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여름의 속도 May 30. 2022

프로젝트를 내보내고 다음을 준비하면서

초기 스타트업에서 작은 프로덕트를 내보낸다는 건

한번 갈무리가 되면 글을 쓰려고 벼르고 있었는데 타이밍을 자꾸 못 잡았다. 외부랑 연동이 잘 돼야 되는 시스템이다 보니(국가기관 소관의, 표준문서도 제대로 없고, 테스트 환경도 없어 직접 확인도 어려운 뭐 그런 부분이었음) 디테일 파악이 잘 되지 않아 출시가 밀리기도 했고, 게다가 '작은' 프로덕트에서는 출시가 다가 아니더라고. 뭐나면, 내보낸다고 해서 곧바로 쓰인다는 걸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내 입장에서는 '갈무리'가 자꾸 나지 않았다. 이제 실제 사용자가 생기고, 의도한 바대로 쓰이고 있구나 확신하게 되어 글을 남겨본다.


입사하자마자 여러 프로젝트를 물망에 올려보고 전략적으로 빠르게 접근해야 할 프로젝트를 선정했다. 그리고 정말 이제껏 없던 호흡으로 빠르게 정리하면서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아무래도 처음이다 보니 놓치는 부분도 있었고 선제적으로 챙겼으면 좋았을 부분도 나중엔 보였는데 그걸 처음부터 알았다면 그렇게 진행하지 않았겠죠? 아쉽게도 제가 신이 아니라. 뒤늦게라도 최선을 다해 조각모음 해낸 게 어딘가 싶고 돌아간다니 신기하고 그렇다. 뒤돌아보며 흘린 조각들을 주워서 탄탄하게 만들어갈 때 팀원들이 즉각 즉각 진행해줘서 좋았다. QA는 QA의 소관을, 각 개발 담당자들은 해당 부분에 대한 디테일을. 이 조직의 특징으로는 사람들이 '모범생'이라는 것과 '그거 안 되는데요'가 없다는 것이다. 모범생이라는 게 무슨 말이냐면 가령 워크숍에 가서 게임을 하면 딱 '시키는 대로' 참 열심히 해... 밥 먹자고 먼저 제안해주시기도 하고. '요즘 어떠냐'며 말을 건 개발 리드는 '아유 놓치는 거야 어쩔 수 없지'라며 위로해줬다. 어쩔 수 없는 게 이 도메인의 특성이긴 하지만 다음부터는 '호의적'인 사용자들을 잘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더 찾으면 좋겠다. 가령 사용자 인터뷰라든지. 물론 바쁘겠지만. 아! 그 와중에 옆에서 그 신뢰가 그렇게 무너질 신뢰가 아니라고 말해주는 동료가 있어서 또 좋았다. 자꾸만 좋았다고 얘기하는데 물론 힘든 점도 많았지만 이렇게 많은 사람들 사이에서 버티며 앞으로 나갈 수 있다는 건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대표님도 상황을 쭉 지켜보다가 이 프로젝트가 그런 프로젝트니 (어쩔 수 없지만) 기획에서 더 챙겨줘라, 다들 놓칠 수도 있는 부분은 잘 알고 있다고 지나가다가 한마디 해주셨다. 합이 좋고 빠르다. 이렇게 몇 번 더 돌아가면 진짜로 뭔갈 해낼 수 있을 것 같다. 아직 프로덕트는 '작'지만.


내 포트폴리오엔 수치가 없는데(요즘 PO 이력서/포폴엔 뫄뫄 달성 같은 수치가 필수라고들 한다) 그보다는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문제를 정의하고 완결적으로 수행했는지 스토리텔링이 들어가 있다. 그게 퍽 아쉬울 때도 많았는데, 수치도 결국엔 해당 제품의 '기초체력'에서 만들어지는 거 아닌가? 토스 CEO의 얘길 듣다 생각했다.(carrying capacity. 아래 동영상 참고) 이 영상은 사실은 Amplitude의 플레이북 리텐션 마스터하기, 인게이지먼트 마스터하기 내용 흐름과 대동소이한데 플레이북으로 보려면 여기로. 미래의 나야 너도 다시 확인해보렴.

아마 내년 상반기쯤의 과제가 '수치'만들기가 될 거 같은데 그전에 좋은 '체력'을 가진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도록 미리미리 고민해봐야겠다.


지금은 다음 프로젝트도 아니고 다다음 프로젝트로 쪼이고 있는데 야 스타트업답다. 그런데 그러려고 여기 온 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 기업을 로켓에 비유하는걸 참 싫어하는데(내가 3단 로켓이 아닌 줄 어떻게 알아) 1단이든 2단이든 궤도에 진입할 때까지는 힘이 많이 드는 게 당연한 거니까. 여전히 매일매일이 정신없지만 호흡을 가다듬고 운동을 하자. 이건 장기전이니까.



매거진의 이전글 감당할 수 있는 사이즈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