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Sunny Sohn Jan 06. 2019

발암 상사 밑에서 살아남는 법 1

상사는 상사인 이유가 있다?

과장님! 바쁘세요? 저 어떡하죠? ㅠㅠ

후임의 다급한 카톡이 왔다.

업무 인수인계를 하고 육아 휴직 중이 었던 터라, 무슨 큰일이 난 줄 알았다.

무슨 일이죠?

 업무 문제로 상사와 마찰이 있었는데 상사가 폭언을 내뱉었다고 했다. 도저히 이런 대우받으며 회사를 다닐 수 없을 것 같아 전임 상사인 나에게 연락을 했다. 나는 너무 놀라서 "사장에게 보고하라."라고 조언했다.

"저도 잘못한 게 있더라고요. 상사를 무시하고 대든 것이 폭언의 원인이 었어요." 사장에게는 "상사와 불미스러운 일이 있었다." 고 에둘러서 말할 수밖에 없었어요. 그날 이후 상사와의 관계는 돌이 킬 수 없게 되었고, 그녀는 퇴사 수순을 밟았다.


예전의 나도, 실무 좀 안다고 상사를 무시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가 호되게 당했던 적이 있었다. 상사와의 관계는 한번 악화되자 돌이킬 수 없었다. 사과도 하고 관계 개선을 위해 나름 힘썼지만, 나 역시 퇴사 수순을 밟을 수밖에 없었다. "조직을 너무 모른다. 여자들도 군대를 다녀와야 한다."는 뼈 있는 이야기도 그때 들었다. 퇴사를 하고 나서 깨달은 것도 많다. 작은 회사라도 조직은 내가 아는 것보다 훨씬 합리적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상사는 내가 아는 것보다 훨씬 능력 있는 사람이고, 상사는 상사인 이유가 있다고.

 

상사와의 갈등으로 퇴사한 후에 도서관에서 이런저런 책을 많이 읽었다.  김희정의 "상사는 상사인 이유가 있다"는 나에게 위로가 된 내용이 있다.  지금은 한 기업의 대표지만, 대리였을 당시 상사와의 마찰로 그녀도 회사를 그만둘 수밖에 없었다. 회사를 그만두고 나서야 상사를 경쟁상대로 삼지 말고 져야 하는 것을 깨달았다고 한다. 

그녀는 책에서 “일을 잘하는 것보다 정치력이 중요하다.”라고 말했다. 나는 일과 정치력 중에서 둘 다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더 나아가, 조직에서 인정받으려면 일을 정말 잘해야 하는데, 일을 정말 잘하려면 상사의 의중을 파악하는 정치력이 가장 중요하다.


호주의 한 연구결과에 따르면 통계적으로 남자 직장인들은 업무의 우선순위를 ‘내가 누구의 라인에 속하는 사람인가? 를 파악하는데 둔다고 했다. 그래서 먼저 자신의 상사가 누구인지, 조직의 명령 계통은 어떠한지를 파악하고 자신의 선택은 어떠해야 하는지를 결정한 다음 업무를 시작한다고 했다. 이에 비해 여성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업무가 무엇인지, 이 일을 잘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먼저 고민한다고 한다.

나도 한 부서의 장이 되었을 때 비로써 " 여자들도 군대를 다녀와야 한다니까."라는 뜻을 비로써 이해했다.

나의 부서(해외팀)만 봐도, 여자 직원들이 대체로 어학 능력이 뛰어나고 업무가 꼼꼼하며 능력이 뛰어났다. 하지만 조직 적응력은 남자 직원들이 빨랐다.  "군대를 다녀오면 조직에 무조건 충성하고 내부적으로 줄을 잘 서야 한다는 것을 몸소 체험하고 와서 그렇다니까" 우스갯소리를 하는 이도 있다. 확실히, 남자 직원들이 업무적으로 대하기 편했다. (물론, "요즘 군대는 옛날과 많이 달라졌다."라고 말하는 이도 있다.)

업무능력이 뛰어난 여직원들이 조직의 특성을 이해하고 조금은 정치적인 능력이 있다면 회사에서 더 빨리 성장할 수 있다.



상사는 발암 상사다. 그와 함께 일하면 "암도 유발할 정도로 스트레스를 받는다는 뜻"에서 직원들이 붙여준 별명이다. 

발암 상사를 처음으로 만난 것은 내가 과장 진급을 눈앞에 두고 있을 때였다. 사장은 일 잘하는 나를 과장으로 승진시키기는커녕, 외부에서 상사를 영입해 왔다. 나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었다. 내가 일을 꽤 잘하고 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새로운 상사는 실무도 잘 모르면서 내가 하는 일에 토를 달고 모든 것을  바꿔야 한다고 궤변을 늘어놓았다.

 업무 마찰로 하루하루 가시밭길을 걷다가 이직을 결심했지만, 불행하게도 원하는 곳으로 이직은 쉽지 않았다. 그리고 회사를 무작정 그만 두면 재취업이 어렵다는 것을 경험으로 알고 있기에 어떻게든 회사에서 살아남아야 했다. 상사는 내가 넘어야 할 큰 산이었다.


마음을 내려놓고 상사를 보니, 조직에서 그의 역할이 보였다. 내가 보기엔 사장에게 비위나 맞추며 아부나 하는 것 같지만, 조직의 시각으로 보면 사장의 "경영 철학"을 대변하고 "조직의 안정성"을 수호하는 역할을 하고 있었다.

발암 상사가 오기 전 사장은 "왜 내가 악역을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 "나 대신 역할을 해줄 사람이 필요하다."라고 얘기한 적이 있다. 사장의 입장에서 보면 그는 사장의 의중을 살피며 악역을 할 수 있는 “적임자”였다.


한편으로, 나는 생각만큼 일을 잘하고 있지 않았다. 사장의 입장에서 나는, 시키는 일만 겨우 해내며 사장의 의중을 파악하기는커녕 나의 기준으로만 일을 하려고 하는 답답한 직원이었다. 그래서 실무는 조금 부족하지만 사장의 의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는 상사를 내 위에 앉힌 것이다. 달리 말하면, 내가 사장의 의도를 먼저 파악하고 일을 제대로 한다면 상사가 내 위에 있을 이유가 없다.


상사는 내가 가지지 못한 능력을 분명하지고 있었다. 깨달음이 있은 뒤로, 상사를 경쟁 상대로 삼기 보다 그가 가진 강점을 내 것으로 이용하려고 했다. 상사에 대한 호감도를 높이고 나의 조력자가 되도록 노력했다.

나의 노력이 주효했는지, 사장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하면서 일을 하자 나는 과장 겸 팀장으로 승진했다. 그리고 상사는 다른 부서로 발령이 났다. 물론 그도 승진하면서 말이다.


내가 어떻게 했냐 하면 말이다.

다음 편에 계속...



사진 출처 : CJ E&M

이전 11화 능력 없는 상사를 해고하지 않는 이유?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