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재독 바다청년 Jun 27. 2023

희망찬 미래를 꿈꾸며

공돌이가 되어가는 과정


다소 불확실한 미래 구상과 이번 학기는 어떻게든 버텨보겠다는 안일한 마음가짐에서 자본주의의 회초리를 맞고 정신이 번쩍 뜨였다. 썩 유쾌하진 않았지만 헝그리 정신 덕분에 동기부여가 된 건 좋은 일이다. 이 동기부여가 지속되는 게 제일 중요한 일이겠지만.


논리적인 사고의 흐름은 다소 이성적이지 않았지만, 미루던 한 과목을 처음부터 끝까지 쭉 파헤쳤다. 직장 상사가 가르치는 과목인데 워낙 상사가 못 가르치기도 하거니와 내용이 워낙 어려운지라 엄두를 못 내다가 강의안을 몇주전부터 읽기 시작했는데, 이틀 새에 완독을 넘어 어려운 부분을 하나하나 메모하고 인터넷으로 독학했다. 알고 보니 그 내용의 근간이 되는 내용이 다른 수업에서 다뤄지는 내용인데 이론은 단지 몇 줄로 짧게 축약하고, 그저 응용에만 치중하다 보니 이해할 수 없는 것이었다.


애초에 어려운 내용을 기본 배경 설명 없이 그저 적은 채로 이해하라는 것 자체가 잘못된 방법이 아니었을까. 사실은 그런 이유로 선행 과목을 먼저 듣는 게 더 바람직하고, 그런 이유로 컴퓨터공학이나 제어공학 쪽의 애들은 이를 이미 선수과목으로 들었으니 이를 따라가기에 훨씬 수월했을 테다.


이런 애로사항은 지금 듣는 이 문제의 과목, Model Predictive Control이라는 걸 연구소에서 쓰고 싶은 사람은 많은데 이를 제대로 운용할 줄 아는 이가 나의 직장 상사 외에는 없다는 사실로부터 시작한다. 그녀는 내가 이 수업을 듣고 본인만이 이를 설명하는 게 아닌, 궁극적으로는 본인의 조교가 웬만한 건 처리해주길 바란다고 이야기했으니 내가 이걸 잘 안다고 가정한다면, 적어도 내 밥벌이를 할 수 있는 셈이다. 단기적으로라도 조직에 쓸모 있는 사람이 되는 거다.


나의 우려는 이쪽 분야를 제대로 하려면 그 선수과목 및 관련된 수업을 다시금 들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는 생각과 함께 그렇게 했을 때 너무 한 분야에 치중하는 건 아닌가 하는 우려스러움으로부터 기인한다. 혼자 여러 자료를 다시금 찾아가며 이렇게 한 것만으로도 충분하다면 좋겠다만 부족하게 느껴진다.


되돌아보니 독일에 온 이래 온갖 최적화 관련된 수업을 들었다. 그 시작은 경영학에서의 OR, 그리고 그 이후의 여러 수학적 모델링, 머신러닝도 수차례 다뤘는데, 그동안 이걸 가르친 이들이 실력이 없다는 건 아닌데 선형모델에만 워낙 중점을 두다 보니 여러 번 들으면서도 이 수학적 본질을 주제로 공부해 본 적은 없었다.


교수로서도 (그동안 가르쳐왔던 교수들 모두가 정말 이 정도로 아는지도 의심스럽지만) 학생들이 수업 듣다가 포기하면 안 되니 쉬운 것 위주로 원리에 관한 설명하면서, 그냥 총체적인 그림만 보여줬던 건가 싶은 생각이 든다. 물론 그런 덕분에 큰 그림을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사실이었지만 이 근본, 기저에 깔린 이론은 알지 못한 셈이다. 어쨌든 결과론적으로 수학, 물리 전공자의 교수가 이를 다루니 물론 깊이가 있어 좋다면서도 어렵게 가르친다는 느낌도 받는다. 이건 내 상사가 강의 커리큘럼을 잘못 짠 영향도 있겠다만.




각설.


하나의 모델을 만드는 것. 이는 크게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한다. 먼저 모델을 수학식으로 구현하고 input을 바탕으로 output을 도출하는 방법. 이를 White-box model이라고 한다. 반대로는 데이터, 즉 output을 바탕으로 모델을 세우는 거다. 이를 Data Driven model, Black-box 모델이라고 하는데, Regression 등이 기본적인 방법이고, 머신러닝도 기본적으로는 데이터를 학습, 시험 등을 거쳐서 모델을 만드는 것이기에 비슷한 맥락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 많은 이들이 뭐든지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으로 모든 걸 다 설명한다고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이에 근본은 기본적으로 위 기술들은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는데, 데이터가 충분치 않거나 정확하지 않았을 때는 이를 통해 모델을 만드는 게 의미가 없다는 데로부터 기인한다.


