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민미술관(6.25 ~ 8.14), 현재를 유유히 침습하는 영상과 조각들
전시장소: 일민미술관
참여작가: 페드로 코스타(Pedro Costa), 후이 샤페즈(Rui Chafes)
전시기간: 2016.6.25 ~ 8.14
협력: 한국 영상 자료원
일민미술관이 새로운 전시로 찾아왔다. 이번에는 포르투갈 두 거장의 작품 전시다. 거장의 이름은 페드로 코스타와 후이 샤페즈. 한 사람은 영화감독이고 다른 한 사람은 조각가다. 두 사람이 건네는 기억에 대한 물음이 어둠의 장막 아래 서서히 드러난다. 어두운 공간에 독립영화를 투사하고 그것을 간접 조명삼아 조각을 전시한다. 암순응이 끝나는 순간부터 두 작가의 목소리가 들리기 시작한다.
전시실 마지막 층에는 후이 샤페즈의 강철 암막(속삭임)과 페드로 코스타의 <불의 딸들>이 전시되어 있다. 앞선 전시실과 마찬가지로 후이 샤페즈의 암막은 불의 딸들의 불빛을 간접 조명삼아 실루엣을 드러낸다.
페드로 코스타는 영화 문법 이전의 영상 자체가 품은 가능성을 탐구해왔다. 그는 자신의 영화에서 추출한 영상 푸티지를 전시장에서 나누어 상영하는데, 그 과정에서 원본 영화의 문법은 해체되고 자연스럽게 재조합된 새로운 영상의 정념이 등장하게 된다. 이렇게 표면이 담고 있는 근원을 탐색하고자 하는 방법은 후이 샤페즈의 입체/조각에서도 마찬가지로 드러난다. 페드로 코스타의 영상을 조명 삼아 전시장이라는 특정 공간에 그림자를 드리우면서 작품을 둘러싸고 있는 공간과 영상과의 균형을 통해 쉬이 특정되지 않는 분위기를 드러내는데 몰두한다.
멀리 있는 방은 조각과 영상의 관념이 함께 공존한다. 각 작품들은 단일의 형태로도 존재가 가능하지만 공간에 어둠으로 제약을 가하고, 정보의 전달을 서로에게 의지한다. 관객들은 페드로 코스타의 빛에서 대화를 시작하고 영상이 채 전하지 못하는 질감을 후이 샤페즈의 조각에서 발견한다. 둘은 상보하며 기억에 대한 메타 메시지를 자극한다. 페드로 코스타는 흩날리는 바람과 고정된 시선, 숨 때문에 고르게 오르락내리락하는 몸의 움직임을 관객에게 노출한다. 그리고 시선의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사이사이에 후이 샤페즈의 작품을 배치한다. 이것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한 방식으로서의 협업보다 한 단계 더 진보한 방식의 협업이다. 서로가 서로를 자극하고, 서로를 자중시킨다. 조화롭다.
페드로 코스타는 1959년 포르투갈 리스본 출생이다. 흑백 필름으로 촬영한 장편 데뷔작 <피(1989)>는 영화 사상 가장 아름다운 데뷔작 가운데 하나라는 찬사를 받았고, 세 번째 장편인 <뼈(1997)>이후 리스본의 빈민가 폰타이냐스를 배경으로 소외받는 빈민층의 삶에 초점을 맞춘 작업에 천착, 칸과 베니스를 비롯한 영화제에서 비평가들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다.
이번 전시에서 페드로 코스타의 영상은 후이 샤페즈가 만드는 대형 철제 입체/조각 사이로 투영되거나 관통하고, 후이 샤페즈의 검은 덩어리는 페드로 코스타의 영상을 조명 삼아 그림자를 드리운다. 전시의 제목 <멀리 있는 방>은 벽으로 둘러싸인 방을 가득 채우는 목소리의 진동을 의미하며 잊힌 먼 기억으로의 이동을 상징한다.
