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가 아닌 다른 선택도 있다는 것을 아이가 알게 되었다.
코로나19 팬더믹 중에 어쩔 도리 없이 홈스쿨링을 했었는데, 그것이 계기였다. 등교가 재개되고 얼마 되지 않아서부터, 딸은 학교에 가지 않고 집에서 공부하고 싶다고 매일 아침 울면서 말했다.
딸은 37개월 무렵부터 유초등 과정을 갖춘 대안 학교에 다니기 시작했다. 당시 둘째도 그 학교에 다니고 있었고, 셋째는 해당월령의 클래스가 열리기까지 기다리고 있었다. 선생님들도 모두 훌륭하셨고 우리와 잘 알고 지내는 믿을 만한 분들이었다. 학교의 가치관과 추구하는 바도 우리가 보기에는 나무랄 데가 없었다. '학교에 가고 싶어 하는 아이가 과연 몇이나 되겠어. 아무래도 집보다는 불편하겠지...' 나는 이런 정도의 생각을 하며 딸을 달래어 등교를 시켰다. 그런데 학교에 가기 싫어하는 딸의 마음은 몇 달이 지나도 변하지 않고 오히려 점점 더 깊어져, 매일 아침 그야말로 오열을 하기에 이르렀다. 이 정도라면 단순히 떼를 쓰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 근본적인 이유가 있는 것 같았다. 나는 그제서야 아이의 생각을 제대로 들어봐야 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 날 아침에는 우는 아이를 달래어 학교에 보내는 대신, 나란히 옆에 앉았다.
"기쁨아, 왜 집에서 공부하고 싶은지 혹시 엄마에게 자세하게 말해줄 수 있어?"
딸은 대답을 하지 못하고 머뭇거렸다.
"분명한 이유 없이, 학교에 가지 않을 수는 없어."
나는 평소처럼 다시 타이르려던 참이었다. 그러자 딸은 무언가 결심한 듯이 힘주어 말했다.
"아니에요 엄마! 이유가 있어요!"
그리고는 학교에 가기 싫은 이유에 대해 아주 자세하고 정확하게 이야기하기 시작했다. 그 날 딸이 말해준 그 이유들은 나를 납득시켰다. 아이의 말을 조금 어른의 말로 정리하면 이러했다.
첫째, 학교 진도에 따라가고 싶지 않다. 나는 집중하는 것이 어렵고, 이해하는 데 시간이 걸리는 편이다. 이해하지 않고는 문제를 풀 수 없는데, 학교 진도는 계속해서 나아가니 따라잡기가 힘들다. 집에서 공부했을 때에는 충분히 이해를 하고 다음으로 넘어가니 공부가 재미있다고 느꼈고, 나는 바로 그렇게 공부를 하고 싶다.
둘째, 아이들의 놀이에 참여하는 것이 힘들다. 나는 책을 읽는 것을 좋아하고 아이들은 승부가 나는 놀이를 좋아한다. 나는 그림을 그리는 것이 좋은데, 아이들은 공주 놀이나 마법 놀이를 하며 춤을 추고 노래를 부르자고 한다. 아이들이 싫어서가 아니고 그 놀이들이 싫을 뿐인데, 자꾸만 토라지는 친구들의 기분을 맞춰주는 것이 점점 힘들어진다.
셋째, 학교 밖에서 더 많은 것들을 경험하고 싶다. 학교에서는 궁금한 것들이 생겨도 시간을 내어 충분히 살펴볼 수 없다. 가족과 함께 다닐 때에는 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충분하게 경험한다고 느꼈다. 그 느낌이 좋았다.
그날 밤 아이들이 모두 잠자리에 든 후에 남편과 진지하게 대화를 나누었다. 사실 딸의 생각을 남편과 나는 단번에 이해할 수 있었다. 우리도 아이와 같은 성향을 가진 부모였으니, 딸이 누구를 닮았겠는가? 내성적인 편이었던 남편은 학교 생활 내내 행복감을 느낀 적이 거의 없었다며, 만일 자신에게도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면 미련 없이 홈스쿨링을 선택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나 역시 만일 자녀를 낳는다면 홈스쿨링으로 양육하고 싶다는 생각을 결혼 전부터 해왔었다. 그러나 아이가 또래 친구들을 어울리는 시간들도 중요하지 않을까란 생각에 치선책으로 대안학교를 선택했던 것이었다.
이야기 끝에, 앞으로 한 학기 동안 딸의 마음에 변함이 없다면 그때는 집에서 공부할 수 있도록 허락해 주자고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딸과 나는 그 한 학기 동안 드러난 어려움들을 극복하기 위해 함께 최선을 다하기로 했다. 매일같이 힘겹게 등굣길에 나서는 딸의 모습이 안쓰러웠지만, 후회 없을 선택의 과정이 있어야 할 것 같았다. 집에서는 학교 진도에 따라가지 못한 부분을 함께 짚어가며 최대한 이해를 마치고 다음으로 넘어갈 수 있도록 애써보았다. 당시 학업과 교우들 간의 관계에 관한 어린 딸의 최선의 노력을 나는 진심으로 인정한다.
당시 나는 딸이 다니고 있던 대안학교에서 과목 하나를 가르치고 있었는데, 수업 막간에 한 아이가 이런 질문을 내게 던졌다.
"그런데 선생님, 기쁨이네 아빠 정말 공장에서 일하시는 거 맞아요?"
"응, 맞아."
나는 웃으며 대답했다. 여기까지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는 평범한 대화일 수 있었다. 그런데 다른 아이 하나가 그 아이에게 설명을 해준다고 다른 가정의 이야기를 덧붙였다.
"00네 아빠도 막노동하잖아. 그게 얼마나 힘든 건데."
세상에. 이게 무슨 소리인가? 아이들이 막노동이란 단어를 어찌 알았을까? 아이들 말의 뉘앙스가 심상치 않았다. 서로 오고 가는 대화 속에서 공장이나 건설현장에서 일을 하시는 아버지들과 그들의 가정에 대해 낮게 여기는 생각이 드러났다. 이 백지장 같은 아이들이 이렇게 생각을 하게 된 과정에는 분명 그들 앞에서 나누어졌던 어른들의 대화가 있었을 것이다.
무엇보다, 아이들의 생각이 이렇게 흐르도록 두어서는 안 되겠다고 생각했다.
"얘들아, 기쁨이의 아버지는 아주 커다란 @를 만드는 회사에 다니고 계셔. 그 회사에는 @를 만드는 공장이 있지. 이 @는 아주 정교하게 만들어져야 하는데, @가 어디에 쓰이냐 하면,......"
그렇게 우리에게 꼭 필요한 것들을 만들기 위해 공장이 얼마나 필요한 것인지, 그리고 그것들을 만들어내는 과정에 계신 분들이 얼마나 중요한지 간단하게 설명해 주었다.
"우와! 멋지다!"
"대박!"
순수한 아이들은 진심으로 반응하며 눈을 조금씩 더 반짝였다. 나는 그렇게 수업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다.
학교에 다녀온 딸은 말없이 방으로 들어갔다. 그리고 그날 나는, 딸이 학교에 가고 싶지 않았던 또다른 이유가 있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