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서기 May 28. 2024

돌연하지만 계속된 출발

계속 뛰어야 하는 이유

예전에는 1년에 한번씩 읽는 글이었는데, 이제는 몇달에 한번씩 생각날 때마다 읽는 글이 있다.

바로 카프카의 '돌연한 출발'이라는 글이다.



나는 내 말(馬)을 마구간에서 끌어내 오라고 명했다. 하인이 알아듣지 못했다. 나는 몸소 마구간으로 들어가 말에 안장을 얹고 올라탔다. 먼 데서 트럼펫 소리가 들려오기에 나는 하인에게 무슨 일이냐고 물었다. 그는 영문을 몰랐다. 그 소리조차 듣지 못했던 것이다. 대문에서 그가 나를 가로막으며 물었다. “어딜 가시나이까? 주인나리” “모른다.” 내가 대답했다. “그냥 여기를 떠난다. 그냥 여기를 떠난다. 그냥 여기를 떠나 내처간다, 그래야만 나의 목표에 다다를 수 있노라.” “그렇다면 나리의 목표를 알고 계시는 거지요?” 그가 물었다. “그렇다,” 내가 대답했다. “내가 여기를 떠난다고 했으렷다. 그것이 나의 목표이니라.” “나리께서는 양식도 준비하지 않으셨는데요.” 그가 말했다. “나에게는 그 따위 것은 필요없다.” 내가 말했다. “여행이 워낙 길 터이니 도중에 무얼 얻지 못한다면, 나는 필경 굶어죽고 말 것이다. 양식을 마련해 가봐야 양식이 이 몸을 구하지는 못하지. 실로 다행스러운 것은 이야말로 다시 없이 정말 굉장한 여행이란 것이다. 

(카프카, 돌연한 출발 전문)



또, 박범신 작가가 쓴 '고산자'라는 소설에도 이런 구절이 나온다.


그는 굽잇길을 돌 때까지 한 번도 뒤돌아보지 않는다.
보나마나 순실이는 눈물이 앞을 가려 대문의 문빗장이라도 들고 서 있을 터이다.



사업을 한 지 10년이 다되어간다. 2011년 중순에 시작해 2015년 말에 정리했고, 2021년부터 다시 시작해 하고 있으니 8년이 다 되어가는 셈이다. 그 몇 년동안의 부침이 그때 이후 내 인생의 앉을 자리를 정해줬던 셈이니 사업하는 동안의 8년은 내가 지나온 수많은 시간을 다 덮고도 남는 파도가 되었다.


앞이 잘 안보인다.

쇼트트랙을 하다보면, 길을 뚫어야 하는데 앞이 다 가로막혀서 길을 열 수가 없다. 그럴 땐 멀리 도는 수 밖에. 잠시 뒤쳐지는 것처럼 보여도, 어느 순간 속력을 내서 치고 나가면 길을 열고 앞서 나갈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멀리 돌아가더라도.


나는 많이 꺾어졌다.

나는 자주 뒤돌아봤다.


꺾어지고, 뒤돌아보는 것은 오늘까지. 돌아보지 않고 떠남 자체를 목표로 삼아 달리다보면 도달하는 목표가 있으리라 생각한다. 내일 일을 미리 걱정하지 말고, 오늘에 집중하면서 하루에 한발씩 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는게 나을 것이다.


그래서, 성경에도 이런 말이 있더라


그러므로 내일 일을 위하여 염려하지 말라.
내일 일은 내일이 염려할 것이요.
 한 날의 괴로움은 그 날로 족하니라.
(요한복음 6:34)



작가의 이전글 발달장애 자녀를 둔 사람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