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임순 씨! 가장 행복했을 때가 언제였어요?
“문임순 씨 내가 집에 올 시간이 되었는데 집에 안 있고 또 어딜 가셨습니까? 내가 어디 가지 마시라고 했잖아요. “
우리 막내가 우리 엄마 집 인터폰 옆 벽에 연필로 또박또박 써 논 낙서다.
아이가 태어나고 내가 다시 직장으로 돌아가야 할 때쯤 엄마네 아파트 단지, 바로 옆 동으로 이사를 했다. 그날부터 우리 아이들의 유치원 등하교와 초등학교 입학을 하고부터는 방과 후 돌봄까지 오롯이 우리 엄마 문 여사님의 몫이 되었다. 엄마한테 탁란 한 뻐꾸기같이 얌체 짓을 했음을 요새 부쩍 반성한다.
큰애와 작은애는 두 살 터울이다. 두 아이는 걸어서 3분 거리에 있는 초등학교를 마치면 할머니 집으로 가서 내가 퇴근할 때까지 할머니와 같이 지낸다. 대부분은 저녁밥까지 할머니 집에서 해결하고 오밤중이 되어서야 우리 집에 온다. 그러니 할머니께서 혹시 집이라도 비울 때면 목에 걸고 다니던 열쇠로 문을 열고 들어가야 한다. 특히 둘째는 그걸 유난하게 싫어했고, 할머니께서 지가 학교서 돌아올 시간, 집에서 기다려주지 않고 놀러 나갔다고 동네방네 소문을 낸 것이다.
이 낙서는 우리 집 작은애가 초등학교 4학년 때쯤이었을 것으로 기억한다.
그때만 해도 토요일 오전에는 근무할 때였다. 토요일이라 오전 근무를 마치고 나는 엄마 집으로 왔고, 아이들도 학교를 마치고 할머니 집으로 왔으니 3대(엄마, 나, 내 딸)가 엄마 집 거실에서 점심을 먹고 뒹굴고 있었다. 나랑 엄마는 그때나 지금에나 이런저런 기억하지 못할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지 싶고, 애들은 숙제한다고 거실 바닥에 책가방이랑 같이 뒹굴고 있는 너무도 평범한 주말이었지 싶다.
알림장을 보던 작은애가 가족 중에 한 사람을 인터뷰해 그걸 적어가야 한다고 나더러 자기 인터뷰 대상이 되어 달라고 했다. 뭐 쑥스럽기도 하고, 엄마 앞에서 애들의 물음에 솔직하게 답할 자신도 없어서 싫다고 손사래를 치면서 우리는 좀 특별하게 할머니를 인터뷰하자고 했다. 우리 작은애는 할머니나 엄마나 일단 자기 숙제만 하면 되니까 누군들 상관없다는 듯
“그래. 그럼 할머니 할게” 그걸로 할머니 인터뷰해서 숙제를 해가는 걸로 정했다.
거실 한가운데 제법 인터뷰 구색을 갖춘다고 작은 상을 펴 놓고 할머니를 딱 앞에 앉혀놓은 작은 애가
“이름은 뭐예요?” 하면서 본격적인 인터뷰를 시작했다.
“문임순입니다.”
“그럼 할머니 고향은 어디세요?”
“사방 골…. 수곡면 대천리 사방 골입니다.”
할머니와 손녀딸이 제법 주거니 받거니 이야기를 이어 나갔다.
“그럼 문임순 씨는 꿈이 뭐예요?” 이 질문에
문 여사님
“이 나이에 무슨 꿈이 있겄노?”.
“아니 할머니 꿈은 뭐였냐고?” 작은 애의 볼멘소리에
“아~옛날에??? 나는 현모양처였지 ” 어쩌고 저쩌고 제법 몇 가지를 더 물었다.
“문임순 씨! 그럼 임순 씨가 가장 행복했을 때는 언제였어요?” 하고 물었다.
그 질문에 우리 문 여사님께서 너무도 단호하게
“너거 삼촌 낳았을 때지”라고 답하셨다.
“그래, 그럼 두 번째로 행복했을 때는 언제입니까?” 하고 묻는데 이번엔 나도 좀 궁금해졌다.
