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질투심을 잘 다루는 법

스피노자의 '경쟁심'

스피노자의 ‘경쟁심’


‘내가 더 잘나고 싶은 마음’은 '질투'뿐일 걸까? 아니다. 스피노자에 따르면, ‘경쟁심’이라는 감정 역시 ‘내가 더 잘나고 싶은 마음’이다. 스피노자의 이야기를 직접 들어보자.      


경쟁심aemulatio이란 다른 사람이 어떤 사물에 대한 욕망을 가지는 것을 우리가 떠올림으로 인하여 우리 안에 생기는 동일한 사물에 대한 욕망이다. (에티카제 3감정의 정의33)


 경쟁심은 다른 사람들이 어떤 사물을 욕망할 때 우리 역시 그것을 욕망하게 되는 감정이다. 진환과 재익은 친구다. 그런데 여름 방학 때부터 진환은 농구에 빠졌다. 진환을 따라 농구를 하러간 재익 역시 농구에 빠졌다. 둘은 아침부터 해가 질 때까지 경쟁적으로 농구장에서 농구 연습을 했다. 이유는 간단했다. 상대보다 농구를 더 잘하기 위해서였다.

      

 “다른 사람(진환)이 어떤 사물(농구)에 대한 욕망을 가지는 것을 우리(재익)가 떠올림으로 인하여 우리(재익) 안에 생기는 동일한 사물(농구)에 대한 욕망. 이것이 경쟁심이다. 얼핏 보면, 이 ‘경쟁심’은 ‘질투’와 비슷해 보인다. 결국 ‘내가 더 잘하고 싶은 마음’ 아닌가? 하지만 두 감정은 다르다. 어떤 의미에서 둘은 정반대의 감정이라고 할 수 있다. ‘경쟁심’이라는 감정이 어떻게 발생하게 되는지 살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감정의 모방이 (중략욕망과 관계되어 있을 때에 경쟁심이라고 일컬어진다. (중략경쟁심은 우리와 유사한 다른 사람이 어떤 것에 대한 욕망을 가지고 있다고 우리가 떠올리는 것으로 인하여 우리 안에 생기는 동일한 욕망에 지나지 않는다. (에티카제 3정리 27, 주석)

 

 ‘경쟁심’은 ‘감정의 모방’이 ‘욕망’으로 나타나는 감정이다. 왜 재익은 진환에게 ‘경쟁심’을 느꼈을까? 재익은 진환의 감정(농구에 대한 애정)을 모방했고, 그 ‘감정의 모방’이 ‘욕망’(농구에 대한 욕망)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그래서 ‘경쟁심’에 불탔던 것이다. 여기서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은 ‘감정의 모방’이다. 우리는 누구의 감정을 모방할까? 우리는 불특정 다수나 혹은 증오하거 싫어하는 사람의 감정을 모방하지 않는다. 우리가 사랑하거나 혹은 좋아하는 사람의 감정을 모방한다.


 사랑을 통해 ‘경쟁심’을 느낀 적이 있다. 사랑했던 그녀는 음악과 미술을 좋아했다. 그녀를 만나면서 평생 가본 적 없는 전시회를 가게 되었고, 한 번도 들어본 적 없는 클래식 음악을 듣게 되었다. 그 뒤로 더 많은 음악과 미술 작품을 알고 싶어 열심히도 노력했다. 그녀보다 아니 적어도 그녀만큼이라도 미술과 음악에 대해 알고 싶었다. 그것은 분명 경쟁심이었다. 그 경쟁심은 그녀의 감정(음악과 미술에 대한 사랑)을 모방하고 싶은 욕망이었다.



질투와 경쟁심


여기서 경쟁심과 질투의 차이가 드러난다. 질투의 속내는 이것이다. “내가 세상에서 제일 잘났으니까 다른 사람들은 찌그러져 있어!” ‘질투’는 나와 타인을 모두 파괴한다. ‘질투’는 근본적으로 ‘미움’(증오)의 감정이기 때문이다. 누군가를 증오하는 것은 양날의 칼이다. 상대를 깊게 찌르려고 할수록 내 손도 깊게 베이는 칼. 후배를 질투하면 할수록 나는 내가 싫어졌다. 모든 행동에서 후배를 의식하는 내가 싫어졌고, 근거 없이 후배를 증오하는 나 자신은 더욱 싫어졌다. 그렇게 ‘내가 더 잘나고 싶은 마음’의 질투는 나를 조금씩 파괴해나갔다.  

