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가소로 Nov 27. 2023

광화문 도무스:
수직과 수평의 연결고리

광화문 대로에서 동쪽으로 한블럭 안으로 들어가면 종로 골목이 시작된다. 광화문 현판을 등 뒤에 두고 바라보면 왼편으로 대한민국 역사박물관 뒷편으로 이어지는 길이다. 역사박물관을 오른편에 두고 한블럭, 두블럭째를 지나다보면 블럭 보퉁이에 꽤나 눈길을 끄는 건물이 하나 나타난다. 바로 옆에 삼계탕집이 있어서 전혀 요란하진 않은 건물의 조형미가 자연스럽게 더 부각된다. 한눈에 봐도 3, 4층 정도의 소형 빌딩이지만 대로변의 고층건물들 속에 파묻혀 옹기종기 모여있는 건물들 중에서는 나름 길쭉한 형태를 자랑한다.


At ablock to the east from the Sejong-daero begins Jongno district begins. Seeing on your back to the Gwanghwamun signboard, it is to the left and beyond the History Museum of Korea. When you walk two block past the museum to your right, a wierd building appears; its form is way too unique to sit beside a typical Korean chicken soup restaurant. It is no more than a small, 3 to 4 story building at a glance. But, it looks abnormally tall at this location although it is surrounded by skyscrapers all around. 


도무스라는, 이탈리아의 역사깊은 건축잡지의 한국지사 사무실이 이곳에 자리잡고 있다. 일단은 지상층 건물 정면이 길쭉한 통유리로 호를 그리는 형태로 덮혀있다. 보통은 프라이버시 때문인지 천 소재로 보이는 밝은색 블라인드가 내려져서 내부는 보이지 않는다. 회의를 할법한 작은 테이블과 데스크, 의자 몇몇이 간간이 보이는 정도다. 지상층 통유리 위로는 짙은 갈색의 나무재질의 파사드가 4층까지 쭉 이어져 올라간다. 평평한 나무판이 아니라 요철 모양으로 기다란 홈이 일정한 간격으로 패여있는 식이다. 세로로 긴 프레임에 끼워진 통유리도 수직적인 요소지만, 이 목재 파사드는 훨씬 더 수직적인 선을 강조하는 효과를 불러온다. 


The office of Domus, a historic Italian architecture magazine, is here. The facade of this small but tall building looks like an arc made of glass. The glass wall is usually blocked by light colored fabric blinds. Through the narrow gaps, you can see a table, several chairs, and perhaps a desk. The glass wall goes up to the fourth floor until the dark wooden surface begins. The wooden surface is not flat but covered with regular repetitive furrows. The furrows are long vertical ones. This pattern of wood emphasize the verticality even more than the long glass wall below. 


주변을 둘러싼 고층빌딩들 속에서도 다른 저층건물들처럼 빛이 바래지 않는건 이런 수직적인 요소가 극단적으로 강조되어 있기 때문일 것이다. 길쭉한 통유리 위로 훨씬 가늘고 길게 이어져 올라가는 나무 패널들은 대략 4층 바닥면이 시작되는 지점에서 멈춘다. 그 오른편에는 '간판'이라고 부를 수 밖에 없는 구조물이 벽돌벽에 고정되어 있다. 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보통 상가의 간판을 세로로 두배는 늘린 비율의 거대한 조형물에 가까운 간판이다. 간판이라고 해야할지 조형물이라고 해야할지 그 경계가 애매한 구조물이다. 이 역시 건물의 수직적 상승감을 강조하는데 큰 몫을 차지한다. 


These emphasis on vertical elements makes the building stand out even among giant buildings. Those thin wooden layers stops at the point where fourth floor begins. Right next to it hung something that can not be called but a sign, on the brick wall. But, to be more specific, this wierd sign is more like a immense artifact which looks like twice vertically elongated signs that we typically see. A sign or an artifact, it is ambiguous how to define this object. In any way, this sign also contrubutes to the domination of vertically throughout the building facade. 


이 '간판'이 끝나는 지점에서 안으로 한발짝 정도 움푹 들어간 곳에 출입문이 있다. 출입문 마저도 보통의 문들보다는 좀더 길쭉하게 늘여진 감이 없지않다. 출입문은 전시가 있지 않은이상 대체로 잡겨있는데, 사거리를 건너 반대편 거리에서 이 이 건물을 바라보면 그 정체성이 애매하다. 고층 빌딩도 아니고, 저층 상가건물도 아니다. 저층 건물이긴 한데 고층 건물이 쓰는 커튼월을 연상하게 하는 통유리 벽을 사용하고 있고, 그래서 고층 건물의 느낌이 나긴 하지만 층수는 기껏해야 4층에 불과하다. 거기에다 2층에서 3층을 덮고있는 세로로 긴 목재 요철면을 정중앙에서 가로로 길가 가르는 창문은 수직으로 뻗어나가는 선을 완전히 두동강내버린다. 

Below this sign is the entrance, set back by a step to the inside. The door itself also looks as if it is taller than normal doors. It is usuall locked unless there is a public exhibition going on. To see this building from the opposite side of the street, it is hard to describe the identity of this building. Not a skyscraper for sure. Neither a typical low rise commercial building. But, it is a low rise building. But it has a glass wall which is just like a curtain wall on skyscrapers. So, it looks like a skyscraper, but it has only 4 levels. Moreover, there is a narrow horizontal window that strikes through the vertical wooden furrows; the fall of verticality.  


A도 아니고 B도 아닌 것, A와 B의 일부를 함께 지녀서 A와 B를 연결하는 것, 그게 이 건물의 역할로 보인다.최욱 건축가의 스튜디오에서 게시해둔 건물 디자인 배경을 읽어보면 그 사실이 한번더 명확하게 드러난다. 대로변의 고층건물과 골목의 저층 빌딩을 이어주는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빌딩이 도무스 코리아 빌딩이다. 


Neither A nor B. Having  a little bit of A and a little bit of B at the same time. Thus connecting A and B. That is the function of this unique building. The official description on One O One architects (Choi Wook's) on the background of this building confirms this interpretation. The building is a connector of big buildings at the main street and smaller ones in the adjacent Jongro district. 

매거진의 이전글 포셰, 포켓, 혹은 주머니 속의 건축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