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신현묵 May 29. 2018

데이터의 가치, 탈중앙화가 정답이다.

대부분의 접근 방법은 틀렸습니다. 특히, 한국에서...

개인의 데이터이지만, 개인이 통제할 수 없는 상태에서 중앙권력화 된 상태로 통제하는 시대를 살아왔습니다. 기술적인 방법이나 효율적이지도 않고, 보안등의 문제로 데이터의 가치는 증가하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입니다. 대부분의 데이터들은 중앙화 되어 있고, 개개인의 데이터들을 개인들이 통제할 방법이 없었습니다.


현재 대부분의 ICO들이 블록체인 기반으로 개인의 통제권을 기본으로 탈중앙화가 동작하고 있는 메커니즘이라면 의미가 있지만, 슬프게도 대부분의 탈중앙화를 이야기하는 ICO들의 특징은 또 다른 권력지향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미, 비트코인은 탈중앙화가 아닌, 소수 권력에 의해서 통제되고 있으니까요. 그나마, 이더리움 체계를 믿을만하다고 이야기하는 것도 이 때문입니다.


아쉬운 것은 국내에서 진행되는 대부분의 프로젝트들은 데이터의 가치 증대를 위해서 탈중앙화를 해야 하지만, 내부 법규나 규제의 문제 이전에 소수의 사람들에 의해서 또 다른 권력 중심의 데이터 통제 방식을 제안하거나, 정부 R&D 자금과 공적자금 등으로 데이터의 가치를 훼손하는 일이 비일비재합니다.


슬프지만, 개개인의 데이터 통제 권력을 돌려주는 기본적인 개념이 서술되어 있지 않는 방식들은 대부분 실패하거나, 내부적인 붕괴로 인해서 그 의미를 온전하게 얻지 못할 것입니다. 대부분의 ICO백서들을 보면, 개개인의 통제 권력에 대한 구체적인 방법이나 손쉬운 방법으로의 컨트롤에 대해서 쉽게 설명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이죠.


대부분 신규 사업을 만들거나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도, 기존 정보체계나 데이터의 유통과 소통을 지배하고 있는 기업과 정부에서 새로운 데이터의 흐름을 방해하거나 방어하는 것이 매우 심각합니다.


정당한 데이터의 가치를 지불하고 의미 있게 데이터의 유통을 시키려고 하지만, 기존 생태계와 짬짜미를 해야 하거나, 기존 생태계의 독점적 지위를 인정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해당 모델들을 동작시킬 수 없으니까요.


안타까운 것은 ICO를 진행하고 있는 대부분의 백서들을 읽어보면, 이 부분에서 크게 잘못된 개념들이 반영되어 있습니다. 탈중앙화를 기준으로 데이터의 공유와 데이터의 가치에 대한 코인과 토큰의 배분 방식에 의해서 기존 데이터 권력을 쥐고 있던 집단이나 회사이건, 새로운 형태의 교환 체계를 만들어 내건, 새로운 비즈니스의 확장에 대해서 대부분 기존의 틀로서는 방어할 수 없다는 것을 몰이해한 상태로 기술되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정당한 가치와 정당한 사용, 개개인의 명확한 통제가 가능하면서, 신규 비즈니스 모델의 확장이 가능한 구조가 잘 갖추어진 체계를 가진 백서들은 몇 개 보이지 않습니다. 다만, 대부분의 개념들이 그것들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인 진화들이 조금씩 있다는 점진적 변화에 대해서는 매우 긍정적으로 평가할 수 있겠습니다.


특히, 국내에서 동작되는 대부분의 정부나 공공기관 중심의 데이터 접근법들이 4차 산업혁명의 혁신적인 가치를 제대로 부여하려면, 이런 탈중앙화를 중심으로 기술되어야 하는데... 대부분의 접근법들이 틀렸습니다. 그들은 4차 산업혁명을 이야기하지만, 실제 시스템은 탈중앙화 될 준비나 상황에 대한 이해가 없기 때문이죠.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발 정도는 더 나아간 듯합니다. 


이제, 데이터에 대해서 더 의미 있는 가치를 느끼는 사람들이 하나둘씩 증가하고 있고, 꼭. 대한민국 내에서만 일을 만들어야 한다는 강박관념도 없기 때문이죠.


아쉬운 것은 한국의 변화는 더 더딜 것 같습니다. 예전 대기업에 강연 다닐 때에 들었던 이야기가 생각납니다. 아이러니한 것은 대기업의 상무이사와 부장, 직원들 모두가 한결같이 이야기하던 말입니다.


우리 기업은 혁신하지 못합니다. 그냥, 오너의 생각이 더 중요하니까요.


그리고, 한국의 의료서비스 체계에서 탈중앙화가 필요한 이유는 다음의 기사로도 알 수 있습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sid1=001&oid=020&aid=0003148954

쉽게 이야기하면 보험업계는 찬성이고, 의료기관은 보안이나 기타 이유로 반대를 합니다. 재미있는 것은 실제 의료정보의 주체인 개인들에 대한 이야기는 없다는 것이죠.


국민 개개인의 의료정보에 대한 접근이나 통제, 전송에 대한 명쾌한 흐름이 있고, 이러한 권력이 정부와 보험회사, 의료기관에 있는 것이 아니라 개개인에 있다는 전제부터 출발해야 하는데, 현재의 접근법은 개개인의 권리나 통제력에 대한 이야기는 빠져있습니다.


필요로 하는 개개인의 권리를 인정하고, 그들이 통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 편리하고 의미 있는 서비스로 접근할 수 있지만, 보험업 게와 의료기관은 각자 스스로의 통제권에 대한 욕심을 부리고 있으며, 정부나 건강보험공단의 경우에도 그러한 기득권을 포기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죠.


한국의 의료서비스 체계와 블록체인 기술은 매우 잘 어울립니다. 그 이유는 간단합니다.


정부, 의료기관, 보험회사 간의 신뢰관계가 완전 엉망이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엉망인 신뢰관계를 누가 해결할 수 있을까요? 정부나 정치인은 분명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이 해결책은 블록체인으로 만들어진 디지털 기술이 중요한 키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적인 환경에서는 정말 의미 있는 헬스케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무언가 시도되어야 하고, 그 방법으로 기존의 무너진 신뢰관계를 회복해야 합니다.


아이러니하지만, 한국의 의료산업과 의료전달체계의 진보를 위한 혁신의 핵심은 블록체인이 들고 있다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매우 당연하게, ICO를 통해서 누군가에 의해서 통제받지 않으며, 개개인의 통제력을 유지하고, 데이터의 소통과 유통에 대한 가치에 대해서 각 이익집단들은 지불할 것입니다. 이 메커니즘이 한국적 의료 서비스 체계의 해결책중 하나가 되기를 기대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비스니스와 기술은 분리해야 하는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