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야기하는 늑대 Jul 16. 2021

티끌 모아 태산?

 무언가를 꾸준히 한다는 것은 어마어마한 결과를 만들어 낸다. 이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너무나도 명확한 이 사실만 실천해 낸다고 하면 그게 누구라도 어떤 분야일지라도 성공할 것이다. 사람마다 생각하는 성공의 개념은 천차만별이겠지만 지속성을 실천해낼 수 있다면, 그게 누구든 어떠한 분야든 반드시 성공할 것이다.     

 


 다시 한번 이야기하지만 너무나도 명확한 사실을 정말 많은 사람들, 아니 모든 사람들이 알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왜 대다수의 사람들은 이 명약관화한 사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실천해 내지 못하는 것일까? 너무나도 쉬운 이야기, 누구나 알고 있는 이야기인데 왜 실천을 못할까?     

 


 짧은 내 삶과 경험에 비추어 보건대 지속성은 지루함을 준다. 그리고 결과론적인 부분에서 빠른 만족을 보여 주지 못한다. 그렇다. 우선 지루하다. 생각해 보라. 하루에 돌 하나하나 쌓다 보면 언젠가는 분명히 견고한 성벽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지루하다. 하루에 돌 하나…, 지루하다고 해서 하루에 두, 세 개 쌓다 보면 또 힘들어서 더 쉽게 실천을 포기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연장선상의 이유가 될 수 있는데 하루에 돌 하나하나 쌓아 가는 모습은 그렇게 다이내믹하거나 드라마틱하지 않다. 역시 지루하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무언가 이렇다 할 확실한 결과가 보이질 않는다. 막연할 뿐이다. 그럼 그 어떤 존재보다도 간사한 사람은 이 상황을 견뎌내질 못한다.     

 


 물론 이런 사람의 성정으로 인해 지구 상의 그 어떤 동물보다도 빠르게 진화 발전했는지 모르겠다. 여하튼 그 상황을 견뎌내질 못하고 다른 방법을 찾느라 시간을 보내고, 다른 방법에 집중하느라 시간을 보내고, 혹여 꼼수가 없을까 곁눈질하며 시간을 보낸다. 그래서 지금 당장 그저 오늘의 돌 하나만 쌓으면 되는 정말이지 단순하다 못해 하품이 나올 지경인 그 실천조차 실행하지 않는다.     

 


 요즘 들어 이런 생각이 조금 바뀌어 가긴 한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잘 실천하지 못하고 다소 느릴 수 있지만, 그래서 지루하고 답답해 보일 수 있지만, 꾸준한 지속성은 언젠가는 반드시 성공적인 결과를 보장한다고 굳게 믿어 왔다. 물론 지금도 그 믿음에 근본적인 변화는 없다. 그래서 이렇게 꾸역꾸역 글을 쓰고 있기도 한 것이다.     

 


 그럼에도 어느 정도 그런 믿음에 약간의 금이라고 표현하면 너무 부정적이니까 틈이 발생하고 있다고 해 두자. 다시 말해 ‘티끌 모아 태산’이란 옛말이 구태의연한 말 그대로 옛말일 뿐이라는, 이 시대엔 적합하지 않을 수도 있겠다 하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그럼에도 무언 갈 얻어 내려면 분명 무언 갈 어느 정도는 실천해 내야 한다는 사실엔 변함이 없다. 시대가 바뀌어 단순히 정비례 형태의 결과가 아닌 기하급수적인 성과라도 어느 정도는 지속적인 실천이 필요할 것이다.     

 


 최근엔 ‘양자역학’이라고 하는 단어만 들어도 머리 아픈 단어가 유행하고 있다. 아예 단계를 뛰어넘는 퀀텀점프라는 개념도 심심치 않게 쓰이고 있다. 그래서 단계를 뛰어넘을 능력이 있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하다. 하지만 냉정하게 현재 내게 그런 능력은 없을 테니 일정 시간이건, 노력이건 지속적인 실천을 안 하려야 안 할 수가 없다.     

 


 우물 안 개구리가 우물을 말 그대로 퀀텀점프를 통해 벗어나기 위해 당장 뭘 어찌해야 할지 모르겠다면 우선 점프를 위해 매일 꾸준히 뒷다리 근육이라도 키워야 하는 것이다. 나 역시 우물을 벗어나려는 개구리처럼 뭐라도 해야 할 것이다. 그 뭐라도 중에 하나가 글쓰기다.     

 


 정말 더디고 더딘 그래서 너무 게으른 사람이지만 이렇게 해 나가 보려 한다. 이제 글을 쓴 지 1 년 여, 매일 쓰자고 지속적인 실천이 중요하다고 피력하면서도 글쓰기가 들쭉날쭉했다. 최근 들어 여러 장치를 통해 꾸준한 글쓰기가 어느 정도 안정세에 접어들었다. 하지만 아직 멀었다. 요즘 내 글쓰기의 주제는 말 그대로 ‘글쓰기’이다.      

 


 소위 말해 ‘글 밥’ 먹고살자고 다짐한 이래로 매일 느끼고 있다. 글쓰기가 결코 쉬운 일이 아니고, 밥벌이로도 그리 매력적이지 않다는 걸 아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그래도 고마운 건 이런 고민 자체를 글쓰기를 통해 하고 있다는 것이다. 긍정적으로 해석해 보면 지속성의 힘을 믿고 실천해 내고 있는 것이다. 우선, 이 상황을 긍정적으로 바라보고, 스스로를 믿는 수밖에 없다.     

 


 그리고 계속 고민하는 것이다. 지속해서. 지금 내가 하고 있는 행위가 글쓰기가 맞는 건가? 이런 글을 통해 사람들에게 일말의 감동이라도 줄 수 있는 걸까? 손톱만큼이라도 생각할 거리를 던져 줄 수 있을까? 아주 잠깐이라도 눈을 감고 음미할 수 있는 글일까? 그런 글을 쓰기 위해 내가 무엇을 해야 할까, 무엇을 배워야 할까를 계속 생각하고 그 과정을 글쓰기로 쏟아 내면, 개구리처럼 뒷다리 근육 늘리는 정도는 되지 않을까 한다.      

 


그럼에도 머릿속에 의문점이 계속해서 맴돈다.

‘티끌을 모아서 태산이 되려나?’


       


작가의 이전글 Who am I?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