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군가 뇌에 전기신호를 흘려보내 내 행동을 조작한다면 나는 그 행동이 외부의 힘에의해 조작됐다는 사실을 자각할 수 있을까?
철학자 슬라보예 지젝의 질문이다. 그는 철학의 역할이 질문의 답을 찾는게 아니라 질문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데 있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철학자는 어떤 질문의 테두리 속에 갇혀있어선 안되고, 그 너머에 있는 질문을 구성하는 더 큰 요소들을 바라볼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If someone controls my behavior by transmitting an electric signal in my brain, will I be able to notice the presence of the external power that causes my behavior?
A question of Slavoj Zizek in his article, Unknown Knowns. Zizek emphasizes that the role of philosophy is to examine a question rather than answering the question. It means that a philosopher should not be confined in the frame of question itself but see beyond the question to criticize where it is coming from.
달리 말하면 철학에 잇어 중요한건 질문의 답보다 질문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일이다. 권력과 감시는 역사적으로 항상 존재해온 뿌리깊은 문제다. 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나를 비롯해) 뇌과학의 잠재적인 문제 - 통제와 감시를 위한 효율적 수단을 제공해 줄 가능성에 대해서 생각해 본 적이 없을지도 모르겠다. 지젝의 또다르 논점은, 아마도 이런 맥락에서, 인류가 어떤 '진보'에 대해서는 성취를 거부해야만 한다는 것이다. 그의 주장은 모든 진보다 좋은 진보는 아니라는 전제를 깔고있다. 따라서 그 진보가 나쁜 경우에는 그 진보를 거부해야 한다.
In other words, what matters is not to answer the question but questioning the question. The problem of surveilance is an age old one. However, some people (like me) may have not thought of the potential of brain science that it might provide a very efficient means to control others. Another point of Zizek is that we, human beings, should resist to achieve some kind of progress. It assumes not every progress is good, and when it is bad then we should stop to move toward the direction.
일부 과학자들은 그들이 새로운 지식과 기술이 가져온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져야하는건 아니라고 주장한다. 과학적 발견은 순수한 호기심과 지식에 대한 열망에서 비롯된 것으로 근본적으로는 결백하다는 것이 주된 근거다. 그런 관점이라면 판도라 역시 결백하고 그 상자에서 나온 모든 악과 재앙으로부터 결백하다. 일견 지젝의 논설은 과학적 지식에 대한 추구의 결백성을 비판하는것처럼 들리기도 한다. 하지만 아마도 그의 주장의 핵심은 무엇이 잘못이고 무엇이 옳다는 것 보다는, 어떤 사안에 감춰진 이슈들을 수면위로 드러내는 질문을 던지는 작업의 중요성에 있을 것이다.
Some sicentists insist that scientists are not responsible for all results that a new knowledge or technology brings about. A scientific discovery of a pure curiosity and will to know more is innocent. In that sense, Pandora is innocent and not guilty of opening the box despite all the evils and disasters that came out of it. So, it sounds like Zizek is criticizing the view of complete innocence of scientific pursuit of knowledge. But probably, he is just questioning it, pointing out the presence of a hidden issue before making decisions.
뇌에 전기신호를 흘려 행동을 조절하는 실험은 비록 쥐를 대상으로 이뤄졌지만, 그 이후로 자발적 참여자에 한해 인간을 대상으로도 진행중이다. 이런 실험은 영화 아바타를 떠올리게 만든다. 영화 속에서 (적어도 1편에서는) 사람들이 '원격 접속'하는 나비족의 몸이 어떤 과정으로 만들어졌고, 어떤 기술을 통해서 접속되는지가 불분명하다. 영화는 그런점에서 인간의 뇌과학이 언젠가는 타자의 육체에 완벽히 자연스럽게 접속하고 통제할 정도로 발전하리라는 사실을 은연중에 기정 사실화 하고 있다. 그리고 그 구체적인 수단을 떠나, 나비족 육체의 인공적인 제작과 조작에 뒤따르는 도덕적 문제는 완전히 무시되며, 혹은 의도적으로 숨겨져있다.
The experiment about controlling behaviors by transmitting electric signal, which was done with a rat, reminds of the film, Avatar. In the movie, it is unclear how the bodies of Navi was created and with what technology humans connect to the mentality of those bodies. But, to think about it, the movie has presumption that this brain science is destined to develop to the level of perfectly synced control of an alien external body. And the problem of ethics in artificial production of Navian bodies and manipulating them is completely overlooked, or perhaps intentially hidden.
아바타는 일반적으로 원주민 혹은 소규모 지역 커뮤니티에 대한 양심적 시선을 품은 작품으로 받아들여진다. 영화는 분명히 거대한 경제적 군사적 힘을 지닌 집단이 소규모의 문화적 정신적 토대를 지닌 집단을 파괴시키는 행위를 문제삼는다. 철학이 이 지점에서 개입한다면, 그건 아바타의 이런 질문에 답을 내리기 위한건 아닐 것이다. 그 대신 아바타가 던지는 질문 뒤에 가려진 것들을 드러내고 그 질문의 타당성에 대한 질문을 던지기 위해서일 것이다. 그게 철학이 하는 일이다 - 는게 지젝의 논지다.
Avatar is typically taken as having conscientious view on treating aboriginal tribes, or more broadly speaking, any minorities or local communities with its own unique spirit and culture. The film clearly questions the righteousness of destroying local cultures especially for economic interest. Philosophy comes in here. It is not to answer the evident question of Avatar, but to examine what is behind the question of Avatar. That is what philosophy does, says Zizek.
*Reference (Source article)
Philosophy, the "unknown knowns," and the public use of reason by Slavoj Zizek
(Springer Science_Business Media B.V.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