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여러 생각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윤여경 Dec 06. 2017

루소와 자존감

"자연의 첫 번째 충동은 항상 옳다. (중략) 따라서 초기 교육은 전적으로 소극적이어야 한다. 교육의 목적은 덕이나 진리를 가르치는데 있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악덕으로부터 정신을 오류로부터 보호하는데 있다"

-

이 인용글은 루소의 <에밀>에 나온다. 내가 과거에 이 문장을 읽었다면 전적으로 동의했을 것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최근 비고츠키 관련 책 두권을 읽었다. 그 탓에 동의하는 부분과 동의하지 않는 부분이 있다.

-

동의하는 부분은 '자연의 충동은 옳다'는 주장과, '교육의 목적은 덕이나 진리가 아니라 정신의 오류를 보호하는데 있다'는 점이다. 동의하지 않는 부분은 그래서 초기 교육은 '전적'으로 '소극'적이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

비고츠키의 주요 개념 중 하나가 '근접발달영역'이다. 이 개념은 다소 어렵지만 요점은 단순하다. 아동의 발달 정도를 성인이 이끌어줄 수 있다는 주장이다. 비고츠키과 그의 제자들은 이미 실험적으로 이를 증명했으며, 현재 교육 심리학도 비고츠키의 주장에 가깝다. 

-

그렇다고 성인이 아동의 덕이나 진리를 가르쳐야 한다는 주장이 아니다. 성인은 아동이 스스로 생각할 수 있도록 '언어'를 가르쳐야 한다. 가르치지 않고 그냥 놔두기만 할 경우, 즉 '전적으로 소극적'인 경우 아이의 언어발달은 아주 더디게 진행된다. 인간은 언어를 통해 사고 하기 때문에 언어발달이 더디면 '마음을 악덕으로부터, 정신을 오류로부터 보호하는데' 문제가 생길 여지가 생긴다. 비고츠키는 이 문제를 <생각과 말>에서 깊게 사유했다. 

-

인간은 모방하는 동물이다. 때문에 교육은 아주 중요하며 아주 적극적으로 활용될 필요가 있다. 하지만 루소의 우려처럼 그 교육이 덕이나 진리를 가르친다는 명목으로 억압적이라면 그것을 과연 교육이라 말할 수 있을까. 그것은 통제가 아닐까. 사상을 주입하는 교육은 비판정신이 없기 때문에 정신의 오류를 통제하지 못한다. 때문에 악덕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 

-

나는 이 문장을 아르마 히로키의 <일반의지 2.0>에서 읽고 인용했다. 그는 카시러의 글을 빌려, 루소는 '극단적인 개인주의자'이자 '극단적인 전체주의자'라고 말하는데, 이런 관점은 방금 덮은 책, <자존감이라는 독>을 다시 환기 시킨다. 

-

저자 류샹핑은 자존감을 분석하면서 안정애착과 불안정 애착을 구분한다. 불안정 애착은 자존감이 낮은 상태를 말한다. 불안정 애착은 다시 저항과 회피로 구분된다. 불안정+저항 애착은 엄마와 떨어질때 무척 두려워하는 경우이고, 불안정+회피 애착은 자기 안에 숨는 경우이다. 이 경우는 상당히 높은 자존감을 보이는데, 너무 자존감이 높아서 자아도취에 빠지기도 한다. 

-

루소는 때론 고독의 철학자로 불린다. 나는 그가 어쩌면 불안정+회피 애착을 가진 천재가 아니었을까 생각하게 된다. 그의 교육론에도 이런 태도가 묻어난다. 실제로 그는 자식들을 거의 돌보지 않았다. 뛰어난 아버지를 둔 자식들은 아버지의 교육관점 때문에 훌륭한 기회를 누리지 못했다. 나는 그 점이 너무 아쉽다. 만약 루소가 비고츠키의 '근접발달영역'을 알았더라면, 아니 어릴적 엄마와의 애착이 건강하게 만들어졌다면 그의 자녀 교육은 어땠을까? 어쩌면 자신보다 더욱 훌륭한 사람으로 성장시켰을지도 모른다. 훔볼트 형제의 어머니처럼.

매거진의 이전글 혼잣말과 대화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