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9.‘자아실현의 욕망’과 ‘사랑받고 싶다는 욕망’ 사이

우리는 일을 하면서 어떤 가치로 사랑받고 싶을까?

‘자아실현의 욕망’과 ‘사랑받고 싶다는 욕망’ 사이     


우리는 사랑받기 위해서 일하고, 사랑받기 위해 일을 그만두지 못한다. 이 삶의 진실에 직면하면 우리는 하나의 세속적 질문에 답할 수 있다. '왜 직업 선택의 기준에서 돈, 권력, 명예보다 자아실현은 뒤로 밀릴 수밖에 없는가?'라는 질문 말이다.


 대답은 어렵지 않다. 돈, 권력, 명예가 있다면 비교적 쉽게 ‘사랑받고 싶다’는 욕망을 충족할 수 있지만, 자아실현으로는 그것이 쉽지 않기 때문이다. 자아실현 역시 사랑받고 싶다는 욕망에 충실한 것이지만, 우리가 사는 현실에서 직업적 자아실현으로 누군가에게 사랑받기가 녹록치가 않다. 자아실현이 뭔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긍정하며 표현하는 것 아닌가? 세상은 우리에게 무엇을 요구했었던가? 같은 생각을 하고 시키는 것만 충실히 하는 기성품이 되기를 원하지 않았던가? 


 그러니 세상은 자아실현을 위해 일하려는 사람을 외면하고 무시하고 천대하는 것이다. ‘네가 하고 싶은 것만 하고 살 수는 없어!’라고 말하면서. 현실이 그렇지 않은가? 돈, 권력 명예가 있다면 불특정 다수에게 비교적 쉽게 사랑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자아실현은 다르다. 일로써 자아실현을 한다고 해도 아주 소수의 사람에게만 사랑을 받을 수 있을 뿐이다. 이것은 재벌, 국회의원, 임원은 내심 부러워하고 좋아하지만, 심오한 작품을 창조하는 예술가나 깊은 사유를 표현하는 철학자를 부러워하고 좋아하는 사람이 얼마나 드문지를 생각해보면 어렵지 않게 알 수 있다.

     

 돈, 권력, 명예는 중요한 것이라 믿고 있다. 하지만 자아실현은 순진한 것이라 믿고 있다. 그런데 일을 하면서 돈, 권력, 명예만을 쫒았던 삶 끝에 행복이란 것이 있을까? 쉽게 사람들에게 사랑받기위해 나답게 살 수 있는 자아실현 따위는 어찌 되어도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삶은 불행하다. 나는 없고 오직 다른 사람의 시선에만 휘둘려 사는 인생을 행복하다 말할 수 없는 까닭이다. 진짜 자신의 모습은 뒷전으로 밀어둔 채, 불편한 옷을 입은 것 같은 느낌으로 억지스럽게 부자, 국회의원, 경찰관이 되려는 사람이 나는 전혀 행복해 보이지 않는다.

       

 인간은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긍정하지 않고서는, 달리말해 자아실현을 하지 않고는 행복할 수 없는 존재다. 동시에 인간은 누구나 타인에게 사랑받고자 하는 욕망에서 완전히 벗어날 수도 없는 존재다. 이것이 바로 우리 시대 밥벌이 고민의 본질이자 핵심이다. 쉽게 사랑받기 위해 돈,명예, 권력을 쫒지만 그 끝에는 결국 자신을 잃게 되는 것, 이것이 지금 시대 일에 관한 고민의 핵심이자 본질이다. 그렇다면 행복한 밥벌이는 ‘자아실현의 욕망’과 ‘사랑받고 싶다는 욕망’ 사이의 균형에서 찾을 수 있는 것은 아닐까?


 쉽게 말해, 돈,권력, 명예, 자아실현 중 어떤 가치를 얼마나 선택해서 '사랑받고 싶다'는 욕망을 채워나갈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말이다. 바로 그 선택과 결정이 일을 하면서 얼마나 행복할 수 있는지를 결정하게 될 테니까. 돈을 쫒아 일하던지, 명예, 권력을 쫒아 일하던지, 자아실현을 쫒아 일하던지, 그건 분명 자신의 몫일 테다. 그러니 이제 스스로에게 물을 차례다. ‘나는 일을 하면서 돈, 권력, 명예, 자아실현 중 어떤 가치로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싶은 걸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