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기대 May 21. 2022

딥러닝으로 주가를 예측한다는 것

오류일까? 아니면 눈속임일까?

많은 딥러닝 입문 도서, 유튜브 콘텐츠 등에서 주가 예측을 소재로 삼고 있습니다. 자극적이고, 흥미롭죠. 심지어 예측 결과는 경이로울 정도로 정확해 보여서 주식에 관심 있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받게 됩니다.


다음과 같이 'AI가 예측한 주가'라고 하는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신 적이 있지 않나요?

위 결과는 실제로 모델을 학습시켜 예측한 결과물이며, 심지어 복잡한 딥러닝이 아닌 기본적인 단순 통계모델인 회귀모형을 사용했습니다.


딥러닝을 잠깐 접해본 분들은 이 그래프를 보고 '에이, over-fitting 됐네'라거나, '미래 데이터를 학습에 사용했네'라고 지적하곤 합니다. 하지만 해당 모델은 over-fitting이 생길 만큼 복잡한 모델을 쓰거나 loss를 과하게 줄이지 않았으며(단순 회귀모형 사용), 위에 보이는 기간은 학습용으로 사용하지 않은, 모델이 처음 보는 데이터였습니다.


그럼, 어떻게 저런 결과가 나올 수 있었을까요?


모델은 주가를 어떻게 학습하는가?

시계열 데이터에는 '추세'라는 것이 있습니다. 매매 기술을 관심 있게 찾아본 적이 있다면, '추세 추종'같은 기법을 들어본 적이 있을 것입니다. 시계열 데이터는 '예측 가능한 영역'과 '(주어진 데이터로는) 예측 불가능한 영역'으로 나뉩니다. 추세나 계절성 같은 것들이 바로 '예측 가능한 영역'에 속하고, 그런 것들을 모두 제거하고 남은 것이 '예측 불가능한 영역'이 됩니다. 예측 불가능하다는 것은 이론적으로 그것을 맞힐 확률이 50%에 수렴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가 데이터는 매우 강한 추세를 가지고 있습니다. 특히 분단위, 초단위로 갈수록 주가의 움직임은 무작위성을 띄는 반면 장기적으로 갈수록 그러한 추세는 점점 강해집니다. 단순 회귀분석이든 복잡한 딥러닝 신경망이든 결국은 데이터 간 관계를 찾아서 그다음 데이터를 예측하는 원리입니다. 추세는 주가 데이터의 움직임에 가장 강한 연관성을 담고 있는 핵심 Factor이기 때문에 어떤 모델이든 이 추세를 처리하지 않고 학습시키면 가장 먼저, 그리고 가장 강하게 추세를 학습하게 됩니다.


주가에 추세가 있다는 것은 어제와 오늘, 오늘과 내일 가격에 서로 강한 관련성이 있음을 의미하고 이를 표현하는 용어가 바로 자기 상관성입니다. 따라서 '주가를 잘 예측'하는 모델은 '추세를 잘 학습한' 모델이 되고, 예측 성능이 매우 뛰어난 모델은 '오늘의 가격'을 '어제의 가격'으로 예측하게 됩니다.


예측 결과 일부를 자세히 보면 마치 예측 가격(파란색)실제 가격(초록색)을 복사하는 것처럼 전날의 움직임을 따라서 예측하고 있습니다. 지금은 예측 성능이 높지 않은 아주 간단한 모델이라 이 정도지만, 만약 딥러닝으로 다양한 시점의 다양한 주가를 반복학습을 시켜 데이터에 '적합'하는 과정(오차를 줄이고 예측 성능을 높이는 과정)을 길게 가져갈수록 이 경향은 점점 더 뚜렷하게 나타날 것입니다.


어쨌든, 보기에 정확도가 매우 높아 보이는데 그럼 된 거 아닌가?

많은 교육자료에서 사용되는 주가 예측 모형이 내부적으로 어떻게 설계되었는가를 이해한다면 이 결과는 전혀 놀라운 일이 아니며, 정확도 또한 결코 높은 것이 아니라는 것을 금세 알아차릴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모델의 예측 값이 완전히 잘못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실제 값을 따라 움직이게 되는 원리를 하루 간격의 예측치 그려가며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위 그림은 지난 30일 치 가격으로 31일째 되는 날 가격을 예측하는 순간을 포착한 그래프입니다. 붉은 점선은 과거 30일 치 중 30일째(관측 대상인 x=1 기준으로 어제)를 기준선으로 표시해주고 있습니다.


