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내용은 개인적으로 정리한 내용이라 틀릴수 있습니다.
AWS는 1년간 일정 용량만 무료이다.
그래서, 삭제하지 않으면 다음 달에 요금이 나와버린다.
사용하지 않는 AWS Accountid는 삭제하고 비용 나오지 않도록 하라~
비용 나가서 마음 고생하지 마세요. 진심~!
<1> 사용하지 않는 계정은 아예 삭제하라.
<2> 삭제해야 할 것들
<3> VPC 지우기
<4> 다 지웠다고 생각하는데 VPC가 안 지워지는 이유는 ENI 때문에 안 지워지는 경우가 많다.
<5> 네트워크 VPC에 서버(EC2)가 있다면 VPC가 지워지지 않는다.
<6> NATGW 삭제 , 로드 밸런서 삭제, EIP 삭제하기
<7> S3 삭제하기
<8> DB 생성했다면 RDS에서 DB 삭제하라.
<9> 이미지 복사본 AMI를 만들었다면 EC2- AMI에서 삭제하라.
<10> 어디서 비용이 나가고 있을까?
<11> 가장 중요한 것!!! Bills 확인하라.
<12> 일정 금액 이상 나오면 메일 노티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자.
<13> 계정이 해킹당해 내 통장에서 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글 OTP] 설정하자.
<14> AZ 간 통신도 돈 나간다.
<15> 요금 폭탄 피하는 법
<1> 사용하지 않는 계정은 아예 삭제하라.
계정을 최소화하라. 사용하지 않는 AWS 계정은 아예 삭제하라.
매일 로그온해 비용 확인을 하라.
안 쓰는 리소스는 모두 지워라.
리소스는 중지해놔도 스토리지는 사용돼서 돈이 나갑니다.
1
리소스를 모두 삭제하지 않고, AWS계정 탈퇴를 하면 탈퇴 기간 동안 비용이 계속 나올 수 있다.
이 경우 다시 계정 복구 후 리소스를 모두 지운 후 탈퇴하라.
그래서 반드시 리소스를 지워야 한다.
매일 초(3일) 경 카드 요금이 나간다. - -
미리 점검하자!!
2
해지 신청한 계정도 해지가 완료되기 전까지 결제가 되니 반드시 리소스를 지워야 한다.
<2> 삭제해야 할 것들 매일 체크하라.
삭제할 것.
1. VPC 지우기
2. EC2 지우기
3. EIP 삭제하기
4. S3 삭제하기
5. DB 생성했다면 RDS에서 DB삭제, 스냅숏 삭제 (필수)
6. 이미지 복사본 AMI를 만들었다면 EC2- AMI에서 삭제 하기
7. 사용하지 않는 AWS 계정은 아예 삭제하라.
매일 체크할 것
<3> VPC 지우기
1
VPC를 지우려 하면 연관된 서버 등 삭제해야 할 것을 알 수 있다.
[VPC] 클릭
[See All regions]을 눌러 어느 지역에 VPC를 만들었는지 확인한다.
2
US East(Ohio) 옆에 [1]이라는 숫자를 클릭해서 해당 지역의 네트워크를 지워보자.
지우고자 하는 네트워크 부분인 체크되도록 한다.
만들어놓은 VPC를 지우기 위해 [Actions ]에
[Delete VPC]를 클릭해 삭제한다.
1) I acknowledge that i want to delete my default VPC를 [체크]하고
2) [ Yes, Delete]를 누르면 만들어진 서브넷, 보안 그룹 등등 같이 삭제된다.
3
VPC 삭제 시 종속성 문제 해결
<4> 다 지웠다고 생각하는데 VPC가 안 지워지는 이유는 ENI 때문에 안 지워지는 경우가 많다.
1
VPC > Network Interface 가서 확인하라.
ENI 설명에 있다. 어떤 서비스에서 ENI를 쓰고 있는지 확인하라.
2
예)
안 지워지는 원인을 찾았다.
ENI 설명에 있다
directory 서비스 삭제 후 VPC삭제가 가능했다.
언제 사용했었는지 directory 서비스를 쓰고 있었다.
3
참고
<5> 네트워크 VPC에 서버(EC2)가 있다면 VPC가 지워지지 않는다.
