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천둥 Jul 19. 2024

소박한 소망, 개망초

수영을 시작하고 남편과 대화가 늘었다. 부부가 뭔가를 같이 한다는 게 이런 면에서 좋은 거구나 새삼 깨달을 정도였다. 그래봤자 오늘은 어‘ 뭐 했어? 오늘은 잘 됐어? 하는 수준의 질문과 재밌었어, 힘들었어, 하는 대답이지만 그래도 부부가 매일 서로의 안부를 묻는 건 신선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주말이면 같이 수영장에 가기도 한다. 수영가방을 메고 같이 집을 나설 때, 수영복을 입고 레인에 들어설 때, 물에 젖은 수영복이 욕실에 나란히 걸려있는 걸 볼 때 우리가 공유하는 일상이 꽤 크게 느껴진다. 그렇다고 남편에게 수영하는 법을 물어보거나 도움을 청하지는 않는다. '운전은 가족에게 배우는 거 아니다'의 또 다른 버전이 나올 것이 분명해 답답해도 혼자 연습하고 터득하는 편이다.


가끔 새로 알게 된 바보짓을 서로 고백하며 파안대소할 때도 있다.

“'음파'할 때  '음'이 코로 숨을 내쉬는 건지 몰랐어. 그러고보면 '음'도 내쉬는 거고 '파'도 내쉬는 거잖아. 그럼 언제 들이마셔?

“나는 여태 수영모를 옆으로 쓰고 다녔어. 어쩐지 강사가 자꾸 수영모를 가리키더라고.”     

처음이니까, 모르니까 배우는 거고 얼마든지 그럴 수 있지, 웃어넘긴다. 웃어넘길 수 있는 친밀감 속에는 모르는 포인트가 너무나도 다양한 것에 대한 신기함과 함께 배움을 깨쳐가는 기쁨과, 나의 바보짓이 상대를 웃게 했다는 뿌듯함까지 숨어있다.


해맑게 웃다가 갑자기 이런 생각이 들었다. 모르는 걸 배우는 게 이렇게 좋은데 우리는 왜 웃어넘길 수 없었던 수많은 순간을 맞닥뜨려야 했을까. 왜 어떤 것은 비웃음이 되고 어떤 것은 의 수치스러운 일이 되어야 했을까.

어쩌면 그 친밀감은 우리가 오랜 시간을 함께 했기 때문만이 아니라 수영을 할 줄 모른다는 동등한 상태에서 기인한 걸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들었다. 흔히 놀림이나 비하는 한쪽이 확실한 우위에 있을 때 시작되는 거니까. 그러고 보면 그동안 배움의 공간 안에서 이처럼 백지상태였던 적이 없었던 것 같다. 남녀라는 사회적 인식의 차이도, 선행학습으로 미리 준비할 수 있는 기회도, 기울어진 운동장도 없이, 완전한 백지. 비교나 멸시가 싹트기 이전이다.      


시간이 흐르면 우리도 곧 실력 차가 나겠지. 누군가는 중급반에 올라가고 누군가는 못 갈 수도 있겠지. 서서히 속도와 기술에도 격차가 생기겠지. 그래도 지금처럼 오늘의 안부를 묻고 오늘 할 수 있는 숨을 공유했으면. 먹고사는 문제도 아니고 다만 건강하려고 하는 운동이니까 서로 비교하고 잘난 척하지 말고 사이좋게 수영장에 다녀와서 나란히 수영복을 말렸으면.      


흔하디 흔한 개망초처럼 소박한 소망 하나 품어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