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테르담 Dec 22. 2020

'에피소드'보다는 '감정'과 '메시지'

뻔한 걸 특별하게 표현하거나, 뻔한 걸 뻔하게 보지 않으면서.

소재 찾기의 어려움


숨은 그림 찾기보다 더 어려운 게 있다.

바로 글의 소재 찾기다. 소재는 '어떤 것을 만드는 데 바탕이 되는 재료'를 말한다. 모든 예술활동에 적용되는 말이지만, 글쓰기라면 더더욱 그렇다. 


글쓰기가 어려움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아래 두 가지 이유로, 무한 루프에 갇혔을 때다.


- 소재가 없어 글쓰기를 시작하지 못한다.

- 시작은 했는데 소재가 고갈되어 글쓰기를 멈추게 된다.


그러니까 글쓰기를 시작하지 못하는 이유, 글쓰기가 멈추게 되는 그 중간 지점에 바로 '소재'가 있는 것이다.


'에피소드'에만
의존하면 안 되는 이유


그렇다면 글의 소재는 어디에서 찾아야 할까?

당연히 바로 내 주위로부터다. '에이, 너무 뻔하잖아...!'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진리는 언제나 뻔한 것에 있다. 우리가 '뻔한' 법과 질서를 '뻔하게' 지킨다면 세상엔 사건사고와 분쟁이 절반 이하로 줄어들 것이다.

뻔한 걸 특별하게 표현하거나, 뻔한 걸 뻔하게 보지 않는 게 바로 실력이다. 그것은 글쓰기로 마음먹은 사람의 덕목이자, 글쓰기를 시작한 사람이 추구해야 할 소양이다.


"작가님, 저는 특별한 사람이 아니어서 쓸 에피소드가 별로 없어요. 해외여행을 많이 다녀온 것도 아니고, 뭐 하나 내세울 게 없어요. 어떻게 해야 하죠?"란 질문을 많이 받는다.


이 질문엔, '에피소드가 있어야 글을 쓸 수 있다'란 명제가 들어있다.

물론, 글쓰기를 시작하는 사람들에게 '에피소드'는 좋은 소재다. 여행을 갔다 왔거나, 일상에서 흔하게 볼 수 없는 것을 보거나. 생각지도 못했던 일이 일어나거나, 큰 실수나 행운이 따랐을 때. 아주 자연스럽게 글쓰기를 떠올린다.


그러나 에피소드에 의존하게 되면 단기적 글쓰기로 귀결된다.

첫째, 그것은 '기록'에 머무르는 글이 될 가능성이 높고.

둘째, 그 소재를 소비하고 나면 다음 에피소드가 발생하지 않는 이상 다른 글은 써지지 않기 때문이다.


에피소드는 '소비'되지만,
감정은 '생산'되고 메시지는 '전달' 된다.


글 쓰는 직장인으로 거듭나고 싶다면, 소재를 소비하는 게 아니라 생산해내야 한다.

소재를 생산해내는 건 능력과 실력이기도 하지만, 글쓰기의 선물이기도 하다. 그러니까 타고나지 않아도 글쓰기를 이어가다 보면 소재를 생산하는 능력을 가질 수 있다는 말이다. 

대표적인 예가 바로 나다. 글쓰기와 전혀 관련 없던, 일기 하나 쓰지 않던 나였지만 글쓰기에 푹 빠져 뭐라도 내어 놓고자 주위를 둘러보니 모든 게 글감이고 소재란 걸 깨닫게 된 것이다.


특별한 에피소드가 없어도 소재가 생겨나고 글쓰기는 이어졌다.

돌아보니 그것은 '감정'에 주목한 결과다.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사건에 '반응하는 나'를 돌아보는 것이다.

그 과정에서 '자기반성', '역지사지', '깨달음' 그리고 '통찰'을 얻게 된다. 이러한 모든 것들은 내 글의 '메시지'가 된다.


누군가 시간을 내어 내 글을 읽거나, 어느 작가의 책을 읽는 이유는 '메시지'를 얻기 위해서다.

그 '메시지'안에 작가가 깨달은 통찰이 들어있기 때문이다. 통찰은 다시, '감정'으로부터 나온다.




그래서 난 습작 성격의 글을 많이 쓴다.

길이와 형식에 관계없이 그저 힘을 빼고 쓴다. 때론, 사물 하나를 골라 그것에 감정이입을 한다. 그러면 뻔하던 것들이 새롭게 보이기 시작한다. 모든 더러운 것을 닦아 내는 물티슈를 보며 그 희생에 나는 경외감을 느끼고, 하루 종일 쉬지도 못하고 켜져 있는 휴대폰을 보며 나는 노동자로서의 연민을 느낀다. 바람에 흔들리는 나무를 보며 흔들리는 건 곧 내 마음이며, 흐르는 물과 고여있는 물을 볼 땐 치유와 포용을 떠올린다.


습작 글이 쌓이면 쌓일수록, 나는 내 감정을 좀 더 이해하게 된다.

내 주위를 달리 보니, 뻔한 건 없었고 모든 게 글의 소재였다는 것도 깨닫게 된다.


이처럼, 글쓰기는 '에피소드'에만 의존해선 안된다.

더 많은 글의 소재는 '감정'에 있다. '감정'을 들여다보고, 또는 '감정'을 다른 어떤 것에 이입할 때 비로소 '메시지'가 생긴다. 그리고 그 '메시지'는 읽는 사람에게 전달되어 '감동과 공감, 위로와 깨달음'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지금 글쓰기를 시작하지 못하고 있거나 글쓰기를 시작했는데 쓸 게 없다고 멈추어 있다면, 나는 지금 무엇에 집중하고 있는지와 어디서 소재를 찾고 있는지를 돌아봤음 한다.


일상은, 나와 내 주위의 이야기들은 뻔한 것이란 뻔한 생각을 잠시 접어두고서.




[글쓰기 강의 + 함께 쓰고 출판하기]

스테르담 글쓰기 클래스(쓰기+출간)


[글쓰기 시작 '나를 관통하는 글쓰기']

탈잉 글쓰기 클래스(VOD)

탈잉 글쓰기 클래스(오프라인/줌라이브)


[종합 정보 모음]

스테르담 저서 모음


[소통채널]

스테르담 인스타그램

매거진의 이전글 글쓰기만큼이나 중요한 '제목 잘 짓는 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