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Good Influence Oct 29. 2019

공부함에 있어 가장 두려운 것

공부함에 있어 가장 두려운 것은 오래 견디지 못하는 것이다.
- 이항로 -


“공부하러 들어가더니 10분을 못 앉아 있고 나오니 네가 뭐가 되겠냐?” 어릴 적 어머니께 종종 듣던 잔소리다. 몸에 익지 않은 공부, 왜 하는지도 모르는 공부가 재미있을 리 없었겠지. 세상일은 번거로운 긴 시간을 견뎌내면서 제 자리를 찾아간다고 해야 할까. 그런 유년시절을 지나 대학을 거치는 동안 책상에 앉아 책을 보는 일은 견디는 일에서 일상의 일로 자리를 잡아갔다.


“한 명의 천재가 만 명을 먹여 살린다”라는 소위 ‘천재 경영’이 유행하던 때가 있었다. 기업 총수의 주장이라 그런지 너나 없이 국내는 물론 해외의 박사들을 끌어모아 매달 떼로 채용을 했다. 그들의 이력서를 보고 있자니 “이 사람들은 초등학교에 들어가서부터 12년, 그 이후로도 10여 년, 도합 20여 년의 세월을 공부만 하고 살아왔구나” 하는 혼잣말이 흘러나왔다.  


대리 시절 그런 인재들을 교육하는 일을 했을 때 어떤 박사에게 “박사님은 머리가 좋은가 봐요. 얼마나 공부를 잘하셨으면 석사도 아니고 박사까지 하셨어요?” 하고 물은 적이 있다.


그는 “제가 생각하기엔, 머리가 좋다기 보다 오랜 시간 동안 앉아서 공부하는 걸 잘 견딘 사람들이 박사가 되는 것 같아요. 박사학위 받기까지 공부하고 논문 쓰고 하는 시간이 정말 오랜 시간이고 그걸 견뎌내는 게 가장 힘든 일인 것 같아요. 머리가 좋으면 도움은 되겠지만, 그래도 일정한 물리적 시간이 필요하거든요.” 라고 지난 시간을 돌아보듯 말했다.


그 후로 몇 명의 박사들과 얘기를 나눴을 때도 박사가 된 비결은 한결같았다. 오래 견딤이, 오래 앉아 있을 수 있음이 박사를 만드는 것 같다고…견뎌온 사람들의 말이었다.


머리로 승부해야 한다면 자신 없지만, 오래 견디는 건 해볼 만하다는 패기가 복받쳐 올랐다. 그래서 그랬을까. 이듬해 바로 학문의 길로 들어섰다. 들어서 보니 알 것 같다.  가장 힘든 것이 오래 견뎌야 하는 것이고, 가장 두려운 것이 오래 견디지 못할까 하는 조바심이다. 이제 “오래 견딜 수 없다면 아주 작은 일조차 해낼 수가 없다”는 이항로의 말은 회초리가 되었다.


“학문에는 기적이 없다. 다만 축적의 결과만 있을 뿐”이라는 은사님의 가르침을 통해 오랜 시간 인고의 이유를 헤아려 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편지를 쓰는 일은 사랑하는 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