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울시NPO지원센터 May 18. 2021

✍31화 ♥ "우리 밀 살리기 운동"

[농업] 밀 지급률 제로에서 1%가 되기까지, 멸종위기 우리 밀을 살려라



우리 밀을 지키기 위한 방법을 강구하다





Q: 우리 밀 살리기 운동에 대해 알고 있나요? 

✍ 우리밀 살리기 운동은 누가 어떤 계기로 시작하게 되었을까.


*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의 시작:  쌀이 주식인 우리나라에서 한 때 밀은 특별한 날에 국수로만 먹을 만큼 귀한 작물이었요. 한국전쟁 이후 미국의 잉여농산물이던 밀가루가 무상원조로 제공되었지만 밀소비가 기대만큼 확산되지 않자 정부는 특단의 조치로 ‘혼·분식 장려 운동’을 시작했어요. 한식은 열등하고 양식은 우월하다는 의식을 퍼뜨린 결과 몇 년 새 밀 소비량이 두 배 이상 늘고, 수입밀 의존도가 심화되었죠. 



Q: 그 뒤로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 모든 변화에는 더 나은 환경을 만들려고 노력했던 이들의 품이 있다.


* 본격적인 운동의 시작: 정부의 외면 속에 씨가 마를 뻔했던 우리 밀이지만 가톨릭농민회와 한살림 덕분에 1989년 성공적으로 227 가마를 수확했어요. 수확량은 전부 한살림에서 구매해 소비자 조합원들에게 공급했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의 시작이 되었죠. 이후 16만 명의 국민들로부터 36억 원의 성금이 모아져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이 전국적으로 확산되었어요. 



* 자급률을 끌어올리다: 우리 밀을 농가에 공급하고 생산량을 늘려가는 것은 어느 정도 성공을 거둘 수 있었지만 가공과 판로개척이라는 난관이 남아있었죠. 생산된 밀을 시장에 판매하기 위해서는 밀가루를 빻는 제분 과정이 필수였어요. 초기에는 찰기 부족 등으로 소비자들에게 호응을 받지 못했지만 시행착오를 거쳐 제분과 가공공장에 설비투자를 갖추고 품종개량과 가공 기술, 레시피 개발을 통해 소비자 입맛을 어느 정도 따라잡는 데 성공하게 되었죠. 그 결과 2011년 우리 밀의 생산량은 4만 3677톤, 자급률 2%를 달성하게 되었어요.




Q: 그래서, 이 과정은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요?

✍ 이 운동은 어떤 변화를 만들어왔을까.


* 우리의 씨앗은 우리가 지킨다!: 1967년부터 1977년까지 모든 음식점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던 행정명령에서는 보리쌀이나 면류를 25% 이상 혼합해서 팔게 했어요. 또한 매주 수요일과 토요일 오전 11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쌀로 만든 음식을 팔지 못하도록 특단의 조치를 내렸죠. 이러한 정부의 ‘혼·분식 장려 운동’와 더불어 밀수입 자율화로 인해 우리 밀은 아예 이 땅에서 자취를 감출 뻔했어요. 지금 우리가 우리 밀을 먹을 수 있게 된 것은 이를 지키고자 했던 사람들과, 그 가치에 공감해 값 비싼 우리 밀과 국수를 기꺼이 구매해주었던 소비자들 덕분이에요.




✋ 잠깐, '우리 밀 살리기 운동'에 당신의 관심 한 줌이 필요해요.

함께 관심을 기울이고 변화를 만들어가야 하는 과정들이 아직 많이 남아있다.


* 우리 밀 자급률 10% 달성을 위하여!: 1990년 0.05%에서 시작한 우리 밀 살리기는 2011년 생산량 4만 3677톤, 자급률 2%까지 끌어올렸어요. 그러나 이듬해인 2012년 생산량은 3만 7014톤으로 줄었고, 2013년 이후 다시 2만 톤 대를 넘지 못하고 있죠. 우리 소비자들의 우리 밀 소비량이 3만 톤 수준에 머물고 있기 때문이에요. 농림부는 2006년 당시 2020년까지 밀 자급률 10%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나 구체적인 방안이 없었고, 목표치 자체를 5%로 슬그머니 낮추었죠. 2020년 11월 11일 농업인의 날 기념식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2030년까지 밀 자급률을 10%로 달성하겠다고 밝혔어요.  




⌛ 끝은 또 다른 시작

우리나라 식량 자급률을 높인다는 건, 식량 복지와 주권에 있어 굉장히 중요한 부분이에요. 이번 기회에 '우리 밀 살리기 운동'이 가지는 의미를 생각해보고 이 변화에 함께 해보면 어떨까요?




앞으로 우리 함께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보아요!

그럼 다시 또 만나요! 안녕!





※ 위 내용은 서울시NPO지원센터 변화사례 아카이브 내용을 축약하여 만들어졌습니다. 

(해당 글 더 자세히 보러 가기)

※ 2017년부터 모아 온 변화사례 리스트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세상을 바꾼 변화사례 아카이브)

※ 인스타그램에서도 더 다양한 변화사레 리스트를 살펴보실 수 있습니다.

(변화사례 아카이브 인스타그램 보러 가기)


작가의 이전글 ✍30화 ♥ "푸드뱅크 운동"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