 사람이 된다."


조금은 난해하다. 보르헤스의 키워드는 '꿈(허구)'인 것 같다. 보르헤스가 쓴 소설들은 현실적인 사건들 속에 여러 허구적인 사건을 마치 진짜인 것처럼 끼워넣어 현실과 허구의 구분을 모호하게 만든다. (ex. 「피에르 메나르, ‘돈키호테’의 저자」(1939)) 이는 결국 이 세상에 진리가 없다는 것, 사실과 허구를 구분할 수 없다는 것을 드러낸다.


보르헤스의 세계는 겉보기에는 사실적인데 실제로는 교묘하게 사실과 허구를 줄타리기질하다가 결국 그 어떤 진리도 찾지 못하게 되는 세계다. 그래서 보르헤스의 소설이 '포스트 모더니즘적'이니 '마술적 사실주의'니 하는 평가를 받는 것이다.


<롤리타>(1955)로 널리 알려진 러시아계 미국 작가 블라디미르 나보코프(1899-1977)는 "보르헤스의 작품들을 처음 읽었을 때 마치 경이로운 현관에 서 있는 것 같았는데 둘러보니 집이 없었다", "무한한 재능을 지닌 남자"라고 평했다.(참고로 두 사람은 동갑내기다.)


updated : 2023-05-01


관련문서(브런치 링크)

- 제텔카스텐 인덱스

- 예술 인덱스

매거진의 이전글 유명 시인의 자기혐오 전략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