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PADO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ukhwan Heo Feb 14. 2019

서핑보드를 선택하는 요령 III

핀의 이해


지금까지 서프보드 자체에 대해서 여러 가지를 알아보았습니다. 이제는 조금 더 들어가 서프보드에서 절대 빼놓을 수 없는 핀(fin)에 대해서 얘기해 보려고 합니다.



핀은 기본적으로 보드에 달려있는 지느러미 형태의 것들인데, 이는 보드의 안정감과 턴의 형태 등을 만들어주는 결정적이 분분입니다. 서프보드를 선택하면서 핀은 절대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똑같은 보드에 핀의 사이즈나 형태, 셋업만 바뀌더라도 보드의 성격이 완전히 틀려질 수 있기 때문에 꼭 알아두시고, 보드를 교체하는 데는 비용이 많이 들지만, 핀은 상대적으로 적은 비용으로 새로운 서핑을 즐길 수 있으니, 여유가 있으시다면, 다양한 종류의 핀을 구비해 두시는 게 더 재밌게 서핑을 즐길 수 있는 작은 팁입니다.



이전 포스팅을 놓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통해서 읽어 보시기 바랍니다.


핀의 종류


글라스 온 (glass on) - 고정형  


말 그대로 보드에 아예 붙어서 마감을 지어버린 보드의 형태입니다. 내구성 보드와의 기밀도 등은 단연 최고이지만, 서프 트립이 대중화되고 탈착형 핀 시스템이 대중화 됨으로써 많이 줄어가고 있지만, 두말할 나위 없이 글라스 온 방식이 최고의 핀 시스템입니다.



리무버블 (removable/swappable) - 탈착형 


이 형태의 핀은 서프 트립 특히 비행기를 이용한 장거리 트립이 대중화되면서 보급되기 시작한 형태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여러 브랜드가 생산 중입니다만, 아래 두 회사의 시스템을 대부분 차용해서 디자인적인 부분만 바꿔 출시 중인 게 대부분입니다. 



핀을 구분할 때 Single tip / Double tips라고 적힌 부분은 고정하는 돌출된 부분이 하나이냐 두 개이냐는 말입니다.



FCS ( Fin Control System) 

전 세계적으로 가장 대중화돼 있는 핀 시스템입니다. Double tips로 만들어지며, 최근 FCS2를 출시하며, 좀 더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FCS 1 / FCS Fusion / double tips fin

FCS Fusion

기존의 FCS 방식의 단점이었던 내구성을 보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쉐이핑 단계에서도 작업이 좀 더 수월해졌습니다.

FCS 2 


FCS에서 최근에 개발된 형태로 좀 더 편리하고, 튼튼한 핀 탈착 시스템입니다.

Future 


1996년부터 미국에서 시작된 핀 시스템입니다.


기존의 탈착형 핀들에서 보이던 여러 가지 단점들(보드와의 유격이나 내구성 등)을 최대한 극복한 형태의 핀 시스템이 아닌가 싶습니다.

Box


일반적으로 국내에서는 롱보드 핀이라고 부르는 큰 사이즈의 센터 핀(center fin)을 얘기합니다. 이 형태의 핀도 당연히 글라스 온 형태로 만들 수 있지만, 요즘은 거의 대부분의 서프보드가 박스를 선택해 다양한 세팅을 즐길 수 있게 만들고 있습니다. 이 박스형의 핀은 다양한 브랜드에서 출시 중이며, 거의 대부분이 호환 가능하게 만들어져 있습니다. 단 출고 시에 약간의 두께, 핀 플레이트(고정나사)의 차이가 있을 수 있는데, 두께는 약간의 샌딩으로 핀 플레이트는 교체해서 사용하면 됩니다.  브랜드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과 명칭, 특징이 있습니다만, 이는 각 브랜드의 홈페이지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다양한 종류의 핀 박스




핀 플레이트


셋업 (Setting up)


Single Fin - 롱보드에서 가장 일반적이며 가장 전통적인 서핑 보드 핀 구성입니다. 싱글핀은 느슨한 느낌을 주기 위해 핀을 앞쪽으로 움직이거나 더 많은 컨트롤을 위해 뒤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


Twin - 트윈 핀 또는 듀얼 핀 구성으로 서핑 보드를 재미있게 만들고 장난스럽고 기동성 있게 만듭니다. 일반적으로 숏 보드나 피시 보드에 많이 사용합니다.


