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소로 Oct 29. 2023

공간 사옥: 뜻한듯 뜻하지 않은
진입의 체험

구 공간 사옥은 짙은 회색조 벽돌로 지어진 5층 규모의 건물이다. 전후 1세대 한국 건축을 대표하는 김수근에 의해 지어진 건물이다. 특별한 점이라면 다른 클라이언트가 아닌 건축가 자신이 사용할 목적으로 설계되고 지어진 건물이라는 것이다. 멀리서 바라보는 건물은 그 전체가 담쟁이에 뒤덮혀 있을때가 많아서 입구를 대번에 찾기가 쉽지 않다. 도로를 바라보는 건물의 정면에는 내부가 들여다보이는 창이 있지만 창문일뿐 문이 아니다. 그나마도 짙은 갈색 프레임으로 둘러쌓여 눈에 잘 띄지 않는다. 창문 왼편의 경사로를 따라 올라간 뒤, 다시 오른편으로 이어지는 계단을 내려가서, 다시 왼편으로 꺽은 뒤에야 건물 입구에 다다를 수 있다. 즉 서너번의 방향전환과 경사로 이동을 통과해야만 한다. 

참고1. 입구쪽 천장 정면 - 내부로 점차 패여들어가는 수평면

이 과정에서 계단을 내려가기 직전에 천장 윗쪽 정면으로 장식처럼 눈을 사로잡는 패턴이 있다.(참고1) 회색 벽돌 외벽 아래로 가로로 길게 한 단계씩 건물 내측으로 패여들어가며 이어지는 가느다란 여섯줄의 벽면이다. 이 가로면들은 창문틀처럼 짙은 갈색으로 만들어져서, 그리고 그 아래로 떨어지는 그림자 사이에 가려져 쉽게 눈에 띄지 않는다. 이렇게 점진적으로 건물 내측으로 패여가는 여러겹의 가느다란 벽면은 이곳 입구에서만 발견되는건 아니다. 도로를 면하고 있는 건물 정면에 나있던 창문 역시, 이렇게 가느다란 계단식 벽면에 둘러쌓여있다.(참고2) 다만 외벽으로부터 한단계씩 후퇴하며 자리잡는 벽이 이번에는 외벽과 동일한 회색 벽돌로 만들어진 차이가 있다. 또한 연달아 후퇴하는 횟수 역시 세번으로, 입구쪽 천장에서 보이던 여섯겹의 절반에 해당된다. 세차례나 움푹 패여들어간 뒤에야 유리창 표면이 자리잡는다. 여기서 재미있는 부분은 이 건물 정면부의 양쪽 가장자리가 앞으로 툭 튀어나와 있다는 점이다. 그러니까 정면의 벽체가 끝에서 끝까지 평평한게 아니라 가운데 창문이 있는 부분은 외벽으로부터 움푹 후퇴해 있고, 벽의 양쪽 끝은 전투기 날개마냥 앞으로 튀어나와 있다. 튀어나온 정도가 못해도 50센티미터에 달한다. 그 덕분에 양쪽 날개 사이에 자그마한 공간이 생기고, 그 공간은 소규모 화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참고2. 건물 정면의 함몰형 창문과 돌출창문, 양끝의 돌출벽

