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피해의식, 이중의 뒤틀림

소망의 부정, 부정의 소망

피해의식, 이중의 뒤틀림


“쟤는 세상에 자기 혼자 잘났나봐.”     


 신입 사원이 주눅들지 않고 자신의 의견을 발표했다. ‘민재’는 그 모습을 보고 혼잣말을 했다. 왜 그랬을까? 피해의식 때문이다. ‘민재’는 소심함에 대한 피해의식이 있다.  “넌 왜 사람들 앞에서 말을 못하니?” “너는 남자애가 왜 그리 소심하니?” ‘민재’는 어린 시절 내성적인 성격 탓에 크고 작은 상처를 받았다. 그 상처들이 ‘민재’의 피해의식이 되었다. 이 피해의식은 ‘민재’의 삶에 악영향을 미친다.      


 어떤 악영향일까? 언제 어디서든 주눅 들지 않는 당당한 사람에 대한 반감일까? 혹은 자신의 피해의식을 폭로하는 사람에 대한 분노일까? 그 모든 것이 피해의식이 ‘민재’의 삶에 미치는 악영향이다. 하지만 이보다 더 심각한 악영향이 있다.      


 부정적 자아의 긍정! 이것이 피해의식이 야기하는 심각한 해악이다. 피해의식은 부정적 자아(내가 싫어하는 나)를 긍정하게 만든다. 이는 피해의식의 두 가지 과정을 드러낸다. 부정적 자아의 생성과 긍정이다. 즉, 피해의식은 부정적 자아(내가 싫어하는 나)를 생성하는 동시에, 그 부정적 자아(내가 싫어하는 나)를 긍정하게 만든다.      



 피해의식은 이중으로 뒤틀어진 마음이다. 다소 난해한 말을 이해하기 위해 피해의식의 논리를 되짚어보자. 특정한(소심함‧가난‧뚱뚱함…) 피해의식이 있다는 말은 그 특정한(소심한‧가난한‧뚱뚱한…) 자아를 부정하고 있다는 의미다. 쉽게 말해, 소심함‧가난‧뚱뚱함에 대한 피해의식에 휩싸여 있다는 건, 소심한‧가난한‧뚱뚱한 자신을 싫어한다는 말과 다르지 않다. 이처럼 피해의식은 일차적으로 ‘나’를 싫어하게 만든다. ‘부정적 자아의 형성’, 이것이 피해의식의 첫 번째 뒤틀림이다.      


 피해의식의 뒤틀림은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피해의식은 첫 번째 뒤틀림으로 탄생한 부정적 자아(내가 싫어하는 나)를 다시 긍정하게 만든다. 쉽게 말해, 피해의식에 휩싸이면 ‘내가 싫어하는 나’의 모습을 거부하지 않고 무의식중에 긍정하게 된다. ‘부정적 자아의 긍정’ 이것이 두 번째 뒤틀림이다. 소심함‧가난‧뚱뚱함에 대한 피해의식에 휩싸인 이들이 좀처럼 긍정적 자아(대범한‧부유한‧날씬한 나)로 나아가지 못하는 이유도 이 때문이다. 그들은 부정적 자아(소심한‧가난한‧뚱뚱한 나)를 무의식적으로 긍정하고 있다.    


  

부정적 자아의 긍정, 소망하는 자아의 부정

     

 ‘민재’의 이야기로 돌아가자. ‘민재’는 소심한 자신을 부정하고 있다. 즉, 소심한 자신을 싫어하고 있다. 하지만 그는 소심한 자신의 모습을 정말 온전히 싫어하는 것일까? 그렇지 않다. 만약 그렇다면, ‘민재’는 자신의 소심함을 극복하려고 애를 쓸 테다. 자신의 어떤 모습이 정말로 싫다면 그 모습에서 벗어나려고 노력하게 될 수밖에 없다. 하지만 ‘민재’는 자신의 소심함을 극복하려 애쓰지 않는다. 

     

 왜 그럴까? 피해의식은 부정적 자아(소심함)를 무의식적으로 긍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즉, ‘민재’는 자신이 싫어하는 모습(소심함)을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긍정하고 있다. 이 인지할 수 없는 무의식은 어디서 드러날까? 부정적 자아(소심함)의 반대편에 있는 모습, 즉 소망하는 자아(당당함)에 대한 반감으로 드러난다. 왜 ‘민재’는 당당한 신입 사원에게 반감을 갖게 되었을까? 만약 ‘민재’가 자신의 소심한 모습(부정적 자아)이 정말 온전히 싫다면, 그 반대편에 있는 당당한 모습(소망하는 자아)에 호감이 생겨야 하는 것이 합당하다.  


