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날, 문득 유화를 배워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글로 감정을 표현하는 방식이 익숙했지만, 이번에는 다른 방법으로 내 안의 감정을 꺼내 보고 싶었다. 그렇게 가까운 원데이 클래스를 찾아가 서툰 손길로 첫 붓을 들었다.
처음엔 붓을 잡는 것조차 어색했다. 붓끝에서 그려지는 선과 색이 내 생각대로 표현되지 않았다.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았지만, 묘하게도 마음이 차분해졌다. 음악을 틀어놓고 그림을 그리다 보니, 손끝에서 내 감정이 물감을 타고 흘러나오는 것이 느껴졌다. 글로는 표현할 수 없었던 감정들이 색채와 형태로 변해갔고, 나는 캔버스 위에서 나 자신을 조금씩 발견해 나갔다.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깊이 빠져들었다. 그림을 그리는 시간은 나 자신과 소통하는 특별한 순간이 되었다. 감정을 글로만 표현하는 대신, 색과 선을 통해 더 솔직한 나를 마주할 수 있었다. 이는 단순한 취미가 아니었다.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는 또 하나의 창구였고, 그림을 통해 나 자신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었다.
자연스레 나는 작업실 한 켠에 작은 그림 공간을 꾸미기 시작했다. 이젤을 두고, 다양한 크기의 캔버스를 마련하며 물감과 붓도 하나둘씩 늘려갔다. 글을 쓰다가 영감이 막힐 때면 그림을 그리며 감정을 풀어냈다. 그렇게 내 글과 그림은 서로 대화하는 순간을 만들었다. 글과 그림이 서로의 빈 공간을 채우며 내 창작의 가능성을 확장해 주었다.
어느 날, 내 그림 중 하나를 아버지가 벽에 걸어 두셨다. 부끄러운 마음에 물었다. "아빠, 그냥 취미로 그린 건데 왜 걸어놔?" 아버지는 한참 그림을 보시더니 담담히 말했다. "난 이 그림이 좋은데?" 그 말에 묘한 감정이 몰려왔다. 내 손끝에서 나온 작은 흔적들이 누군가에게 의미 있는 존재가 된다는 사실이 낯설면서도 따뜻하게 느껴졌다. 그림은 나를 표현하면서도, 나와 타인을 연결하는 또 다른 방식이 되었다.
유화는 나에게 인내와 기다림을 가르쳐 주었다. 물감을 덧칠하고, 색이 마를 때까지 기다리는 시간은 생각보다 오래 걸렸다. 그 시간을 견디며 나는 조바심을 줄이고, 작품이 완성될 때까지 천천히 기다리는 법을 배웠다. 글쓰기가 순간적인 영감의 산물이라면, 그림은 시간을 두고 쌓아가는 작업이었다. 이 둘은 서로 다르지만 내 창작의 균형을 이루어 주었다.
그림을 그리는 시간은 오롯이 나에게 집중하는 시간이었다. 글을 쓸 때와는 달랐다. 글쓰기는 내 직업이고, 때로는 일정과 기대에 쫓기기도 한다. 하지만 그림을 그리는 순간만큼은 모든 압박감에서 벗어나 나 자신에게만 집중할 수 있었다. 그림 속에는 내 감정이 고스란히 담겼고, 그 과정에서 더 깊은 위로를 얻었다.
그림을 그리면서 내 삶에도 작은 변화가 스며들었다. 감정이 차오를 때마다 붓을 들어 내면을 표현할 수 있었고, 그 과정에서 일상의 긴장과 불안을 자연스럽게 풀어낼 수 있었다. 내가 그린 색채와 형상 속에서 나는 더 솔직한 나 자신을 만날 수 있었다.
그리고 어느 순간 깨달았다. 그림은 단순한 취미가 아닌, 내 안의 감정들을 진솔하게 마주할 수 있는 도구였고, 나 자신과 다시 연결되는 길이었다. 이제 나는 그 길을 천천히, 나만의 속도로 걸어갈 준비가 되었다.
신세연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