또 누군가는 수학적 모델 자체가 어쨌든 자연을 해석하고, 이에 필연적으로 여러 가정이 들어갈 수밖에 없다는 이유로 완벽하게 옳다고 할 수 없다고 논할 수도 있다.


“All models are wrong, but some models are useful.”이라는 격언이 알맞은 표현이다.


에너지 분야를 예를 들어보자. 대부분 데이터가 있는 전기 분야에 있어선 몇 가지의 가정을 통해 선형 모델을 적용할 수 있는데, 그 덕분에 한 국가, 유럽의 경우에는 유럽전력망을 프로그래밍으로 비교적 쉽게 구현할 수 있다. 물론 머신러닝과 같은 Data driven model,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한 앞으로의 미래 전력 시장 등을 예측할 수도 있다.


반면, 애초에 측정된 데이터가 별로 없는 냉난방 분야에 있어선 국내는커녕 한 도시의 모델, 하나의 마을 모델도 구현하기가 쉽지 않다. 전기 분야에서는 Top Down 방식의 큰 그림으로서의 접근도 분명 가능하지만, 냉난방 분야에 있어선 어쩔 수 없이 작은 단위에서부터 접근할 수밖에 없다. 애초에 열을 측정하는 것부터, 난방의 단위 주체가 각 건물 단위인데다가 건물마다 다 다른 모양을 하고, 장애물에 따라 일조량이 달라지는 등 건물마다 고려해야 할 요소가 너무나도 많기에, 선형 모델도 구현이 어렵거니와 데이터를 구하고 이를 해석하는 것까지 훨씬 복잡하다. 즉, 이것이야말로 수학적 모델링이 아직까지 제일 필요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겠다. 즉 아직까지 Regression할 데이터도, 훈련시킬 데이터도 없는데 Data Driven, 머신러닝이 가능할 리가 만무하다. 머신러닝의 핵심은 Data Quality라는 한 교수의 말이 떠오른다.


결과론적으로 아무리 컴퓨터의 계산 능력이 엄청나게 뛰어나 진다고 한들, 데이터가 없는 한 올바른 데이터 기반의 모델은 불가능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수학적 모델링, White Box Model은 아직도 그 필요성이 있는 셈이다.


이런 고민 끝에 몇 가지 세부 질문에 다시 도달한다.

1. 내가 그 분야를 깊게 공부를 할 역량을 갖추고 있는가.

2. 그 공부가 과연 앞으로 내가 하려는 분야에 쓸모가 있는가.

3. 쓸모는 있는데, 꼭 이걸 내가 해야 하는 건가. 즉 이게 제일 이 사회에 필요한 부분인가.


위 질문 중 2번은 충족한다. 1, 3번은 알 수 없다. 해보지 않았고 해보지 않고 누군가가 그것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보다는 한 번 부딪혀보고 이야기하는 건 큰 차이가 있다는 걸 나의 부친은 이야기한다. 사실 아버지의 이야기가 아니더라도 나는 그 차이가 어마어마하다는 것을 그동안의 삶을 통해 알 수 있었다.


특히 1번 관련해서 관련된 분야를 앞으로 강의할 교수는 그쪽 분야에서는 대가이고, 강의도 굉장히 훌륭하다. 하지만 많은 이들이 어렵다고 혀를 내둘렀고 조금 겁도 난다. 아버지는 유학 생활에 한 번쯤은 이런 어려움을 도전해보는 게 의미 있지 않겠냐며 하다가 안 되면 ‘나는 여기까지인가보다.’ 하면 되지 않겠냐고 한다.


결과론적으로 다음 학기에 그 교수의 강의를 들으면 나의 복잡한 머릿속이 명쾌하게 해결되려는지, 그것보단 수업을 듣고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 많은 이론과 복잡한 수식이 등장하고 내가 모르는 미지의 세계가 계속 열렸던 것처럼 더 힘든 과정이 기다리지는 않을지 고민이 되기도 한다.


이런 걸 돌이켜봤을 때, 1년 전엔 이 정도면 될 거라고 가정한 그 수준, 지금은 그때 당시에 도달하고자 했던 수준을 넘은 것 같은데도 안타깝게도 전혀 어떤 경지에 이르지 못했다.


어쨌든 고민을 마치고 수학적인 공부를 더 깊게 해보기로 했다. 유학을 떠나기 전부터 아버지는 내게 기초가 제일 중요하다고 했는데, 그 기초는 결과론적으로는 수학이었다. 뭐 그 외에는 이를 컴퓨터로 구현하는 프로그래밍과 이를 뒷받침할 철학, 즉 어디에 이를 써먹을지에 대한 아이디어가 필요한 셈이다.


희망찬 미래를 꿈꾸기로 하자.

매거진의 이전글 감각상실의 시대에, 사라졌던 감수성을 찾아서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