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테르담 Oct 05. 2019

일과 일상의 거리두기

잠시 내려놓을 줄 아는 용기와 딴짓을 할 줄 아는 지혜

왜 이리 아등바등 살았을까?


가끔, 퇴임하신 분들을 사석에서 뵙는다.

지글지글 익어가는 고기와 자욱한 연기 속에서 술 한 잔을 기울이면, 그분들은 역시나 왕년을 이야기한다. 나는 그 왕년의 이야기를 좋아한다. 내가 존경하던 그분들이, 퇴임 후의 허무함과 의기소침함을 잊고 어린아이와 같이 신나 그 시절을 말하는 모습이 보기 좋기 때문이다. 더불어, 그 이야기 속에서 나는 많은 것들을 배우고 깨닫는다. 듣고 또 들은 이야기 일지라도, 다가오는 의미는 매번 새롭다.


그런데 흥미로운 건, 신나게 말씀하시는 이야기의 끝엔 다음과 같은 표현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는 것이다.

"아, 그때를 생각하면 왜 그리 아등바등 살았는지 몰라! 지금 돌아보면 일이 전부가 아니었는데..."


누구보다 강성이었고, 열정이 오히려 지나쳐 후배들을 힘들게 했던 그분들이었는데.

그럴 때마다 난 그분들에게 당했던(?) 것들을 떠올린다. 목이 타들어 간다. 물 잔을 들어 불타는 목에 물을 끼얹어 그 상황을 모면하고는, 그럼에도 애써 웃음 지으며 고개를 끄덕이고 만다. 당황스럽지만 어쩐지 이해가 되어서. 일 밖에 모르던 그분들의 탄식이, 현직에 있는 나에게 많은 울림을 주는 순간이다.


멀리 볼 줄 아는 여유
잠시 내려놓을 줄 아는 용기


'일'을 가진 누구나 '불안'을 가지고 있다.

직장인도 그렇고, 육아를 하는 부모나 공부를 하는 학생도 그렇다. '직업'이든 '일'이든 '공부'건 간에. 무언가가 잘못될까 봐 모두는 아등바등한다. 자신이 하는 일이 어느 정도 스스로의 정체성을 규정하기 때문이다. 더더군다나 오랜 시간 어느 분야에서 탑을 쌓은 사람들은 그것이 무너질까 노심초사한다. 지금의 나도 그렇다. 지금까지 해온 일들이 아무것도 아닌 게 될까 봐 매일이 두렵고 불안하다.


그런데 그렇게 아등바등하다 보면 확실히 시야가 좁아짐을 느낀다.

말 그대로 '근시안'이 되는 것이다. 지금 눈 앞에 일이 잘 안 풀리거나, 제대로 마무리되지 않으면 세상이 무너질 것 같지만 시간이 지나 보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항상 100점 맞던 학생이 80점을 맞고, 만날 인정받던 직장인이 한 번 대차게 상사에게 깨졌다고 해서 하늘 무너지지 않는다. 그런데, 근시안은 언제나 항상 절망과 슬픔을 조명한다. 그것에 더 집중한다. 좀 더 멀리 보면, 오히려 그러한 상황을 이겨내고 앞으로 나가려 신발끈을 여미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는데도 말이다.


유럽에서 주재원을 할 때였다.

해도 해도 끝나지 않고, 꼬인 실타래처럼 풀리지 않던 일을 마음 한 가득 담고는 너무나 답답해 사무실 근처를 맴돌았던 적이 있다. 눈을 조금 들어 보니 하늘이 있었다. 주위를 보니 꽃이 있었다. 물이 있었고 바람도 불었다. 근시안을 벗어나니 많은 것들이 보였다. 그리곤 무언가 알 수 없는 마음의 여유가 생겼다. 이렇게 푸념만 한다고 뭐가 좋아질까. 내가 가지지 않은 건 물리적 시간이 아니라, 마음의 그것이었다. 여유가 생기니 용기가 생겼고, 그 용기는 무겁게 들고 있던 근심을 그저 놓아버리게 했다. 


아, 그런데도 큰일이 생기지 않는구나.


딴짓을 할 줄 아는 지혜


너무나 바빴던 주재원의 신분이었기에, 잠시 일을 뒤로하고 산책을 하는 것은 사치라 생각했었다.

마음의 여유도 없을뿐더러, 그러한 '딴짓'은 스스로 용납할 수가 없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하지만 그 '딴짓'은 결국 더 나은 마음과 해결책을 가져다준 것이다. 


스리니 필레이의 [멍 때리기의 기적]이란 책이 있다.

제목만 보면 가벼워 보이지만, 최신 연구 결과를 총망라해 '비집중력 과정'이 얼마나 능동적인 마음의 기제인지를 역설한다. '딴짓' 즉, 비집중은 뇌를 준비하고 충전하고 조정해서 필요할 때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머리를 휴식시키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러니 이제는 딴짓을 할 줄 아는 지혜가 필요한 시대가 되었다는 걸 상기해야 한다.


하지만 '딴짓'은 '돌아옴'이 전제가 되어야 한다.

무거운 마음에 잠시 밖에 나가 산책을 하던 내가 사무실로 돌아가지 않았다면? 그건 딴짓이 아니라 '일탈'이다. 무언가 생산적이고, 나를 성장시키는 지혜로운 딴 짓은 본업으로 돌아올 때 빛을 발한다. 




일 밖에 모르던 그 선배들은 퇴임을 하고 나서야 '일'과 '일상'에 거리를 두었다.

그리고 그때 하지 못했던 것을 후회한다. 왕년의 이야기 속에서 나는 그 의미를 끄집어내어 깨닫는다. 그분들이 하지 못한 걸 나는 해보고자 한다.


근시안을 벗어나 멀리 보려는 노력.

힘겹고 무겁게 들고 있는 근심과 걱정을 잠시 내려놓는 연습. 딴짓을 할 줄 아는 지혜. 

그래서 결과적으로 '일'과 '일상'에 거리를 두고 나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갖는 것.


어차피 아등바등 살아야 한다면 그렇게 나를 지키며, 이유라도 알고 그래야 하지 않을까란 생각이다.




'직장내공' (나를 지키고 성장시키며 일하기!)

'오늘도 출근을 해냅니다' (생각보다 대단한 자신을 만나고 싶다면!)

'진짜 네덜란드 이야기' (알려지지 않은 네덜란드의 매력!)

매거진의 이전글 어떤 힘을 믿을 것인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