Thruster / Tri fins - 요즘은 3 개의 핀 이 가장 일반적인 구성이며 다양한 서프보드 모양과 크기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두 개의 외부 핀은 보드 중앙에 더 가깝고 보드 중심 쪽으로 기울어져 있고 ( "Toed-in ") 속도를 높이기 위해 안쪽에 평행하게 놓일 수 있습니다. 센터핀은 테일에 가장 가깝고 안정을 위해 양쪽에서 대칭의 위치에 (중앙에) 자리 잡습니다. 트라이 핀은 안정성, 제어 및 기동성을 추가하는 기능을 가집니다.  좀 더 부드러운 라이딩을 원하는 경우 트윈 또는 싱글을 타십시오!


Quad - 쿼드 핀 (quad fin) 구성은 뒤쪽의 핀 이 서핑 보드의 끝부분에 물의 흐름을 집중시켜 작은 파도에서 가속을 만들어주며 레일 쪽의 핀 이 그 흐름을 잡아 안정감을 만들어 큰 파도에서의 서핑도 가능하게 만들어 줍니다. 쿼드 핀은 핀으로 전달하는 에너지를 컨트롤하기 좋아, 드라이브를 생성하는 데 적합합니다.


5- Fins  - 5 개의 핀 구성은 5 개로 모두로 서핑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사용자의 취향과 서핑 조건에 따라 핀을 섞거나 일치시킬 수 있습니다. 트윈 핀 (twin fin)의 부드러움, 쓰러스터 (truster)의 컨트롤, 보드 교체 없이 쿼드 (quad)로의 변환 등 다양한 핀 세팅을 하나의 보드로 즐길 수 있게 만들어졌습니다.


images by Blanks Surfboards Design

핀의 형태에 따른 특징



각도 (Rake)


레이크는 핀의 앞쪽에서 뒤쪽으로 빠져있는 정도를 얘기합니다. 이 길이와 각도는 턴의 선경을 결정하는 요소입니다. 레이크가 작은 핀일수록 안정적이나 빠른 턴은 힘듭니다. 반로 레이크가 크면 빠르고 가벼운 턴이 가능합니다.


깊이 (Height/depth)

핀의 바닥에서 가장 높은 지점까지의 길이입니다. 이 길이가 길면 길수록 강한 그립을 만들어 안정감 있는 라이딩을 만들 수 있으며, 짧을수록 그립이 약해, 턴을 하기가 수월해집니다.


폭 (Base/length)

핀이 보드와 만나는 제일 넓은 부분입니다. 이 베이스 길이가 길면 길수록 보드의 속도를 올릴 수 있으며, 짧으면 짧을수록 날카로운 턴이 가능합니다.

images by Blanks Surfboards Design


이 외에도 Flex 와 toed-in의 각도 등의 개념이 핀에 적용되지만, 이는 모두 턴의 성격을 결정짓는 요소로 생각하면 이해하기 쉽습니다. 

대부분 큰 파도에서는 큰 사이즈의 핀을, 작은 파도에서는 작은 사이즈의 핀을 권장하는 편입니다만, 이는 절대적인 답은 아니기에, 여러 가지의 옵션을 두고 자신이 좋아하는 스타일에 맞는 핀 세팅을 찾아가는 것이 옳은 답이라 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핀의 선택은 보드의 성격을 쉽게 바꿀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파도 상황에 맞게, 아니면 본인의 성향에 맞게 셋업과 핀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좀 더 재미있고 여유 있는 서핑을 즐길 수 있게 만들어 줄 수 있고, 가능하면 다양한 핀을 가지고 변화를 줘 가면서 서핑을 즐기는 것이 하나의 핀 만 가지고 있는 것보다는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서핑보드를 선택하는 요령 II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