     

 생각해보라. 우리가 어떤 대상(위선‧가난)이 정말 온전히 싫다면, 그것의 반대편에 있는 것(정직함‧부유함)을 자연스레 좋아하게 마련이다. 하지만 ‘민재’는 누군가의 당당한 모습에 호감보다는 반감이 든다. 이는 ‘민재’가 자신의 부정적 자아(소심함)를 일정 정도 긍정하고 있다는 반증이다. ‘민재’는 소심한 자신(부정적 자아)을 긍정하고 있는 만큼, 그 반대편에 있는 당당함(긍정적 자아)에 반감이 생긴 것이다.      


 ‘민재’가 갖고 있는 당당함(소망하는 자아)에 대한 거부감은, 소심함(부정적 자아)에 대한 무의식적 긍정인 셈이다. ‘민재’의 마음은 이중으로 뒤틀려 있다. 소심함(부정적 자아)을 긍정하는 동시에 당당함(소망하는 자아)을 부정하고 있으니까 말이다. 이렇게 피해의식은 ‘소망하는 자아’(당당한 나)를 부정하게 만들고, ‘부정적 자아’(소심한 나)를 긍정하게 만든다. 이는 다른 피해의식에서도 그대로 반복된다.       


 가난에 대한 피해의식을 생각해보자. 가난에 대한 피해의식은 가난한 자신(부정적 자아)을 무의식적으로 긍정하게 만든다. 그리고 그와 동시에 부富(소망하는 자아)에 대한 강한 반감(“부자들은 다 도둑놈들이야”)을 갖게 만든다. 외모에 대한 피해의식 역시 마찬가지다. 외모에 대한 피해의식은 못생긴 자신(부정적 자아)을 긍정하게 만드는 동시에 아름다운 이(소망하는 자아)에 대해 강한 반감(“예쁜 것들 얼굴값 하는 것들이야”)을 갖게 만든다. 이런 이중으로 뒤틀어진 마음은 필연적으로 우리네 삶을 불행의 늪으로 끌고 들어간다.   


    

피해의식은 원치 않는 삶으로 빠져들게 하는 늪이다

     

 피해의식은 늪이다. 원치 않는 삶으로 조금씩 빠져들게 하는 늪. 피해의식은 우리를 원하는 삶으로부터 멀어지게 만들고, 원치 않는 삶으로 끌려 들어가게 만든다. 누구에게나 ‘소망하는 자아’와 ‘부정하는 자아’가 있다. 뚱뚱함에 대한 피해의식이 있는 이가 있다. 그에게 ‘뚱뚱한 나’는 ‘부정하는 자아’이고. ‘날씬한 나’는 ‘소망하는 자아’이다. 이때 피해의식은 그를 ‘소망하는 자아(날씬한 나)’에서 더욱 멀어지게 만들고, ‘부정적 자아(뚱뚱한 나)’로 더욱 가까워지게 만든다. 

       

 바로 여기에 피해의식 치명적 해악이 있다. 우리는 누구나 기쁜 삶을 원한다. 기쁜 삶은 무엇일까? ‘부정하는 자아’로부터 벗어나고, ‘소망하는 자아’로 다가서는 삶이다. 하지만 피해의식에 휩싸인 이들은 결코 이런 기쁜 삶으로 나아갈 수 없다. 그들은 슬픔의 늪으로 점차 빠져들게 될 수밖에 없다. 자신이 부정하고 있는(소심한‧가난한‧뚱뚱한) 삶으로 다가서게 되고, 자신이 소망하는(당당한‧부유한‧날씬한) 삶으로부터 멀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이는 필연적 귀결이다. 피해의식은 ‘긍정적 자아’(당당한‧부유한‧날씬한 나)를 부정하고 ‘부정적 자아’(소심한‧가난한‧뚱뚱한 나)를 긍정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피해의식을 가진 이들은 필연적으로 슬픔의 구렁텅이에 빠지게 된다. 사실 그들이 소망하는 삶은 당당하며, 날씬하고, 부유하고, 명예 있는 삶 아닌가? 하지만 피해의식은 자신들이 원했던 삶(당당함‧날씬함‧부유함)을 부정하게 만듦으로써 그 삶으로부터 점차 멀어지게 만든다. 그들은 자신이 그토록 싫어했던 삶(소심함‧뚱뚱함‧가난함)으로 점점 더 끌려 들어갈 수밖에 없다.      


 피해의식에 빠진 이들의 삶이 피폐해지는 것은 당연하다. 피해의식에 휩싸인 이들은 기묘한 정신적 분열 상태에 빠질 수밖에 없다. ‘소망하는 자아’(당당함‧날씬함‧부유함‧명예)를 부정하고, ‘부정적 자아’(소심함‧뚱뚱함‧가난함‧무명)를 소망하게 되는 그 기묘한 분열 상태가 이어질 때, 어찌 삶이 피폐해지지 않을 수 있을까? 피해의식이 만들어내는 그 기묘한 이중의 뒤틀림은 삶 자체를 뒤틀어버린다.      

이전 11화 피해의식과 자기연민 II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