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피해의식과 ‘절대적 피해자’

절대적 피해자와 절대적 가해자 I

절대적인 피해자의 탄생

     

 ‘정윤’은 학창시절 왕따를 당했다. 그 상처가 피해의식이 되었다. ‘정윤’은 지금도 늘 따돌림을 당하지 않을까 노심초사하며 산다. ‘정윤’은 주변 사람들 중 누군가 수군거리거리면 자신을 비난하는 것처럼 느낀다. 또 주변 사람들이 자신에게 조금만 무관심하거나 친절히 대해주지 않으면 따돌림을 받는 것처럼 느낀다. 그래서 ‘정윤’은 낯선 이들을 만날 때 위축되고 또 누군가를 근거 없이 경계하거나 미워하게 된다. 이런 피해의식은 ‘정윤’의 개인적 삶을 불행하게 만든다. 그렇다면 ‘정윤’의 불행은 개인적 삶에서 멈추게 될까?     

  

“어제 뭐했어?”
“장애인 학교 자원 봉사 다녀왔어.”
“좋은 일 했네.”
“너도 같이 할래?”
“아니야. 근데 장애인 학교에는 장애인만 다니지? 
“그렇지.”
“좋겠네. 장애인들은 왕따는 안 당하겠네.”      


 ‘정윤’은 장애인 자원봉사를 다녀온 ‘민주’를 만났다. ‘같이 자원봉사를 하자’는 ‘민주’의 말에 ‘정윤’은 시큰둥하다. ‘정윤’은 장애인들에게 기묘한 부러움을 느낀다. ‘모두가 장애인인 학교에서는 왕따를 당할 일이 없지 않을까?’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정윤’은 장애인들에 대한 연민을 느끼지 못한다. 왜 그럴까? 바로 ‘정윤’의 피해의식 때문이다. 온통 자신의 상처(왕따)에 대한 생각뿐인 ‘정윤’의 세상에서는 왕따와 왕따 아닌 이들이 존재할 뿐이다. 그런 ‘정윤’에게 장애인의 상처와 고통이 보일 리 없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여기서 우리는 피해의식의 중요한 특성 하나를 알 수 있다.  피해의식은 한 사람을 절대적인 피해자의 자리로 위치시킨다. 즉, 피해의식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어떤 이들보다 자신이 가장 큰 피해를 받은 존재라고 여기게 만든다. 다시 묻자. ‘정윤’은 왜 장애인에 대한 연민을 느끼지 못했을까? 그것은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자신이 장애인들보다 더 큰 피해자로 여기기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을 세상에서 가장 큰 피해자로 여길 때 타인을 향한 그 어떤 연민도 생기지 않는다. 



‘절대적 피해자’라는 망상

     

 객관적으로 보자면 ‘정윤’의 생각은 어처구니없는 생각이다. 어떻게 ‘정윤’이 장애인들보다 더 큰 피해자일 수 있을까. 학창시절 왕따의 상처가 어떻게 (선천적인 혹은 불운한 사고 때문에) 신체를 자유롭게 사용하지 못하게 된 이들의 상처보다 더 큰 상처일 수 있을까. ‘정윤’은 마치 사지가 절단 이들의 고통 앞에서 자신의 손톱이 빠진 아픔이 더 큰 고통이라고 말하고 있는 셈이다. 피해의식은 이런 어처구니없는 망상을 현실적 인식으로 바꿔놓는다. 이것이 ‘정윤’이 장애인들에게 작은 도움조차 줄 수 없었던 이유다. ‘정윤’은 장애인들에게 관심이나 연민은커녕 오히려 그들에게 기묘한 부러움을 느끼고 있으니까 말이다.      


  이것은 비단 ‘정윤’만의 일일까? ‘찬성’은 가난 때문에 받았던 상처 받았다. 이것은 그의 돈에 대한 피해의식이 되었다. 통장에 잔고 줄어들 때 심장이 두근거릴 정도로 불안하다. 그뿐인가? 돈 걱정 없이 사는 부자들을 향한 근거 없는 적개심에 사로잡혀 있다. 그런 ‘찬성’은 불의의 사고로 부모를 모두 잃은 어느 아이의 삶을 알게 되었다. 그는 아이의 삶을 보고 이렇게 말했다. “쟤는 이제 평생 돈 걱정 없이 살겠네. 보험금 빵빵하게 나올 테니까 ” 

     

 ‘찬성’은 사이코 패스일까? 그렇지 않다. 그가 그런 참혹한 이야기를 담담하게 할 수 있었던 건 그의 피해의식 때문이다. ‘찬성’은 돈에 대한 피해의식에 휩싸여 있다. 그에게 세상은 ‘돈 있음’(행복)과 ‘돈 없음’(불행)으로 구분될 뿐이다. 그러니 ‘찬성’의 인식 속에서 과거 돈 때문에 상처받은 자신, 지금도 돈이 없어 상처받고 있는 자신보다 더 큰 피해자는 없다. 그는 타인의 상처와 고통을 전혀 느끼지 못하는 사람이 아니다. 단지 피해의식에 휩싸여 있을 뿐이다. 더 정확히 말해, 피해의식이 야기한 그 지독한 자기연민이 부모 잃은 한 아이의 고통을 가렸을 뿐이다. 

      

작가의 이전글 갑질과 피해의식 II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