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띰썬 Oct 10. 2024

"커서 뭐가 되고 싶니?"라는 질문에...

"커서 뭐가 되고 싶니?"라는 질문에 커서도 제대로된 답을 하지 못하는 어른으로 자라나버렸다.

'대체불가능한 사람'이 되고 싶고, 또 이 사회에서 살아남으려면 되어야만 한단다.

want가 아니라 must인 것이다.

내가 생각했을 때 대체불가능한 사람은 '나만의 전문성을 지닌 사람'이다.

그래서 '어떤 분야에 전문성을 지닌 사람'이 되고 싶었고, 그건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 분야가 도대체 어떤 분야여야 하는지, 꼭 전문가가 되어야 하는지는... 스스로 계속 질문을 던지는 중이다.


나와 비슷한 생각을 가진 어른들에게 도움이 되는 책을 발견했다.

얼마 전 친구에게 추천받은 '모든 것이 되는 법'이라는 책이다.

이 책에서 작가는 '다능인'이라는 개념을 소개한다.

다능인을 한 마디로 말하자면,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많은, 이것저것 찍먹해보는 걸 좋아하는 사람들'이다.

이 책을 읽으며 '이거 참 내 얘기네'라는 생각이 들었고, 위로를 받았다.

모든 사람들이 꼭 한 분야를 깊게 파는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다는 것에.

수많은 다능인들에게 '관심사가 다양해도 괜찮다'라고 말해주어서.

(외국 작가가 쓴 책이라 책의 실제 사례들은 좀 와닿지 않는 부분들도 많았지만,

'다능인'이라는 개념 자체가 나에게는 굉장히 신선했다.)


우리 사회에는 '전문가 신화'가 있다.

한 길만 오~래 판 사람들을 신격화하는 것.

nn년간 요리를 연구해온 장인,

oo분야 전문가,

oo업계 경력 nn년,

oo분야를 nn년간 연구해온 학자...

우리 사회는 이들에게 권위를 부여하고 숭배하는 경향이 있다.

당연히 한 분야를 오랫동안 판 사람들은 대단하고, 존경받아 마땅하다고 생각하다.

그 끈기과 집념이란. (최근 흑백요리사를 보며 또 느낀다. 자신의 분야에 확신이 있고, 자부심이 있는 사람들이 얼마나 대단한지)


하지만... 반대로 어느 분야를 얇고 넓게 아는 사람들은 '전문가'소리를 듣기는 어렵다.

우리 사회는 아직까지 제너럴리스트보다는 스페셜리스트를 더 쳐주는 것 같다.

나는 늘 '이것저것 해보는 사람=끈기가 부족한 사람'으로 여겨지는 것이 싫었다.

왜 한 우물만 파야하는데? 여러 우물을 파는게 더 안전하지 않나?

왜 이거했다가 저거했다 하면 안 되는데?

흥미가 금방 식는 게 꼭 잘못인걸까?

다양한 것에 도전하는 사람의 그 용기를 좀 쳐주면 안 되나?

이런 질문을 던지곤 했다.


커리어에 대한 고민은 여전히 끝이 없지만,

그래도 책을 읽으며 새로운 개념을 알게 되고

나같은 사람들이 많으며, 이들을 칭하는 어떤 개념이 있다는 것에 소속감이 느껴지기도 했다.


딴 얘기지만, 내가 어렸을 때 나에게 "넌 커서 뭐가 되고 싶니?"라는 질문을 던진 어른들은 무엇이 되고 싶었을까?







  



매거진의 이전글 미드소마는 공포영화가 아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