여기서 끝이 아닌것이, 이 창문 위로는 또다른 형태의 창문이 보이는데, 이번에는 안으로 패인게 아니라 밖으로 돌출된 형태로 만들어져 있다. 화단 공간을 사이에 낀 날개벽 만큼은 아니지만 그에 준할만큼 돌출된 창문은 총 세장의 유리로 구성된다. 정면에 널찍하게 좌우를 꽉 채우는 유리가 한장, 그리고 그 양쪽에 각각 비스듬히 바깥을 바라보게 접합된 세로로 긴 유리가 한장씩이다. 유리창 돌출부 상하단은 꽤나 두꺼운 목재 패널이 차지하고 있다. 역시 아주 짙은 갈색이라 창문틀은 물론이고 창문 돌출부 전체가 검회색 배경에서 그리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정리해보면, 왼편 입구쪽에 일곱겹, 그리고 정면 창가 주변으로 또 대여섯겹으로 외벽이 두텁게 구성되는 셈이다. 즉 건물의 피부가 양파처럼 여러장의 껍질로 쌓여있다고도 볼 수 있다. 이렇게 여러겹으로 적층된 외벽은 안과 밖의 명확한 구분을 벗어나는 묘한 공간들을 만들어낸다. 예를들어, 내부이면서 건물 밖으로 노출된 공간, 혹은 외부이면서도 여전히 건물의 영역에 속하는 애매모호한 공간들 말이다. 이러한 여러겹의 층계들은 어찌보면 우리가 평소에 상하 이동을 위해서 이용하는 계단과 비슷하지만 발을 내딛을수는 없는, 시각적 계단이라고 할 수 있다. 시각적 계단들은 방문객들을 점진적으로 건물 내부를 향해 끌어들이는 효과를 만들어낸다. 즉, 방문객들의 진입 행위를 질적으로 바꿔놓는 것이다. 


공간 사옥에서 건물 속으로의 진입은 순간적 결과가 아닌 연속적 과정이다. 디지털 신호가 0에서 1로 바뀌듯 안과 밖이 전환되지 않는다. 대신 시간 속에서 연속적으로 사람의 발걸음에 따라 차츰 차츰 진행되어가는 과정에 가깝다. 다시말해 공간 사옥으로의 입장은 경계를 넘어가는 행위라기 보다는 조금씩 늪에 빠져드는, 혹은 빨려들어가는 '흡수의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입구까지 스스로 찾아온 능동적 이동은 곧 블랙홀과 같은 외부의 힘과 뒤섞이며 능동과 수동이 모호한 이동의 체험으로 변모한다. 겹겹이 적층된 벽돌면의 안팎이 모호하듯, 이동의 주체 역시 모호해지는 순간이다.  



SPACE is a five story building designed in 1970s. The architect, Swoo Geun Kim, was one of the best of the first generation after the Korean War. The brick facade is dark grey and covered with ivy. The front of the building that faces the main street does not have a gate. It only has windows fixed by dark brown frames. The entry is along the slope at the left side of the building. The yellow door that appears ealier is not for public entry. The entrance can be found way up the slope and down to the steps to the sunken garden. Before walking down to the entrance, at the upfront of the sunken garden is narrow horizontal faces incrementally offsetting inward. The offset repeats six times moving into the interior of the sunken garden from the exterior brick surface. The offset layers are made with dark brown wood. So, it does not stand out between the dark grey wall right above and the shade of the sunken garden right below. 


These incremental offset around the aperture is found in many other spots as well. The large window at front in the ground level is also surrounded by offset layers but made with grey brick instead of dark wood. And it has fewer number of layers, three, half the previous upfront ceiling above the sunken garden. What is interesting here is the edge on the left and right is extended by almost 50 cm from the outermost wall. The protrusion at both edges are like a bracket and forms a small space to be used as a mini garden. Right above this set back window is another window which is now set forth almost to the point of protruded edges. This window comprises three glasses; the large dominant main window at the center and two narrow glasses at each side facing front right and front left.  The main glass covers the protruded surface from left end to right, but not from top to bottom. Wooden panels takes significant portion of top and bottom. 


These multi-layered skin of the building makes it ambiguous to define the border between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building. Narrow offset layers and protruded window frames produce insides exposed to outside, or at times outsides included in the building territory. These are visual steps that leads people gradually inside. Entering the building is not an incident that happens at once, but a process that continues along the movement of the visitors. Thus, the experience of  entering this building is closer to sinking or being sucked in, absortion rather than crossing the linear border. This gradual process makes a feeling of a force that pulls you into something like a black hole. It is not simply just entering, but being absorbed into the building. 


글: 세라 / 사진: 하라


매거진의 이전글 지난 리뷰에 대한 반성과 다음편 예고: 공간 사옥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