1
서버(EC2)를 모두 지워야 네트워크(VPC)를 지울 수 있다.
VPC자체는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NATGateway는 비용이 발생한다.
그래서 VPC자체를 지우는것인다.
2
해외 리전의 경우
Click here to view your instances를 클릭해보면 어떤 서버가 생성되어 있는지 확인 가능하다.
3
사용하는 않는 서버 EC2를 반드시 지워야 한다.
[EC2]를 클릭하면 생성되어 운영 중인 서버 EC2 숫자가 보인다.
3 Running Instances <- 3개가 돌아가고 있네요.
4
삭제법
1) [EC2] 클릭 [Instaces] 클릭하고 삭제하고자 하는 인스턴스를 체크한다.
2) [Actions]-> [Instance State]- [Terminate]를 클릭해서 삭제한다.
삭제하겠냐고 묻는다.
Yes, terminate 하고 서버 EC2를 삭제하면 된다.
서버를 삭제하면 서버에 데이터를 복구할 수 없으니 주의하기 바란다.
<6> NATGW 삭제 , 로드 밸런서 삭제, EIP 삭제하기
할당받고 사용하지 않으면 과금된다.
할당받고 사용하면 비용이 발생되지 않는다.
1
NATGW 삭제한다. > EIP 삭제한다.
2
EC2 > 로드 밸런서 삭제 > 타깃 그룹 로드 밸런서 삭제 삭제 > EIP 삭제로 진행한다.
<7> S3 삭제하기
1
스토리지 S3를 테스트하고 삭제하는 법이다.
2
[S3] 클릭
위처럼 2개의 S3를 만들어 놓은 것이 보인다.
왼편 쓰레기통 모양을 클릭하고 삭제한다.
Delete Bucket 클릭해서 삭제한다.
3
해당 버킷 이름을 넣어야 삭제가 가능하다.
report2.serverchk.com 버킷을 삭제하고자 하는 것이라면 해당 버킷 이름(도메인)을 입력한다.
스토리지 데이터는 중요 데이터가 많으므로 한번 더 확인하고 삭제하기 위해 버킷 이름을 요구한다.
혹, S3 삭제가 안된다고 오류가 뜨는 경우는 S3 버킷 안에 데이터를 모두 지워야 삭제가 된다.
S3 버킷 안에 데이터를 모두 지운 후 다시 삭제 시도하라.
<8> DB 생성했다면 RDS에서 DB 삭제하라.
Slave부터 삭제가 가능하다.
이후 Master 삭제하라.
EC2에서 스냅숏도 삭제하라.
<9> 이미지 복사본 AMI를 만들었다면 EC2- AMI에서 삭제하라.
AMI도 삭제하자.
<10> 어디서 비용이 나가고 있을까?
1
회면 오른쪽 위에 계정을 리스트업 하면, [My Bliiling Dashboard]에서 확인하라.
다음 달에 나올 예상 금액이 나오며, 어떤 부분에서 과금될 예정인지 표시된다.
2
아래처럼 EC2 서버를 여러 개 생성해서 기본 무료 용량을 초과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사용하지 않는 EC2 서버를 삭제하도록 한다.
<11> 가장 중요한 것!!! Bills 확인하라.
어디서 돈이 빠져나가는지 보인다.
어느 리전에 어떤 서비스로 돈이 나가는지 보인다.
가서 지워라 ~
EBS스냅 셔으로 비용이 나오는 것이다.
꼭 필요한 게 아니면 지워라~
<12> 일정 금액 이상 나오면 메일 노티를 받을 수 있도록 설정하자.
이 기능을 이용하여 0.1달러 정도 100원이라도 나오면 메일로 인지가 되도록
설정하는 법도 참고해 설정하기 바란다.
<13> 계정이 해킹당해 내 통장에서 돈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구글 OTP] 설정하자.
반드시 구글 OTP설정을 하여 계정 해킹당하지 않도록 설정해서 사용하기 바란다.
<14> AZ 간 통신도 돈 나간다.
돈 나가는 경우이다.
<15> 요금 폭탄 피하는 법
1
2
AWS공식 가이드
3
4
클라우드 비용 비교 2022.03
5
6
7
8
9
감사합니다.