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피해의식과 자기연민 I

자기연민은 어디서 오는가?

 자신을 가장 불쌍히 여기는 마음, 자기연민     


“민희야, 회사 일 때문에 힘든 거 아는데, 우리 만날 때마다 너 회사 불평불만 듣고 있으면 나도 힘들 때가 있어.”  
“미안해, 이제 회사 이야기 안 하고 참아볼게.”     


 ‘민희’와 ‘재훈’은 삼 년째 연애 중이다. ‘재훈’은 늘 ‘민희’의 회사, 가족, 친구들에 대한 불평불만과 짜증을 묵묵히 들어주었다. 그런 ‘재훈’은 며칠 전 건강 검진에서 작은 혹이 발견되어 수술을 했다. 큰 수술은 아니었지만, 처음 겪는 일이라 놀라기도 했고 이러저런 고민의 시간을 보내며 조금 지쳐 있었다. 그런 ‘재훈’에게 ‘민희’는 다시 회사의 불평불만과 짜증을 쏟아냈다.      


 “그런 이야기 계속 듣고 있으면 나도 힘들 때가 있어.” 지친 ‘재훈’은 정직하게 말했다. 그 말에 ‘민희’는 “미안해, 이제 회사 이야기 안 하고 참아볼게.”라며 울음을 터트려버렸다. ‘민희’는 왜 울었을까? 수술한 지 일주일도 지나지 않은 연인에게 불평불만과 짜증을 쏟아낸 것이 미안해서였을까? 아니다. 남자 친구에게마저 자신의 힘듦과 고통을 이야기할 수 없게 된 자신의 처지가 불쌍해서였다. 그렇다. ‘민희’는 지독한 만성적 자기연민에 빠져 있다.    


  

자기연민은 타인들이 만들어낸 집단적 최면이다     


 자기연민이 무엇인가? 유독 자기만 상처받고 있다고 믿기에 자신을 가장 불쌍하게 여기게 된 마음이다. 이런 자기연민은 어디서 오는 걸까? ‘자기’연민이니 ‘자기’로부터 오는 걸까? 아니다. 역설적이게도 자기연민은 ‘타인’으로부터 온다. 자기연민은 타인들이 만들어낸 일종의 집단적 최면이다. 자기연민이 최초로 생기는 시점으로 돌아가 보자. 최초의 자기연민은 타인들의 과도한 관심 혹은 과도한 무관심으로부터 발생한다.      


 길을 걷다가 넘어진 아이가 울고 있다고 해보자. 이때 타인들이 과도한 관심을 보이거나 과도한 무관심을 보인다면 아이는 자기연민에 빠지게 된다. 과도한 관심이 자기연민이 되는 경우부터 말해보자. 과도한 관심은 무엇일까? “어쩌지? 많이 아프니? 병원 가봐야 하나? 흉 지지면 어떡하지?” 이처럼 주변 사람들이 호들갑을 떠는 상황이 바로 과도한 관심이다. 이 과도한 관심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아이는 지금 자신이 느끼는 고통이 자신이 감각하는 것보다 더 큰 고통이라고 인지하게 된다. 즉, 주변 사람들의 과도한 관심은 자신이 느끼는 고통을 아주 큰 아픔으로 여기게 만든다. 이는 자기연민이 될 수밖에 없다. 자신의 고통이 아주 크다고 여기는 이는 반드시 자기연민에 빠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것이 타인들의 과도한 관심이 자기연민을 촉발하는 과정이다. 부모나 주변 사람들로부터 과보호를 받고 자란 아이가 쉽게 자기연민에 빠지게 되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      



 반대로 과도한 무관심 역시 자기연민을 촉발한다. 걷다가 넘어진 아이가 울고 있을 때, 주변 사람들 그 누구도 그 아이에게 관심을 보여주지 않는다고 해보자. 아이의 마음은 어떨까? 아이는 그 고통이 자신만의 고통이라고 여기게 된다. 과도한 무관심 속에서 자란 아이는 타인의 고통을 볼 여력이 없다. 아무도 자신을 지켜주지 않을 것이라 믿는 아이가 어찌 타인의 고통을 들여다볼 수 있을까. 

     

 이 아이는 타인의 고통을 볼 수 없기에 오직 자신의 고통만을 보게 된다. 이는 필연적으로 자기연민을 촉발한다. 자기가 감각한 고통의 크기가 얼마든 그 고통만을 보고 있을 때,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이 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주변 사람들로부터 턱없이 부족한 보호를 받고 자란 아이들이 쉽게 자기연민에 빠지게 되는 것도 그래서다. 자기연민은 과도한 관심 혹은 과도한 무관심을 보여주었던 타인들이 만들어낸 집단적 최면인 셈이다.     

 

 적절한 관심을 받고 자란 아이는 자기연민이 없거나 적다. “그건 울 일이 아니야. 씩씩하게 털고 일어나야지.” 넘어진 아이를 애정 어린 눈빛으로 지켜보던 부모가 이렇게 말했다고 해보자. 그 아이는 자신의 고통을 느끼지만, 그것에 과도한 의미 부여를 하지 않는다. 자신의 고통에 큰 의미를 부여하지 않기 때문에 타인의 고통을 들여다볼 여유가 있다. 그렇게 타인의 고통을 볼 수 있게 된 이들은 결코 자기연민에 빠지지 않는다. 자기연민은 세상에서 자기를 제일 불쌍하게 여기게 된 마음 아닌가? 자신만큼 혹은 자신보다 더 큰 고통 속에 있는 타인을 볼 수 있는 이들에게 그런 마음(자기연민)이 생길 리는 없다.      



