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강사 Y Mar 19. 2023

내 아이는 남의 아이다.

부모의 입은 아이의 뇌

"내 아이는 남의 아이다."


 앞 장에서는 우리 아이가 왜 내 말만 듣지 않을지에 대해 생각해 보았다. 이는 반대로 말하면 내 아이가 남의 말은 또 듣는다는 것이다. 내 말을 듣지 않는 이유는 이제 알겠는데, 남의 말은 또 왜 잘 듣는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 똑같은 말을 해도 선생님들이 말하면 아이가 제법 잘 듣기 때문이다. 한 발 더 나아가, ‘옆집 누구네 아이는 그렇게 말을 잘 듣던데, 도대체 우리 애는 왜 그럴까’하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이유는 간단하다. ‘말 잘 듣는 아이’는 대부분 ‘남의 말’을 잘 듣는 것이다. 선생은 아이에게 남이고, 당신도 옆집 아이의 입장에선 남이다. 반대로 뒤집어 보면, 여러분도 본인의 아이가 아니라면 더 잘 말할 수 있다. 옆집 아이랑 이야기할 때면 웃으면서 좋은 이야기가 나오고 또 만약 조언을 구한다면 현실적이고 의미 있는 조언을 해줄 수 있을 것도 같다. 그만큼 ‘남의 말’이란 것은 사회적으로 건강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아쉽게도 부모자식 관계는 남이 아니다. 가족은 언제나 ‘우리’로 묶이고 아이의 일은 부모의 일이다. 옆집 아이가 중간고사에서 미끄러지고 잠시 방황하는 것은 여느 10대가 으레 겪는 사소한 일이지만, 내 자식이 시험을 망치고 방황하는 것은 이보다 더 큰일이 아닐 수 없다.      


 남의 아이 일이라면 객관적인 시선에서 볼 수 있는 일이, 내 아이의 일이 되면 재미난 드라마 주인공에 몰입하는 것보다 더 감정이입 해서 생각하게 된다. 아이의 사소한 잘못에도 이러한 잘못이 10년, 20년 후 얼마나 눈덩이처럼 커져서 아이를 괴롭힐지 생각하게 된다. 이럴 때 보면 분명히 내가 배 아파 나은 자식인 건 확실한 것 같다.     


 부모가 자식과의 대화에서 실패하는 이유가 바로 이곳에 있다. 아이를 교육하기 위해서는 우선, ‘내 아이는 남의 아이다.’라고 생각해야 한다.      




 이러한 태도가 중요한 데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내 아이를 남의 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면, 여러분들이 지금까지 본인의 아이에게 했던 짜증 섞인 말투와 상처 주는 말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식이 있는 어른이라면, 절대 남의 아이에게는 쉽게 감정을 표출하지 않는다. 어떤 어른도 남의 아이의 잘못에 짜증을 내거나 상처 주는 말을 하려고 하지 않는다. 오히려 남의 아이가 잘못을 한 경우에는 다분히 ‘어른스러운’ 태도로 마치 ‘교육에 능통한 사람’처럼 행동한다.      


 이러한 상황이 연출되는 것은 남의 아이의 일은 ‘우리의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우리의 일이 되면 감정이 앞서서 아이와 이야길 하다 보면 어느새 대화 주제는 사라지고 아이와 감정 다툼을 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행동은 부모로서 결코 좋은 일이 아니다.      


 아이에게 감정을 쏟아내는 것이 어른으로서 최선의 선택이 절대 될 수 없다는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의 자녀에게 너무 많은 감정을 토해내 왔다. 상황이 그렇다 보니, 아이가 “알아서 할게.”와 같은 말로 불편한 대화를 피하려고 하는 것도 이해가 된다. 따라서 아이와의 갈등 상황에서는 지금 이러한 행동을 한 아이가 ‘남의 아이’라고 생각함으로써 자신이 어떻게 말하고 행동해야 하는지를 생각하게 된다면 감정을 절제하고 보다 어른스럽고 교육적인 자세로 임할 수 있다.


 그리고 자리를 빌려 꼭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당신의 아이가 ‘누군가’에게 그런 모진 말을 들어도 될 만큼 천박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 ‘누군가’에는 당연히 당신도 포함된다. 여러분은 여러분의 배를 갈라서라도 낳고 싶었던 아이를 낳은 것이고 그 아이가 태어날 즈음에는 이 아이를 위해 대신 죽어도 좋다는 결심을 했을 것이다.     


 그렇게 숭고한 마음으로 낳고 기른 아이에게 순간의 감정 때문에 아이에게 상처가 되는 말을 하게 된다면, 아마 부모로서는 정말 잘못된 행동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내 아이를 남의 아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중요한 두 번째 이유는, 부모와 자식 간의 대화는 평생에 걸쳐 누적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여러분이 아이에게 했던 대화는 다음에 아이와 나눌 이야기와 연결된다.      


 여러분이 상처를 주었다면, 그 상처가 다음 대화에도 영향을 미친다. 아이에게 너무 큰 상처를 주었다면 아이는 더 적극적으로 불편한 대화를 피하고자 할 것이다. 이 상황이 안타까운 이유는 아이가 대화를 피하려 하는 이유를 부모들이 자식에게서만 찾기 때문이다. 


 여러분이 아이에게 했던 말투와 태도는 아이의 기억 속에 사진처럼 선명히 기억되고 있다. 그러니 아이가 여러분과의 대화를 피하는 것은 더는 상처 받고 싶지 않다는 발악에 가깝다. 그런 상황에서 억지로 아이를 앉혀서 또 다시 여러분이 원하는 말을 꺼내는 것은 손만 안 댄 가정폭력에 가깝다.     


 내 아이를 남의 아이라고 생각하며 감정을 절제한 후 대화를 꺼낸다면, 다음에 있을 또 다른 회담을 보다 쉽게 성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이와의 회담이 자주 진행될수록 아이는 불편한 대화를 하는 것을 꺼리지 않게 된다.     


 아이가 대화를 꺼리지 않게 될 때까지, 아이는 여러분의 말은 듣지 않는다. 그러므로 여러분은 내 아이를 남의 아이라고 생각하고 아이와 말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여기서 분명히 밝히지만, 아이들이 선생인 필자의 말을 잘 듣는 것은 필자가 ‘선생’이라서가 아니라 필자가 언제나 논리적으로 ‘맞는 말’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내 아이를 남의 아이라고 생각한 이후에는, 아이에게 어떻게 말해야 ‘맞는 말’을 할 수 있을까?     


 그 질문에 대답하기 위해서는, 먼저 살펴야 할 것이 있다. 바로 평소 부모자식 간의 관계이다. 부모 자식 간의 관계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신뢰이다. 신뢰가 없으면 단순히 ‘맞는 말’로는 아이가 내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 생각해 보면 여러분이 아이에게 한 말 중에, '틀린 말'은 또 그리 없지 않은가? 그러니 아이들이 당신의 말을 듣지 않는 건, 당신이 틀려서가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신뢰를 주기 위해서는 벌과 교육, 상과 칭찬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이전 02화 왜 우리 아이는 내 말만 안 들을까?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