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봄책장봄먼지 Mar 02. 2024

네임 스티커

네 이름에다 내 이것을 붙일 거야

그 순간, 집으로 가고 싶었던 내 마음이 뜨거운 물에 담긴 얼음 한 조각처럼
녹아 사라졌다. (32쪽)




(스포 주의)


제목

네임 스티커(제14 회 문학동네 청소년문학상 대상 수상)



저자

황보나



콘셉트

1. 주술 모티프

2. '데스노트' 콘셉트



예상 주제

다시금 온기로 채우는 작은 네모 공백



상 독자

1. 핵심 독자: 지금 누군가를 미워하는 자

2. 확대 독자: 내 짝사랑에 의문을 품고 있는 자



함께 읽으면 좋을 책

구명모 《위저드 베이커리》, 최영희《너만 모르는 엔딩



해시태그

#라벨 #데스노트 #작은네모공백 #화분 #식물라이팅 #우정과사랑사이 #짝사랑 #방뺐어요 #명두삼촌이모 #직진남민구 #이상함이이상한가 #등짝스매싱



필사

나의 태명은 무엇이었을까. 궁금하지만 물어보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런 질문이 루비에 대한 나의 질투로 해석이 될까 봐 두렵기 때문이었다. 그런 해석은 루비 엄마와 아빠의 마음을 슬프게 만들 게 뻔했다. 나를 더 챙겨 주게 될 테고, 나를 더 신경 쓰게 될 것이었다. 나는 그런 상황을 만들고 싶지 않았다. 그럴 바에는 나의 궁금증을 꾹꾹 눌러 없애는 편이 나았다. (26)

두렵더라도 한 번쯤 물어보아도 될 텐데. 다른 이를 배려하는 것도 좋지만 '나'를 배려하는 순간도 필요한 법이니까.


"그래서 민구도 이상한 능력이 있는 거고요?"
"그래서 은서는 민구가 무섭니?"
"무섭진 않고 좀 이상하긴 해요."
"원래 세상에는 이상한 사람이 많아."
그건 그랬다. 나도 말 못 하는 루비에게 맨날 말을 걸고 있으니 이상한 사람이라면 이상한 사람일 것이다. 그리고 자신의 딸에게, 원래 없던 사람처럼 생각하고 각자 잘 살자고 말한 엄마도 이상한 사람이다. 자기가 낳은 것도 아니면서 나한테 한없이 상냥하게 대해 주는 루비 엄마도 이상한 사람이다 (...) 그래도 이 중 가장 이상한 한 사람은 아마도 나 아닐까. (44)

이상한 것과 안 이상한 것의 기준은 순전히 주관적이다. 주변의 온도에 맞춰 항상 나의 체온을 유지할 필요는 없는 듯하다.


빨간 테두리의 작은 네모 공백에 두 개의 이름을 썼다. 손이 떨려서 파들파들 흔들리는 글자가 되고 말았다.(62)

은서는 왜 흔들리는 글자를, 흔들리는 마음을 그 작은 공백에 써야만 했을까. 누구를 원망하고 싶었고 어떤 마음을 가지고 싶었을까. 그리고 우리의 은서는 그 순간을, 과연 되돌릴 수 있었을까?




독단적 최종 리뷰


미신 같은 주술(저주) 모티프를 살짝 가미하였지만 결국 따뜻하기 그지없는 소설이자, '이름표를 붙여 내 가슴에~'와 같은 흘러간 옛 노래가 떠오르는 소설. 그리고 '네임 스티커'가 아니라 '네임 스토커'는 아닐까, 하는 뜨악 거리는 마음도 가슴 한구석에 슬쩍 자리 잡는 소설이기도 하다.


한마디로 데스 노트라고나 할까. "정의의 이름으로 널 용서하지 않겠다!"


하지만 손글씨로 조심스레 써 보는 누군가의 이름을 통해, 과연 '나(은서, 민구)'는 그를, 혹은 그녀를 다치게 할 마음이 있었을까. 있었다고 해도 한결같이 늘 그 마음이었을까.


누군가를 좋아하거나 미워하거나. 그럴 때만 붙이는 게 '네임 스티커'는 아닌 듯하다. 우리가 우리 자신의 마음을 제대로 알지 못할 때도 한 번쯤 찬찬히 앉아 적어 보아야 할 '작은 네모 공백.' 이 소설은 우리에게 그 공백을 채우는 기준을 알려 준다. 우정과 사랑의 기준은 무엇일지, '새로 만든' 가족의 기준이 무엇일지, 이상함과 안 이상함의 경계는 누가, 어디서 정해야 할는지.


우리의 주인공 '은서'가 앞으로 '사랑'이란 것의 네임 스티커를 붙인다면 그때도 '혜주(친해지고 싶었던 친구)'일까, 아니면 '민구(네임 스티커 원래 주인)'일까, 아니면 '루비(새엄마의 아들이자 내 동생)'일까, 아니면 루비 엄마일까, '나(은서)'를 낳아 준 '임선영'일까.


누군가를 미워하거나 좋아하거나 혹은 그 중간에서 헤매는 감정들. 그 감정들을 하나씩 껍질 깨듯 깨달아 가는 우리의 은서. 은서의 다음 스티커가 자못 궁금히다.



우리의 '작은 네모 공백'에는,

생(生)의 어떤 궁금증이 도사리고 있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나는 초콜릿의 달콤함을 모릅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