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스테르담 Nov 25. 2023

글쓰기, 진정한 필력은 '나를 알아가는 힘'

천재적인 작가들의 문장을 보면, 나는 경외와 함께 질투를 느낀다.

그들이 하늘로부터 받은 말 그대로의 천부적인 재능이 왜 나에게는 내려지지 않은 걸까. 유려하고도 시선과 마음을 사로잡는 문장을 나는 써낼 수 있을까. 글을 쓰기 시작하는 즈음에 이러한 생각이 들면, 나는 이내 글쓰기를 나중으로 미루곤 한다. 어차피 훌륭하고 멋진 글을 써내기 힘들 거야... 란 합리적 자포자기가 발동하는 순간이다.


그리하여 손을 놓고 잠시 쉬고 있으면, 마음속 손가락이 꿈틀거리기 시작한다.

어서 무어라도 쓰라고 스스로를 종용한다. 왜일까. 이건 뭐지. 멋들어진 글을 쓸 수도 없고, 대문호가 연습 삼아 휘갈긴 글의 발 뒤꿈치도 따라가지 못할 문장들을 토해내는 것이 무슨 의미가 있을까. 자꾸만 글을 쓰고 싶지 않다는 마음으로 온 신경과 생각을 다른 것에 두어 글쓰기를 거부해 보지만, 어느새 나는 책상 앞에 앉아 하얀 여백을 마주한다.


이처럼, '필력'에 대한 미련과 열등감 그리고 결핍은 글쓰기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다.

지금 당장 대문호가 되어 세상을 호령하는 글을 써내지도 못하는데, 그런데 왜 나는 글을 계속 써야 할까? 왜 쓰지 않으면, 써내야 하는 고통보다 더 큰 아픔과 헛헛함을 느끼는 걸까?


글을 쓰며 나는 깨달았다.

글에는 힘이 있다. 우리는 그것을 '필력'이라 부른다. 부르는 것은 쉽지만, 그 정의 대해선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게 있다. 아니, '오해'라고 하는 게 더 맞을 듯하다. 필력은 유려한 문장과 짜임새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글쓰기의 힘은 말 그대로 '나를 알아가는 힘'이자, '나를 알아채는 힘'이다. 힘은 하나의 능력이다. 능력은 그냥 생기지 않는다. 특히나 글쓰기의 능력은 꾸준함이 무기다. 대문호들의 글에 힘이 있는 건, 그들의 무엇을 써야 하고 어떠한 역사적 사실을 자신의 신념과 주제에 따라 세상에 내어 놓아야 하는 지를 알아차렸기 때문이다. 글을 쓰는 자신을 이해했기에, 대단한 작품들이 탄생한 것이다. 그 어떤 훌륭한 문학 작품도, 작가의 삶과 연관되지 않은 글들은 없다. 작가의 삶과 작품에 연관이 있고, 그 연관으로 인해 역사적 사실이 감동으로 다가올 대 우리는 그것을 '작품'이라 말하는 것이다.


모두가 대문호가 될 필요는 없다.

글을 쓴다고 모두가 대문호가 되는 것도 아니다.


글쓰기의 목적이 작품을 만들어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대문호들의 작품도 노벨문학상을 목표로 하거나, 후대에 훌륭한 문학 작품으로 남겨지기만을 목표로 쓴 것은 아니다. 세상으로 분출해야 하는 무언가의 사명감을 느꼈을 것이고, 그 사명감은 '자아'로부터 형성되었을 것이며, 그 힘은 자신을 알아차리는 것에서 비롯되어 피력으로 승화되었을 것이다.


진정한 '필력'은 '나를 알아가는 힘'이다.

이는 글을 쓰는 목적과도 상통한다. 나를 알아가기 위해 글을 쓰는 것이 우선이다. 작품이 될지 말지는 그다음이다. 작품이 되어야 한다는 마음으로 쓴 글에는 필력이 결여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필력을 겸비한 글은 누가 뭐래도 작품이다. 스스로에게 작품이라면, 진실함이 묻어 있다면 글쓰기는 계속 이어질 것이다.


글쓰기는 존재의 존재함을 증명하는 가장 좋은 수단이다.

기록은 기억을 지배하며, 감정의 소용돌이를 순화한다.


나를 알아가려면.

진정한 필력을 쌓아가려면.


오늘도 기어이 써야 하는 이유다.




[종합 정보]

스테르담 저서, 강의, 프로젝트


[신간 안내] '무질서한 삶의 추세를 바꾸는, 생산자의 법칙'

[신간 안내] '퇴근하며 한 줄씩 씁니다'


[소통채널]

스테르담 인스타그램 

매거진의 이전글 평가받으려 글 쓰는 거 아니잖아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