“네 오빠 낳을 때지, 너거 근우 오빠 말이다.”
나도 처음 알았다. 한 번도 우리 엄마가 언제 행복했는지, 불행했는지가 궁금하지 않았으니 당연히 몰랐을 밖에....
우리 문 여사님은 당신께서 아들 낳았을 때 첫째로 행복했고, 그 아들이 또 아들을 낳았을 때 두 번째로 행복했다. 그러니 우리 엄마의 행복은 오빠로부터 시작하여 오빠로 인해 완성된 셈이다. 어쨌든 오빠는 우리 엄마 인생에 최고의 선물이었다.
질문지가 길었다.
“그럼 임순 씨…. 가장 불행했을 때는 언제입니까?”
작은애가 또랑또랑한 목소리로 질문을 했다. 이쯤이 되면 나도, 큰애도 두 사람의 인터뷰에 귀가 바짝 세워져 있었다.
“음…. 가장 불행했을 때는 너 셋째 이모 낳을 때, 그때가 참 슬프더마”
라고 하셨다.
‘왜?’라는 질문이 나와야 하는데 갑자기 우리 딸도 분위기가 쎄 했는지. 할머니가 자기 삼촌 낳았을 때 가장 행복했고, 이모 낳았을 때 불행했다니 지 엄마 낳았을 때는 어땠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나 보다. 아들이 귀했고, 딸이 그다지 환영받지 못했다는 걸 이 아이들은 분위기로 이미 다 알고 있었으니 다음 질문이 바로
“그럼 할머니...... 울 엄마 낳을 때는 어땠어?”라고 물었다.
“네 어미 낳을 때는 하도 기가 차서 슬프지도 않았지.”
푸하하하!!!!!
그 순간 우리 애의 표정은 애매해졌고, 엄마도 나를 앞에 앉고 나 낳았을 때 당신께서 기가 차서 슬프지도 않았다고 해버리셨으니 살짝 미안해지셨나 보다. 그 짧은 순간 나랑 눈이 마주친 우리 엄마는 크게 웃으셨다.
그리고는 우리 엄마 얼른 분위기 수습하신다고
“아이고 요새는 네 어미 안 낳았음 어쨌을꼬 싶다.” 하셨다.
그렇게 우리 딸은 문 여사를 인터뷰했고, 나는 우리 여사님의 삶을 살짝 엿본 날이었다.
우리 문 여사님은 당신이 줄줄이 딸을 낳아 그 절망을 경험하셔서 당신 딸들은 시집가서 아들을 낳아 시댁에 떳떳하길(그게 떳떳할 일인지 모를 일이지만) 바라셨다. 그런데 내가 수술까지 해서 첫 딸을 낳더니, 둘째까지 딸이라니 또 한 번 무릎이 꺾이시는 경험을 하셨다. 제왕절개로 아이 셋을 낳을 수는 없다는 믿음이 확고하신 분이라 내가 둘째를 딸을 낳았다는 것은 우리 엄마에게는 내가 아들이 없는 설움을 겪어야 하는 다른 말이기도 했다.
수술실에서 아이를 받아 포대기에 싸서 나온 간호사 선생님이
“이필수 산모님. 공주님이십니다. ‘하는 순간 우리 어머니는 자기도 모르게
”아이고 우짜것네. “ 하셨다.
그래서 지금도 우리 작은애를 볼 때마다 세상에 처음 온 애를 반갑게 맞아야 하는데 당신께서 우짜겄네 했다고 너무 미안해하신다. 아이가 성장하는 모습을 보일 때마다, 애교를 부리는 시간 속에, 대학에 진학했을 때. 첫 월급을 받아 할머니를 챙길 때, 그때마다 우리 엄마는
“아이고 미안하다~”하는 말씀을 잊지 않으신다.
그래도 어쩌겠냐고……. 아무리 세상이 변해도 문 여사님한테는 아직도 아들이 그렇게 좋으신 것 걸….
PS : 우리 작은애는 아랍어 통·번역사로 지금은 이라크에 가 있다. 곧 휴가 나온다는 말에 우리 엄마는 벌써 아이가 좋아하던 음식을 준비하느라 시장으로 바쁘게 오가고 계신다. 그 첫 대면의 '우짜것네?' 때문에 더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