우리는 x=1을 예측하기 전까지는 실제값만 가지고 있었지만, x=1부터는 실제값예측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값예측값은 다소 차이가 있습니다. 그럼, x=2부터는 어떤 데이터로 예측하게 될까요? 시중에 유통되는 정말 많은 도서와 튜토리얼에서는 실제값을 사용합니다. 이것을 두고 '미래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사용한 오류'라고 지적하는 경우도 가끔 볼 수 있는데, 엄밀히 말하면 그렇지는 않습니다. x=2 시점에서는 x=1이 과거가 되기 때문입니다.


미래 데이터를 입력값으로 사용하는 흔한 사례는 백테스팅에서 볼 수 있습니다. 예측하고자 하는 시점에 아직 발표되지 않은 공시 데이터나 해당 시점이 속한 분기의 per을 사용하는 케이스입니다. 매우 뛰어난 예측 성능을 보여주지만 현실에서 사용할 수 없죠.


이와 달리 현재의 예측 방식은 "내가 내일 주가를 예측하고 싶은데, 어제 주가를 예측했지만 조금 빗나갔어. 어제의 실제 주가를 다시 사용해서 내일 주가를 예측해봐야겠어"와 같이 접근합니다. 따라서 관측 시점을 기준으로는 언제나 과거 데이터를 사용하며 이 로직에 오류가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다만, 이 결과를 잘못 해석하고 잘못 받아들일 여지는 있습니다.


왜 잘못 해석하게 되는가?

전날의 실제값을 가지고 반복해서 예측하면 어떤 그래프가 만들어지는지 이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붉은 점선 뒤로는 지난 30일 치 데이터가 있고, 해당 데이터를 사용해 다음날 주가, 그다음 날의 주가를 예측해나갑니다.

각 시점(x=2, x=2)에서 실제값예측값은 꽤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렇게 반복하다 보면 우연히 일치하는 구간(x=3)도 나타날 수 있지만 항상 그렇지는 않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렇게 계속 '전날의 실제값'을 가지고 예측을 해나가다 보면 장기적으로는 같은 방향으로 그래프가 그려질 수밖에 없습니다. 각 시점(x)에서는 방향이 엇갈리더라도 그다음 날을 예측할 때에는 실제값으로 조정된 과거 30일 치를 사용하기 때문에 멀리서 보면 "귀신같이 주가를 맞히는 것처럼" 보입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과거 5일 치 테슬라 종가가 100만 원, 200만 원, 300만 원, 400만 원, 500만 원이었다면 6일째 되는 날의 가격은 대부분의 모델(가격만 학습한 경우)이 600만 원이라고 예측할 것입니다. 하지만 어떤 외부 요인에 의해 주가가 떨어져서 450만 원이 되었다고 해보겠습니다. 그럼 내일의 테슬라 가격은 오늘 예측한 600만 원을 포함해 지난 5일 치 가격 데이터인 200만 원, 300만 원, 400만 원, 500만 원, 600만 원을 가지고 예측하는 것이 아니라 오늘의 실제 가격인 450만 원을 포함해 200만 원, 300만 원, 400만 원, 500만 원, 450만 원을 가지고 예측합니다.


모델의 목적이 오늘 가격을 맞히는 것이라면 과거의 실제값들을 가지고 예측하는 것이 적절할 것입니다. 하지만 모델이 마치 지난 30일 치를 보고 다음 30일 치를 연이어 맞히는 것처럼 보여주고, 그렇게 해석까지 하는 사례가 많은 것 같습니다. 그래프 두 개를 놓고 "귀신같이 맞힌다"라고 결론을 내게 되는 것이 그러한 예시가 됩니다.


이것이 학습자 입장에서는 과정과 결과를 그대로 받아들이고, 실제 투자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꽤나 위험한 일일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지난 며칠을 가지고 다음 며칠을 예측하는 모델인지 확인하고, 하루치 예측이라면 타깃 지점인 하루에 대한 결과만 놓고 해석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단타가 좋을까? 장기 보유가 좋을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