과도한 관심(혹은 무관심)→상처→피해의식→자기연민

     

 이제 ‘민희’와 ‘재훈’의 이야기로 돌아가자. ‘민희’의 자기연민은 어디서 왔을까? 과도한 관심 혹은 과도한 무관심에서 왔을까? 그렇지 않다. ‘민희’는 평범한 이들이 받는 관심(혹은 무관심) 속에서 자랐다. ‘재훈’ 역시 그 정도의 관심(혹은 무관심) 속에서 자랐다. 하지만 ‘재훈’은 자기연민이 덜하고, ‘민희’는 자기연민이 과하다. 부모에게 적절한 관심을 받고 자란 이들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대부분의 평범한 이들은 과도한 관심 혹은 과도한 무관심 속에서 자랐다. 하지만 모든 사람이 ‘민희’처럼 심한 자기연민에 빠지지는 않는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하는 걸까? 여기서 자기연민의 발생 과정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자기연민이 발생하는 마음을 도식화하면 다음과 같다. <과도한 관심(혹은 무관심)→상처→피해의식→자기연민> 즉, 과도한 관심(호들갑) 혹은 무관심(냉대)이 특정한 상처가 되고, 그것이 피해의식이 되었을 때 비로소 자기연민이 발생하게 된다. 즉, 과도한 관심 혹은 무관심은 자기연민을 촉발하지만, 그 촉발된 자기연민의 강도를 결정짓는 것은 피해의식이다. 즉, 자기연민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것이 피해의식이다. 


여기서 우리는 한 가지 의아함을 느낄 수 있다. 과도한 무관심(냉대)이 상처받은 기억이 되는 것은 이해가 된다. 누구에게나 관심받지 못한 기억은 쉽게 상처가 된다. 하지만 과도한 관심(호들갑)이 어째서 상처가 되는 걸까? 어떤 아이도 늘 과도한 관심 속에서만 살아갈 수는 없다. 과도한 관심 밖으로 나서야 하는 순간이 있다. 그때 과도한 관심은 큰 상처가 된다. 과도한 관심 속에서 자란 아이가 그 관심 밖으로 나서게 되면, 모든 일상이 상처가 되기 때문이다.      


 당연하지 않은가? 작은 상처에도 주변 사람들이 호들갑을 떨며 위로와 격려를 해주는 환경에서 자란 이가 있다고 해보자. 그런 이가 일상적인 환경(학교‧직장…)에 놓이게 되면 그 일상이 엄혹하고 냉정한 고통의 구렁텅이처럼 느껴질 것은 당연한 일이다. 바로 그 고통과 상처 때문에 피해의식이 촉발되고 강화될 수밖에 없다. 이렇게 과도한 관심도 과도한 무관심도 한 사람에게 상처로 기억되어 피해의식(과도한 자기방어)이 된다. 바로 그 피해의식이 자기연민을 결정짓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피해의식은 자기연민을 강화한다     

 

 이제 ‘민희’의 극심한 자기연민을 해명할 수 있다. 유사한 수준의 관심 혹은 무관심 속에서 자랐지만, 그것을 얼마나 큰 상처로 받아들이는지는 사람마다 다를 수밖에 없다. 평범한 가정에서 자란 ‘민희’와 ‘재훈’은 유사한 관심(혹은 무관심) 속에서 자랐지만, ‘민희’는 그것을 큰 상처로 여긴 반면 ‘재훈’은 작은 상처로 여겼다. 당연히 둘의 피해의식의 밀도는 다를 수밖에 없다. 이 피해의식의 밀도 차이가 자기연민의 강도 차이를 결정지었다.   

    

 자기연민과 피해의식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 피해의식이 짙을수록 자기연민이 심하고, 피해의식이 옅을수록 자기연민이 약하다. 이는 다른 종류의 피해의식도 마찬가지다. 돈에 대한 피해의식에 휩싸인 이를 알고 있다. 그는 누군가가 보기에는 제법 부유한 편이다. 하지만 그는 술을 마시면 종종 신세한탄을 하며 혼자 울곤 한다. (자신이 보기에) 돈이 없는 자신이 한없이 불쌍해 보이기 때문이다.       


 학벌과 젠더에 대한 피해의식 역시 마찬가지다. 이러한 피해의식에 휩싸인 이들은 좋은 학벌이 아니라는 이유로, 여자(혹은 남자)라는 이유로 자신이 세상에서 가장 불쌍한 사람이라 믿는다. 어떤 종류의 피해의식이건 상관없이 피해의식에 휩싸인 이들은 하나같이 극심한 자기연민 속에 있다. 피해의식은 자기연민을 강화하기 때문이다. 과도한 관심(혹은 무관심)은 분명 자기연민의 중요한 원인이다. 하지만 이는 한 사람의 해석 체계에 따라 상처로 기억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결국 자기연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피해의식이다.     

이전 09화 소중한 것을 소중히 대하지 못하는 이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