두 작품이 어우러지는 가운데 보이지 않는 에너지나 소리, 그림자 등의 심상을 드러내기 위한 여러 미학적 실험이 이루어진다. 현실의 쓰라린 단면을 직시하는 영화 예술의 전통과 조형적인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조각 작품의 만남 속에서 동시대의 예술 경향을 엿볼 수 있다.
강철 암막과 불의 딸들의 시선을 바라보면서 기억에 대하여 생각한다. 철학 수업 중에 한 교수가 했던 말이 문득 생각났다.
흔히 기억은 무언가를 '가져가는 것'처럼 여겨지지요. 그러나 기억의 본래 속성은 수 없이 많은 정보 중 무엇을 남길지를 덜어내는 과정으로도 해석할 수 있어요. 마치 모래 더미에 깃발을 올리고 차례를 바꿔 가며 모래를 덜어내는 것처럼요. 그러므로 기억한다는 건, 버릴 것을 선정하는 지난한 작업이에요.
전시는 문 밖을 나서면서 다시 시작된다. 두 거장의 작업이 기억에 대한 메타 작업이기 때문이다. 대지를 달구는 햇볕의 뜨거움을 견디면서, 차가운 아메리카노 얼음 조각을 떠올리며 거리를 걷는다. 오늘도 무엇을 버릴까를 생각한다. 그렇게 잊어버릴 무언가를 선정할 때, 페드로 코스타의 시선을 타고 후이 샤페즈의 검은 구체가 묵직하게 공중에 떠오른다.
Fin.
이제 해야 할 것이 쏟아지려 합니다. 마치 창고 안에 옷을 쑤셔 박았는데, 문을 열어야 할 때가 온 것만 같이요. 무질서하게 쌓인 옷가지들이 저에게 쏟아질 준비를 마친 상태입니다. 그래도 다 해야겠지요. 어떤 것들은 해야 한다면서도 구멍을 낼지도 모릅니다. 어쩔 수 없는 인생의 반복이겠지요.
이러한 죄책감을 조금이라도 덜어 내기 위해선 사람은 항상 행복할 수 없고, 행복한 순간은 그렇지 않은 순간보다 훨씬 더 짧다는 진리를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리고 이러한 괴로움을, 또는 괴로울 가능성을 토막 내어 적는 이유는 이것이 시간이 지나면 추억이란 이름으로 저를 기쁘게 피습할 것임을 알기 때문입니다. 아재들은 흔히 추억으로 산다고 하는데, 벌써부터 추억을 만들 장치나 설치하고 있습니다. 이미 아재가 된 것일지도 모르겠네요. 기억 이야기를 적어 내려가다 보니 감상에 젖었습니다.
전시는 문 밖을 나서면서부터 다시 시작됩니다. 카페에 도란도란 앉아 페드로 코스타의 루프를, 후이 샤페즈 조각의 미끈한 표면을 이야기하는 두 사람의 모습이. 발끝을 까딱거리며 빨대를 입에 가져다 무는 게 눈에 들어옵니다. 플라톤에 동굴에서 그림자를 본 사람들의 인생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경제적으로 윤택할까요? 저는 아닐 공산이 크다고 봅니다. 그러나 인간다움에 대한 재고의 시간을 가진 사람들의 마음은 어떻게든 촉촉할 것입니다. 마치 작은 생수통을 들고 목을 축이는 누군가의 손길 처럼요.
본 글은 일민미술관의 <뮤지엄 리포터 2기>의 활동 기록이며, 일민미술관의 협조를 받아 제작되었습니다. 전시된 작품에 관한 모든 저작권은 일민미술관에 있으며, 사진과 글의 저작권은 작성자(소고)에게 있습니다. 본 포스팅은 비상업적인 용도로 작성되었음을 밝힙니다. 세이프 하버 조항에 따라 주관자는 본 콘텐츠 작성자에게 게시 변경, 삭제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