     

 경쟁심도 ‘내가 더 잘나고 싶은 마음’이다. 하지만 그 속내는 이렇다. “나도 이렇게 잘났으니까 나를 더 좋아해줘” 경쟁심은 아무 것도 파괴하지 않는다. 오히려 사랑하거나 좋아하는 감정을 더 강화시킨다. ‘경쟁심’은 근본적으로 ‘욕망’이기 때문이다. 욕망이 무엇인가? 욕망은 (중략자기의 보존에 도움이 되는 것을 행하도록 결정되어 있는 한에 있어서 인간의 본질 자체라고 말했다. (에티카제 3감정의 정의1, 해명) 욕망은 자기를 보존하게 해준다. ‘경쟁심’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에게 더 사랑받는 존재가 됨으로써 자기를 더욱 잘 보존하게 되는 욕망이다.      


 그러니 경쟁심은 나와 타인을 파괴하기는커녕 나와 타인 사이의 사랑을 더욱 깊고 단단하게 해준다. 재익이 진환에게 경쟁심을 느꼈던 이유는 진환을 파괴하고(이기고) 싶어서가 아니다. “네가 좋아하는 농구를 나도 이렇게 잘해. 그러니 나를 더 좋아해줘”라고 말하고 싶은 것이다. 내가 사랑했던 그녀에게 경쟁심을 느꼈던 이유는 그녀를 파괴하고(이기고) 싶어서가 아니었다. “네가 좋아하는 작품을 나도 이렇게 잘 알아. 그러니 나를 조금만 더 좋아해줘”라고 말하고 싶은 거였다. 



     

질투를 잘 다루는 법

   

‘질투’라는 감정은 애정결핍에 기원해 있다. 사랑 받은 기억이 모자란 사람일수록 아무 곳에서 자신이 주인공이 되고 싶다는 마음을 주체할 수 없다. 그 마음 때문에 조금이라도 자신이 조연이 된 (혹은 될) 것 같으면 주인공이 된 (혹은 될) 것 같은 사람을 ‘질투’하는 것이다. 나는 왜 후배를 ‘질투’를 했을까? 충분히 사랑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애정의 결핍을 직장의 관심으로 메워 넣으려 했다. 돌아보면, 나는 그 후배만을 질투했을까? 아니다. 나를 엑스트라 혹은 조연으로 만드는(혹은 만들) 모든 사람들을 질투했다. 그 시절의 나는 그만큼이나 애정결핍이었다.

 

 질투를 잘 다루는 방법은 ‘애정결핍을 어떻게 해소하느냐?’의 문제와 직결된다. 이제 질투를 잘 다룰 수 있는 방법이 슬며시 보일 것 같다. 놀랍게도, ‘경쟁심’을 통해 ‘질투’를 잘 다룰 수 있다. 질투와 경쟁심은 모두 사랑받고 싶은 마음이다. 사랑받고 싶기에 ‘내가 더 잘나고 싶은 마음’이 드는 것이다. 하지만 둘의 결정적 차이가 있다. 질투가 불특정 다수에게 사랑받고 싶은 마음이라면, 경쟁심은 단독적인 한 사람에게 사랑받고 싶은 마음이다.

    

 “모두 나를 쳐다 봐!” 질투의 정서라면, “너만 나를 봐주면 돼!” 경쟁심의 정서다. 애정결핍은 ‘사랑의 양’이 아니라 ‘사랑의 질’에 결부된 문제다. 불특정 다수에게 사랑을 받는다고 해서 애정결핍은 사라지지 않는다. 오히려 마치 바닷물을 들이키는 것처럼 더 큰 애정결핍에 시달릴 뿐이다. 이는 많은 팬들에게 둘러싸인 연예인, 정치인들의 삶을 보면 알 수 있다. 대체로 그들은 애정결핍 덩어리들이고, 그래서 질투의 화신들이다.

    

 애정결핍의 해소는 ‘사랑(혹은 우정)의 질’에 달려 있다. 오직 한 사람, 그 사람이지 않으면 안 되는 사람과의 밀도 있는 사랑(혹은 우정). 그것이 애정결핍을 해소해준다. 그런 사랑(혹은 우정)의 시작은 ‘경쟁심’으로 찾아온다. 재익이가 진환이에게 잘 보이기 위해 농구를 했던 마음. 내가 그녀에게 잘 보이기 위해 음악과 미술 작품을 찾았던 마음. “너만 나를 봐주면 돼!”라는 그 간절한 마음이 만들어낸 경쟁심. 이것이 우리 속에 깊게 뿌리 내린 질투라는 파괴적 감정을 시들게 할 테다. 질투는 “없으라!” 한다고 없어지지 않는다. 질투는 경쟁심으로 점차 약해진다. 경쟁심을 느끼면 느낄수록 우리는 더 깊은 사랑을 맞이하게 되는 것이니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